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otosus lineatu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쏠종개 Plotosus lineatus (Thunberg)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Striped Eel Catfish Plotosus lineatus (Thunberg))

  • 허성일;유용운;노섬;이치훈;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41-146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reproductive cycle of the striped eel catfish Plotosus lineatus. Specimens were sampled in the coastal waters of Sungsan and Jocheon, east of Jeju, Korea, from September 2001 to August 2002. The gonadosomatic index (GSI) in females and males were reached a maximum in June $(14.18{\pm}10.38)$ and July $(0.35{\pm}0.12)$, respectively. Based on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GSI variation, the reproductive cycle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uccessive stages: in females, growing (September-April), mature (April-June), spawning (June-July), and degenerative and recovery (July-September) and in males, growing (August-December), mature (September-May), spent (April-July), and degenerative and recovery (June-August). The total length at 100% maturity exceeded 15 cm and the fecundity ranged from 525 to 1176 eggs. The fecundity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otal length and body weight.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gonads suggest that this species is a spring-summer spawner with group-synchronous type oocyte development.

한국산 쓸종개, Plotosus lineatus (Thunberg) 수염의 조직 (Histology of the Barbels of Striped Sea Catfish, Plotosus lineatus (Thunberg))

  • 박인석;설동원;김은미;김영자;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8-163
    • /
    • 2005
  • This paper deals with the histology of the barbels of striped sea catfish, Plotosus lineatus (Thunberg). This fish have eight noticeable barbels of two pairs on their maxillary and mandibular. Each barbel is composed of an epidermis, dermis and a central rod of cartilage. The epidermis in the middle part of the maxillary barbel is thicker than those on other parts, and formed of stratified epithelium which contains many cutaneous taste buds and a few small club cells. Number of taste buds increase on the middle and posterior part of each barbel. The dermis consists of loose connective tissue fibers which encloses blood vessels and bundles of nerve fibers. The barbels of this fish can be categorized into stiff and flexible types and are accessory, feeding and sensory structures. Thus we substantiate that they are gustatory receptor organs for this fish.

쏠종개, Plotosus lineatus Thunberg 수염의 상대성장 (Relative Growth of Barbels in Striped Sea Catfish, Plotosus lineatus Thunberg)

  • 박인석;허준욱;이영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109-113
    • /
    • 2005
  • To facilitate estimation of the barbel size of a striped sea catfish, Plotosus lineatus Thumberg total length (TL) and head length (HL) against body weight (BW), HL against TL, and 1st maxillary barbel $(MxBL_1)$, 2nd maxillary barbel $(MxBL_2)$, 1st mandibular barbel $(MnBL_1)$ and 2nd mandibular barbel $(MnBL_2)$ against HL were regressed. The relationship of TL and HL for BW were described by the equation $TL=50.9373BW^{0.3072}\;(r^2=0.9898)$ and $HL=11.2938BW^{0.3144}(r^2=0.9572)$,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of HL for TL was described by the linear equation $HL=0.1982TL+2.1996(r^2=0.9568)$. The relationship of each barbel for HL described by the equation of $HxBL_1=0.04420HL+0.3105(r^2=0.9615),\;MxBL_2=0.4592HL+0.5321(r^2=0.9519), MnBL_l=0.4057HL+1.9824 (r^2=0.9465)\;and\;MnBL_2=0.4355HL+1.8010(r^2=0.9429)$. Knowledge of the relative growth patterns about each barbel of this species is important for the propagation of seed as stock for large-scale striped sea catfish culture.

경남 통영 풍화리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변동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s of Punghwa-ri, Tongyeong, Korea)

  • 김진성;노연희;이용득;정찬교;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1-112
    • /
    • 2023
  • 경남 통영시 풍화리 잘피밭에서 어류의 종조성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2021년 4월부터 22년 3월까지 지인망(surf net)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10년전 수행된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에서 종조성과 우점종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출현하지 않았던 아열대성 어종인 독가시치(Siganus fuscescens), 쏠종개(Plotosus lineatus), 두줄베도라치(Petroscirtes breviceps)가 출현하였다.

