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ume diffusion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2초

자료동화기술을 이용한 대기중 오염물질 확산평가 (Data Assimilation Techniques Applied to Estimate the Dispersion of the Pollutant in the Atmosphere)

  • 한문희;정효준;김은한;서경석;황원태;이선미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368-376
    • /
    • 2004
  • 영광부지의 추적자 확산실험결과의 자료동화를 통하여 Gaussian plume 모형의 확산인자의 수정과 추적자 방출률 평가를 수행하였다. 부지 주변의 여러 지점에서 관측한 실험결과에 선형계획법을 적용하여 확산평가에 있어선 가장 불확실성이 크다고 알려진 확산인자를 수정하였다. 원자력 비상시 초기 대응평가에 사용되는 정보 가운데 가장 큰 불확실성을 포함한 선원항 정보를 추적자 농도 분포로부터 추정하였다. 실험 당시의 추적자 방출량을 모른다고 가정하고 Gaussina plume 모형의 예측치와 확산실험의 실측치를 이용한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방출률을 추정하였다. 확산인자를 수정한 후 Gaussian plume 모형의 예측력은 방출점으로 3km 및 8km 떨어진 포집선 두 경우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당시의 방출률을 모른다고 가정하고 관측지점의 농도에 최소자승법을 적용한 결과 24%이내에서 실제 방출률을 양호하게 추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wo-dimension Numerical Simulation of Stack Flue Gas Dispersion

  • Park, Young-Koo;Wu, Shi-Chang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3-39
    • /
    • 2012
  • A numerical simulation of plume from a stack into atmospheric cross flow is investigated using a two-dimension model. The simulation is based on the ${\kappa}{\sim}{\varepsilon}$ turbulence model and a finite volume method. In this paper, it mostly researches how the wind velocity affects the flue gas diffusion from an 80 m high stack. Wind veloc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flue gas diffusion. The plume shape size, the injection height, the NO pollutant distribution and the concentration at the near ground are presented with two kinds of wind velocities, 1 m/s and 5 m/s. It is found that large wind velocity is better for flue gas diffusion, it generates less downwash. Although the rise height is lower, the pollutant dilutes faster and more sufficient.

Numerical simulation of diffusion in the stratified flow

  • Mizumoto N.;Kawamura T.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3년도 The Fifth Asia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onference
    • /
    • pp.255-256
    • /
    • 2003
  • Simulations of atmospheric diffusion process under stable and unstable conditions were carried out using both numerical and experimental methods. Results from the previous study show that numerical simulation using 3-dimensional in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 and density deviation are in good agreement with typical plume pattern. In this study, we use experimental data of temperature and wind profile obtained from a thermally stratified wind tunnel as initial conditions for numerical simulation and compare the results.

  • PDF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방사성 물질의 해양 확산 평가 (A Study on the Oceanic Diffusion of Liquid Radioactive Effluents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

  • 김숭평;이경진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6
    • /
    • 1998
  • 영광 원전 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액체 방사성 물질의 확산 모델을 개발하였다. 영광에서의 해양 확산 조건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수치적 모델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미규제 지침 1.113에서 제시한 통계적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발전소 운전 조건이나, 피폭 경로에 따른 희석 인자를 계산할 수 있는 컴퓨터 코드를 개발하였다. 액체 방사성 물질의 확산에 대해서, 혼합 범위에 따라 근거리 혼합 모델과 원거리 혼합 모델로 구분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근거리 혼합 현상은 부력과 초기 운동량 및 난류에 의해 결정된다. 원거리 혼합에서는 대기 중의 구름 확산과 유사하게 가우시안푸륨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피폭 경로에 대해 물리적으로 타당한 적분을 수행함으로서, 경로에 따른 희석 인자를 구할 수 있었다. 개발된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에 의하면, 현행 영광 ODCM에 사용되는 희석 인자는 상당히 과평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산악지형에서의 원자력발전소 사고시의 피폭해석 (Analysis of Radiation Exposure from Nuclear Reactor Accident in Complex Terrain)

  • Moon Hee Han;Sung Ki Chae;Moon Hyun Ch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216-223
    • /
    • 1985
  • 원자력 발전소로부터 방출되는 기체상 방사성 물질에 의한 환경 영향을 평가함에 있어서 방사성 물질의 대기중에서의 수송과 확산을 기술하는 모델로써 Gaussian plume mode띠 널리 사용되고 있다. Gaussian plume model은 평탄한 지형에 적용하도록 만들어진 모델이므로 대부분의 국토가 복잡한 산악으로 구성된 한극의 경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수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적 x-z 평면에서 확산방정식을 해석한 numerical diffusion model과 Gaussian plume model을 비교하여, Gaussian plume mode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인 dispersion coefficient를 지형의 높이에 대하여 보정하였다. 보정된 dispersion coefficient 값을 Gaussian plume mode에 적용시켜 계산을 수행한 결과를 보면, 산악지역에서의 방사성 물질의 농도는 평지에서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 PDF

A Study on Reactions of $NO_x$, $NO_x$ and $O_3$ Chemistry in an Exhaust Plume under a Stratospheric Condition

