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neumoniae

검색결과 760건 처리시간 0.041초

최근 4년간 대전지역에서 분리된 KPC-2 생성 Klebsiella pneumoniae의 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al Study of KPC-2 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in Daejeon During a 4-Year Period)

  • 조혜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65-272
    • /
    • 2022
  • Carbapenemase 생성 장내 세균(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E) 중 특히 KPC-2 생성 Klebsiella pneumoniae의 출현과 확산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심각한 공중 보건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KPC-2 생성 K. pneumoniae의 역학과 특징은 지역 및 기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2017년 3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arbapenem 내성 K. pneumoniae (carbapenem-resistant K. pneumoniae, CRKP) 78 균주를 대상으로 carbapenemase 유전자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역학 관계를 조사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양상은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고, carbapenemase 유전자의 분석을 위해 PCR과 DNA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역학관계는 MLST (multilocus sequence typing)를 통해 조사하였다. 78 균주의 CRKP 중 35 균주(44.9%)가 carbapenemase 생성 K. pneumoniae였으며, 주요 carbapenemase 유형은 KPC-2 (30주, 85.7%)로 확인되었다. NDM-1과 NDM-5는 각각 4 균주(11.4%)와 1 균주(2.9%)에서 확인되었다. MLST 분석에서 10개의 sequence type (ST)이 확인되었고, 가장 흔한 ST는 ST307 (51.4%, 18/35)이었다. ST307 균주는 모두 KPC-2 생성 K. pneumonia였고, 다제내성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T307은 4년 동안 지속적으로 출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PC-2 생성 K. pneumoniae ST307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감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 perspectives on atypical pneumonia in children

  • Shim, Jung Ye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12호
    • /
    • pp.469-476
    • /
    • 2020
  • The major pathogens that cause atypical pneumonia are Mycoplasma pneumoniae, Chlamydophila pneumoniae, and Legionella pneumophila.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caused by M. pneumoniae or C. pneumoniae is common in children and presents as a relatively mild and self-limiting disease. CAP due to L. pneumophila is very rare in children and progresses rapidly, with fatal outcomes if not treated early. M. pneumoniae, C. pneumoniae, and L. pneumophila have no cell walls; therefore, they do not respond to β-lactam antibiotics. Accordingly, macrolides, tetracyclines, and fluoroquinolones are the treatments of choice for atypical pneumonia. Macrolides are the first-line antibiotics used in children because of their low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and high safety. The incidence of pneumonia caused by macrolide-resistant M. pneumoniae that harbors point mutations has been increasing since 2000, particularly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marked increase in macrolide-resistant M. pneumoniae pneumonia (MRMP) is partly attributed to the excessive use of macrolides. MRMP does not always lead to clinical nonresponsiveness to macrolides. Furthermore, severe complicated MRMP responds to corticosteroids without requiring a change in antibiotic. This implies that the hyper-inflammatory status of the host can induce clinically refractory pneumonia regardless of mutation. Empirical macrolide therapy in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CAP, particularly during periods without M. pneumoniae epidemics, may not provide additional benefits over β-lactam monotherapy and can increase the risk of MRMP.

Streptococcus pneumonia 감염으로 변화한 사람 폐 상피세포 단백질의 프로테오믹 분석 (Proteomic Analysis of Protein Changes in Human Lung Cancer Epithelial Cells Following Streptococcus pneumoniae Infection)