제주 천제연 하구 소상어류의 월별 종조성 (Monthly Species Composition of Upstream-Migrating Fish in the Cheonjeyeon Estuary of Jeju, Korea)

  • 황학빈;이태원;황선완;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0-219
    • /
    • 2008
  • 2004년 1월에서 9월 및 2007년 1월에서 8월 사이 천제연 하구에서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여 월별 밤과 낮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천제연 하구의 하천과 바다 사이에 건설된 보의 수로에 망목 2 mm의 그물을 설치하여 매월 그믐 밤과 낮에 바다에서 민물로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와 숭어 (Mugil cephalu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강하성 어류인 실뱀장어(Anguilla japonica)가 소상 시기인 2월에서 5월 밤에 주로 채집되었고, 기수성인 갈문망둑(Rhinogobius giurinus), 검정망둑(Tridentiger obscurus), 열동갈문절(Sicyopterus japonicus)과 꾹저구(Gymnogobius urotaenia) 같은 망둑어류가 채집되었다. 담수어류인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가 소량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간조 때 담수를 따라 바다로 이동된 후 만조 때 다시 담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채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산어인 멸치(Engraulis japonicus), 주걱치(Pempheris japonica), 쏠종개 (Plotosus lineatus), 복섬 (Takifugu niphobles)이 소량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만조 때 담수로 유입되는 해수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채집된 것으로 보인다. 은어는 조사기간 동안 계속 채집되었으며, 전장(TL) 55~100 mm인 개체들이 주로 채집되었으나 4월 이후에는 100 mm TL보다 큰 개체들도 채집되었다. 숭어도 조사기간 동안 계속 채집되었으며, 대부분 전장 범위가 28~58 mm 사이였으나, 2월과 4월에는 103~240 mm TL의 큰 개체들도 채집되었다. 제주도의 하천은 육지로부터 고립되었고 그 길이도 짧아 담수종의 수가 적고 기수역이 발달하지 않아, 담수종이나기수성 어류가 많지 않은 관계로 소상 어류상이 빈약한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의 어류군집에 관한연구 I. 종조성과 계절변화 (Study on the Fish Community in the Seagrass Belt around Cheju Island I.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fish community)

  • 고유봉;조성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8-60
    • /
    • 1997
  • 제주도 북방 함덕연안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과 계절변화 그리고 잘피의 계절변화에 따른 서식지로서의 특정을 주간과 야간채집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어류의 채집은 소형 beam trawl을 이용하여 1993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실시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35과 58종으로 주년에 걸친 우점종은 실비늘치, 흰줄망둑, 그물코쥐치, 실고기 그리고 쏠종개였으며, 이들 5종이 전체개체수의 86.1%, 생물량의 62%를 차지하였다. 주간과 야간의 출현비율은 총 36,378개체중 주간이 17%였고 야간이 83%을 차지하였다. 생물량에 있어서도 전체 90,874g중 주간이 22%, 야간이 78%였다. 단위체적당 개체수와 생물량은 주간이 개체수에서 평균 26.2미/$100m^3$$83.5g/100^3$ 이였으며, 야간에는 평균 147.8미/$100m^3$$347.9g/100^3$ 였다. 어류군집의 계절변화에서는 10월~12월 이개체수나 생물량에서 가장 풍부하였으며, 개체수에서는 1월~4월이, 생물량은 5월~6월에 가장 낮았다. 출현어류의 90%이상이 14cm이하의 소형개체였다. 전장 4cm이하의 자어나 치어는 연중출현하고 있었으며, 특히 주요어종의 새로운 가입군은 잘피의 성장기인 1~6월, 쇠퇴기인 7~12월의 개체군으로 나눌수 있었다. 전자는 실비늘치, 흰줄망둑, 민베도라치, 노래미 및 가시망둑이 후자에는 그물코 쥐치, 실고기, 쏠종개 및 두줄베도라치가 포함되었다.

  • PDF

제주도 사계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과 격월별 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Bimonthly Changes of Fish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oi, Jeju Island)

  • 김맹진;한송헌;김준상;김병엽;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2-221
    • /
    • 2014
  • 제주도 사계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류군집에서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4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삼중자망과 통발을 이용하여 채집된 어획물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종조성은 총 10목 35과 60종이 출현하였고, 삼중자망에서 52종이 출현하였고 통발에서 20종이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전체개체수는 1,921개체, 생체량은 324,206 g이었다. 이 가운데 개체수에서 우점한 5종은 황놀래기, 쏠종개, 어랭놀래기, 쏨뱅이, 가시복이었으며, 생체량에서는 가시복, 쏨뱅이, 쥐치, 황놀래기, 두줄촉수였다. 조사기간 중 어획된 전체어류의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생체량과 이들 어류군집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인 수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염분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수온이 올라가거나 염분이 떨어지면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그리고 생체량이 증가하고, 그 반대일 경우에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고수온기인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그리고 저수온기인 2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