  • Nakaya, Shinji;Osaka, Jun;Tsue, Mitsuhiro;Kono, Michikata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2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79-484
    • /
    • 2004
  • Reactions of NO$_{x}$, HO$_{x}$ and $O_3$ chemistry in a diffusion process of the exhaust plume under a stratospheric condition were investigated numerically. Expanding Box method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exhaust gases from a stratospheric flight system on $O_3$ depletions. Sensitivity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identify prime reactions of $O_3$ depletions in an exhaust plume right after the nozzle. In addition, a calculation of reactive flows in stratospheric condit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actions in a plume. As a result of this study, prime reactions of NO$_{x}$, HO$_{x}$ and $O_3$chemistry in an exhaust plume were identified, and fundamental behavior of chemical species were examined in a exhaust plume.t plume.

  • PDF

이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준설 탁도플륨의 혼합거동 연구 (A Study on Mixing Behavior of Dredging Turbidity Plume Using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 박재현;김영도;이만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충남 서산에 위치한 부남호에서 준설시 발생하는 탁도플륨의 이송 및 확산과정을 2차원 수치모형인 RMA2 모형과 RMA4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다항목수질모니터링시스템(YSI6600EDS)을 이용해 측정한 탁도분포와 비교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부남호에서 준설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인근지점에서의 연직방향 탁도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표층에서 거리에 따른 수평방향 탁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부남호 전 구간에 대해서 2차원 흐름해석 모형인 RMA2 모형을 적용하였고, 실제 준설작업이 이루어지는 2호지에 대해서 RMA2 모형과 RMA4 모형을 적용하였다. 준설지점의 초기 농도값에 대한 저수지 내 각 지점에서의 거리에 따른 농도비를 현장측정 결과와 비교한 결과, 수치해석에 의한 탁도플륨의 이송확산 모의 결과는 준설작업에 대한 환경영향 범위를 예측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설 탁도플륨의 3차원 이송확산 거동 모형 (3-D Dispersive Transport Model for Turbidity Plume induced by Dredging Operation)

  • 강시환;강인남;이정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B호
    • /
    • pp.557-562
    • /
    • 2006
  • 준설작업으로 인해 재부유된 퇴적물로 구성된 탁도플륨의 이송확산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이(1998)가 제안한 수치 해석의 혼합방법(hybrid method)을 사용하여 3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에서는 이송 및 확산식의 수치해석에 있어 이송 과정은 전방입자추적기법(forward particle-tracking method), 확산 과정은 유한차분기법을 사용하여 수치계산에 있어 무작위 행보(random walk) 방법에 비해 계산시간이 크게 단축되었으며, 수치모의 결과의 정확성도 크게 향상되었다. 본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1, 2차원 해석해와의 비교, 그리고 Kuo 등(1985)의 3차원 수리해석모형의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모형의 검증 결과는 비교적 해석해와 잘 일치하였다.

대기중 나노초 펄스레이저 어블레이션의 수치계산 (Numerical simlation of nanosecond pulsed laser ablation in air)

  • 오부국;김동식
    •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7-45
    • /
    • 2003
  • Pulsed laser ablation is important in a variety of engineering applications involving precise removal of materials in laser micromachining and laser treatment of bio-materials. Particularly, detailed numerical simulation of complex laser ablation phenomena in air, taking the interaction between ablation plume and air into account, is required for many practical applications. In this paper, high-power pulsed laser ablation under atmospheric pressure is studied with emphasis on the vaporization model, especially recondensation ratio over the Knudsen layer. Furthermore, parametric studies a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laser fluence and background pressure on surface ablation and the dynamics of ablation plume. In the numerical calculation, the temperature, pressure, density, and vaporization flux on a solid substrate are obtained by a heat-transfer computation code based on the enthalpy method. The plume dynamics is calculated considering the effect of mass diffusion into the ambient air and plasma shielding. To verify the computation results, experiments for measuring the propagation of a laser induced shock wave are conducted as well.

  • PDF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방사성 물질의 대기 확산 평가 (A Study on the Diffusion of Gaseous Radioactive Effluents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

  • 나만균;이경진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251-257
    • /
    • 1998
  • 국내 원전에 적용하기 위한 기체 방사성 물질 확산 및 피폭 평가 코드를 개발하였다. 정상 운전에 의한 기체 방사성 물질 확산 및 피폭 평가에는 직선 궤도 가우시안 플륨 모델을 사용하는 XOQDOQ 코드가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 코드의 단점인 발전소 주변 지역에서의 바람 방향의 영향, 산악 지형에 대한 모델, 습식 침적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현실적인 유효 고도 보정 및 산악 침투 모델을 통해서 산악 지형에 대한 고려를 하였고, 바람 발생 확률 빈도를 수정하여 직선 궤도 모델을 보완하였다. 개발된 코드는 영광원전의 주민피폭선량평가를 위해 채택되었으며, 산악이 많은 우리 나라 다른 발전소에 적용하기 위해 산악지형 입력변경을 통하여 적절히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