  • 이윤영;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50-1056
    • /
    • 2013
  • Streptococcus pneumoniae는 전 세계적으로 급성 호흡기 질환 높은 사망률 나타내며, 정상인의 비인후부에 존재하여 호흡기 감염을 통해 폐렴, 수막염, 중이염, 패혈증, 복막염, 골수염 등을 일으킨다. 그러나 S. pneumoniae가 폐 조직에 침입하는 분자적 메커니즘과 혈류를 통한 침입은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S. pneumoniae D39의 감염 및 침입에 대한 분자 메카니즘을 알고자 사람의 폐암상피 세포 유래 A549 세포를 이용하여 감염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되는 A549 세포의 모양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숙주세포의 단백질 패턴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부 A549 세포는 감염 후 2 시간부터 세포의 모양이 둥근형태로 변화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감염 3 시간째에는 세포의 모양이 둥글며 filopodia가 아주 잘 발달하였다. 감염 4 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거의 모든 A549 세포가 둥글며 잘 발달된 filopodia를 형성하였다. 감염 후 각 시간 별 A549 세포의 총 단백질들을 추출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특이적으로 양 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단백질을 MALDI-TOF 분석법을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Streptococcus pneumoniae D39 감염 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단백질 중 대다수가 특이하게도 molecular chaperone에 속하는 단백질들이었다. 대표적인 cytosol chaperone인 Hsp90과 Hsp70의 경우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낸 반면에 endoplasmic reticulum (ER)에 존재하는 chaperone인 Grp94와 Grp78 (BiP)은 감염 후 점차 증가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ER chaperone인 Grp94와 Grp78의 증가는 ER stress signaling pathway와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S. pneumoniae D39의 감염에 의한 이들 단백질의 변화 패턴을 ER stress를 유발 시켰을 때와 비교하였다. Tunicamycin 또는 thapsigargin으로 처리하여 ER stress를 유발시킨 A549 세포의 형태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흡착세포의 형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Western blot을 통한 molecular chaperone의 분석 결과는 S. pneumoniae D39 감염의 경우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S. pneumoniae D39의 감염은 A549 세포의 형태적 변화를 유발하며 또한 molecular chaperone 증가와 감소를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이적으로 Grp94와 Grp78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S. pneumoniae D39 감염은 A549 세포 내 ER stress를 유발한다고 생각된다.

광안리 오수처리장에 분리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Klebsiella와 Enterobacter의 유형 (Characterization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ESBL) Producing Klebsiella and Enterobacter Isolated from Sewerage Plant Drain Water at Kwang-An in Pusan)

  • 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7-283
    • /
    • 2001
  • 본 논문은 임상검체 이외의 자연계내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균주의 분리 여부를 확인하고, 분리되었을 경우 이들의 유형을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하수종말처리장, 가물치양식장, 부경대학교 담수어양식장, 공중목욕탕으로부터 분리된 균주를 double disk synergy 검사, 교환접합시험, 등전점 조사 등을 실시하여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로붙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균주가 26 균주 분리되었다. 균종은 Entero-bacter cloacae와 E. sakazakii,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 및 K. pneumoniae subsp. ozaenae 였다. 이들은 모두 PCR결과 TEM+SHV 복합형이었고 등전점 결과 Klebsiella속의 균들은 pI 5.9, 5.9+5.4 E. cloacae는 $pI{\ge}8.5$, 8.0+5.4, E. sakazakii는 8.0+5.4, 8.0+5.9+5.4였다. 교차접합시험(transconjugation) 결과 피전달 균주인 E. coli RG176 nal$_{r}$에게 K. pneumoniae subsp. pneumoniae (1 균주) K. pneumoniae subsp. ozaenea (5 균주)및 E. cloacae (1 균주)의 $\beta$-lactamase 생성유전자가 전달되었다. 이 결과는 국내에서 임상검체 이외의 자연계에서 분리된 ESBL생성 장내세균의 첫 번째 보고이다.

  • PDF

호흡기질환 환자로부터 분리된 Mycoplasma pneumoniae의 tetracycline과 erythromycin에 대한 저항성 변이 (Tetracycline and Erythromycin Resistant Mutants of the Mycoplasma pneumoniae Isolated from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 장명웅;박인달;김광혁;송갑영;김성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63-870
    • /
    • 2005
  • 2002년 2월부터 2005년 4월까지 호흡기질환 환자로부터 분리된 M. pneumeniae 123 균주의 tetracycline과 erythromycin에 대한 MIC 범위는 각각 $0.5\~1.0$, and $0.5\~512{\mu}/ml$ 이었다. 분리된 M. pneumoniae 123 균주에서 plasmid DNA는 확인되지 않았다. 분리된 M. pneumoniae 123 균주 중에서 57($46.3\%$) 균주가 tetracycline에 저항성인 tetM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235 rRNA domain V에 erythromycin에 저항성 변이를 일으킨 균주가 60($48.8\%$)이었다. erythromycin에 저항성 변이를 일으키지 않은 63균주 중에서 tetM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균주는 36($57.1\%$)이었으며, erythromycin에 저항성 변이를 일으킨 60균주 중에서 21($35.0\%$ 균주가 tetM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로써 국내에서 tetracycline과 erythromycin에 대한 저항성 M. pneumoniae 균주의 분리율이 외국에 비하여 높으며, M. pneumoniae 감염의 치료에 erythromycin이 일차 선택제가 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범국가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국내 임상 분리주 Streptococcus pneumoniae KNIH1156으로부터 PspA 단백 항원의 정제 및 면역원성 확인 (The Purification and Immunogenicity of Pneumococcal Surface Protein (PspA) from Invasive Streptococcus pneumoniae KNIH1156 Isolated in Korea)

