• 제목/요약/키워드: Poetic semantics system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공간디자인에 있어 시적 의미작용에 대한 해석가능성 연구 - 실내디자인 구성요소의 의미 구성적 변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 of Poetical Signification in Space Design - Focus on the Semantics generative conversion of construction Factors in Interior Design -)

  • 김은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71-79
    • /
    • 2009
  • This research understands semantics-system in contemporary space design as a poetic form. It provides that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 of space and makes to escape from insipid formal logic of compulsion uniform meaning. In order to unfold this argument, poetic semantics system has to be revealed using conversion of articulation factors in text of space(semantics and syntax). First of all, after setting up the articulation system of space language, we have to understand the conversion of articulation factors that generate a new grammar breaking up the rule of old syntax. And the various expression of form in Contemporary Space design focuses on a poetic expression, that is, the abstraction system fused by space factors(conversion of articulation system). In this method of research to recognize the subject of space in architecture, the importance of interpretation has to be highlighted, as the importance of language is emphasized that intermediates between object and interpretation. The reason to recognize Contemporary space design as a text is that it is a gathering of symbol as a object of interpretation and a mediator. The important issu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and what to transmit by poetic semantics system in contemporary space design. It brings about a poetic problem what it intends to becomes(the problem of meaning operation) in a narrow sense and a interpretational problem what it intends to do(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hen we define interpretation the technique of defining a text, it involves the premise of inevitableness of multiple understanding, or the possibility to Interpret variously. In the end the ambiguity of poetic language and the infinity of moaning process as the moaning expansion system in contemporary space design is the flexible measure to solve the self-criticism.

프로조디(prosodie) 분석을 통한 시조의 가락 고찰 시론(試論) - 윤선도(尹善道)의 <오우가(五友歌)>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hythm of Sijo Using Prosodie Analysis - Centering on < Ouga > by Seon-do Yun -)

  • 김성문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43권
    • /
    • pp.41-66
    • /
    • 2015
  • 시조의 가락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운율론의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이는 3장 4음보격의 정형적인 시조의 가락을 규명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가락을 운율이나 율격보다 상위 개념으로 이해한다면, 이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형시로서 시조가 갖는 가락과 함께 서정시로서 시인 각자가 갖는 개성적인 가락, 다시 말해 비정형적인 가락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리고 여기에 앙리 메쇼닉(H. Meschonnic)의 프로조디(prosodie)분석 기법이 유의미한 방법론이 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앙리 메쇼닉의 프로조디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시조의 가락을 기존의 운율론이 아닌 새로운 차원에서 살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시론(試論)격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메쇼닉이 새롭게 제안한 프로조디는 언어의 자 모음적 조직과 그것의 계열체를 지시하는 말로, 이는 전통적으로 언어의 소리와 의미를 분리하여 이분법적으로 이해해 온 관점과 전적으로 대립된다. 그에 따르면 각 자 모음 조직들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는, 이른바 소리와 의미의 복합적인 층위를 형성하는 단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 텍스트 안에 불규칙적이고 비주기적으로 산포되어 존재하는 프로조디를 분석하는 작업은, 어떻게 시가 음성적 의미론적으로 통합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조직화된 음운들이 어떠한 양상으로 시의 주제와 길항하면서 존재하는지를 살피는 것이 프로조디 분석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개별적인 시가 지닌 독특한 미적 구조를 해명하는 일이자 시인의 언어 사용의 특수성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궁극적으로 시인의 문체를 규명하는 작업과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본격적으로 프로조디 분석의 방법론을 시조 전반에 적용하기에 앞서 예비적으로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오우가(五友歌)> 6수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일단 자음계열체에 한정하여 프로조디 분석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 시 텍스트에 산포되어 있는 프로조디가 시적 대상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거나 시의 주제를 드러내는데 있어서 소리와 의미의 복합체로서 기여하면서 기존의 율격과는 또 다른 층위에서 가락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