  • 정경석;배송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8-44
    • /
    • 2002
  • 국내 분리 침습성 균주중선별된 S. pneumoniae KNIH1156 (type 19F)으로부터 페렴구균의 병원성 인자이며 항원학적으로 다양한 표면단백항원인 pneumococcal surface protein A (PspA)를 분리${\cdot}$정제하였다. 폐렴구균을 CDM-ET배지에서 배양하게 되면 배지내로 PspA가 방출된다는 점과 PspA가 인간의 lactoferrin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CDM-ET 배지에서 S. pneumoniae KNIH1156 을 배양한 후 배양액을 농축하여 lactoferrinaffinity chromatography에 통과시켜 PspA를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 후 anti-PspA antiserum으로 PspA를 확인하여 순수분리, 정제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인간의 lactoferrin과의 결합능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순수하게 분리하여 정제된 PspA의 면역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CR mice에 욕강주사하였을 때 $LD_{50}$$1{\times}10^{7.5}$ CFU/ml께서 $1{\times}10^{10}$ CFU/ml로 약 500배 중가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S. pneumoniae KNIH1156 으로부터 분리${\cdot}$ 정제한 PspA가 면역원성과 방어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sociation of Mycoplasma pneumoniae in Asthma Pathogenesis

  • Marie, Mohammed Ali 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4호
    • /
    • pp.261-268
    • /
    • 2008
  • The role of atypical bacterial infection in the pathogenesis of asthma is a subject of continuing debate. There is an increasing body of literature concern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typical bacteria such as Mycoplasma pneumoniae (M. pneumoniae) and asthma pathogenesis. Moreover, many studies investigating such a link have been uncontrolled and have provided conflicting evidence, in part due to the difficulty in accurately diagnosing infection with these atypical pathogens. This manuscript will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M. pneumoniae infection and asthma pathogenesis.

Mycoplasma pneumoniae의 macrolide 내성과 연관된 유전자 변이의 검출 (Detection of genetic mutations associated with macrolide resistance of Mycoplasma pneumoniae)

  • 오지은;최은화;이환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178-183
    • /
    • 2010
  • 목 적 : 최근에 macrolide계 항균제에 내성인 M. pneumoniae 균주가 증가한다는 외국의 보고가 있었으며, 국내에서 수행된 한 연구에서도 M. pneumoniae의 macrolide 내성률을 49% 정도로 보고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 pneumoniae 폐렴으로 진단된 소아의 비인두 흡인물에서 M. pneumoniae의 macrolide 계항균제 내성에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 변이 유무를 확인하고, M. pneumoniae의 macrolide계 항균제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M. pneumoniae 배양법을 구축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2000년과 2003년 M. pneumoniae 감염의 유행기에 급성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치료받은 소아 중 혈청학적 검사와 M. pneumoniae PCR을 통해 M. pneumoniae 폐렴으로 진단받은 환아 62명으로 부터 채취하여 $-80^{\circ}C$에 보관되었던 비인두 흡인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M. pneumoniae의 23S rRNA domain V의 peptidyl transferase 부위와 ribosomal protein L4를 M. pneumoniae 특이 PCR로 증폭한 후 염기서열분석을 시행하였다. 염기서열의 분석은 M. pneumoniae 표준 균주와 비교하여, 23S rRNA domain V의 A2063G, A2064G 변이와 ribosomal protein L4의 M144V변이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M. pneumoniae 표준 균주와 33개의 비인두흡인물($-80^{\circ}C$에 보관되었던 28검체와 1-2일간 냉장보관되었던 비인두흡인물 5 검체)을 Chanock's glucose 액체배지와 한천배지에 접종하고 $37^{\circ}C$의 5% $CO_2$ 항온기에서 6주간 관찰하여 배양을 확인하였다. 결 과 : 총 62 검체 중 23S rRNA gene에 대한 염기서열분석이 가능했던 61 검체 중 1검체(1.6%)에서 A2064G변이가 관찰되었고, 62 검체의 ribosomal protein L4에 대한 염기서열분석 결과 17검체(27.4%)에서 M144V 아미노산 변이가 확인되었다. M. pneumoniae 배양 결과, 표준 균주는 Chanock's glucose 액체배지와 한천배지 모두에서 배양되었고 2009년에 채취된 5검체 중 2검체에서 배양이 확인되었으나, $-80^{\circ}C$에 보관되었던 28검체는 모두 배양되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23S rRNA gene의 유전자 변이 빈도는 매우 낮았고, ribosomal protein L4의 M144V 변이는 좀 더 많은 검체에서 확인되었다. Macrolide계 항균제에 내성인 M. pneumoniae의 분포와 M. pneumoniae의 23S rRNA gene과 ribosomal protein L4의 변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들을 통해 M. pneumoniae의 macrolide 항균제에 대한 내성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호흡기질환 환자에서 분리한 Mycoplasma pneumoniae의 Quinolone계와 Macrolide계 항생물질에 대한 다제 저항성 (Multi-drug Resistance of Mycoplasma pneumoniae Isolates from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against Quinolone and Macrolide)

  • 전성곤;장명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3호통권83호
    • /
    • pp.435-443
    • /
    • 2007
  • 호흡기질환 환자의 상기도 도말물로 부터 분리 동정된 M. pneumoniae 116균주의 moxifloxacin, levofloxacin, sparfloxacin, ofloxacin, ciprofloxacin, clarithromycin minocycline, erythromycin, josamycin, and tetracycline에 대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항생물질에 대한 저항성 균주의 기준은 $MIC{\pm}1.0$ ${\mu}g/ml$ 로 하였으며, 초기 MIC와 최종 MIC를 구분하여 다제 저항성 균주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초기 MIC의 결과로 분리된 균주의 단일 약제에 대한 저항성은 ciprofloxacin이 79.3%, ofloxacin이 53.5%, clarithromycin이 10.3%, erythromycin이 7.8%이었으며, 2가지 약제에 저항성은 ofloxacin과 ciprofloxacin이 42.2%, ciprofloracin과 clarithromycin이 9.5%이었으며, 3가지 약제에 저항성은 erythromycin, ofloxacin과 ciprofloxacin이 6.9%, ofloxacin, ciprofloxacin과 clarithromycin이 6.0%이었다. 최종 MIC의 결과로 분리균의 단일 약제에 대한 저항성은 tetracycline, ciprofloxacin, ofloxacin이 각각 91.4%, minocycline이 89.7%, erythromycin이 68.1%, josamycin이 52.6%, clarithromycin이 28.5%, sparfloxacin이 11.2%이었으며, 2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의 분포는 $20.7{\sim}91.4%$, 3가지약제에 저항성인 규의 분포는 &28.5{\sim}89.7%$, 4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의 분포는 2.6%, 5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은 $2.6{\sim}21.6%$, 6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은 $0.9{\sim}24.1%$이었으며, 7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은 $0.9{\sim}2.6%$이었으며, 8종류 약제에 저항성인 균도 1.7%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국내에서 분리된 M. pneumoniae 균주는 적게는 1-4 종류의 항생제에, 많게는 5-8 종류의 항생제에 저항성인 균주가 있으므로 마이코플라스마폐렴 환자를 치료할때는 macrolide계나 quinolone계의 항생제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가급적이면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함으로써 저항성균의 출현율을 줄일 수 있고 효율적인 치료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lebsiella pneumoniae가 생산하는 Glutamine synthet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lutamine synthetase of Klebsiella pneumoniae)

  • 차정학;이왕식;성하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9-264
    • /
    • 1991
  • K.pneumoniae의 nif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glnA 산물 (GS)의 영향을 살펴보기 앞서 K.pneumoniae의 GS를 분리.정제하여 그 성질을 조사하였다. K.pneumoniae의 GS는 분자량 약 600,000의 12개 동일 subunit으로 구성되어져 이었으며 최적 반응 pH 및 온도는 각기 pH 7.0, $37^{\circ}C$ 였고 pH 5-8사이에서 활성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57^{\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 할 때 50의 활성 감소가 나타났다. 또 암모니아 농도의 변화에 따라 adenylylation-deadenylylation 기작에 의한 활성조절기작이 E.coli GS와 동일 했으며 anti-E.coli GS 항체를 이용한 immunodiffusion에서도 K.pneumoniae GS가 E.coli GS와 혈청적으로 매우 유사함이 드러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