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isy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초

Diagnostic Tools of Pleural Effusion

  • Na, Moon J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5호
    • /
    • pp.199-210
    • /
    • 2014
  • Pleural effusion is not a rare disease in Korea. The diagnosis of pleural effusion is very difficult, even though the patients often complain of typical symptoms indicating of pleural diseases. Pleural effusion is characterized by the pleural cavity filled with transudative or exudative pleural fluids, and it is developed by various etiologies. The presence of pleural effusion can be confirmed by radiological studies including simple chest radiography, ultrasonography, or computed tomography. Identifying the causes of pleural effusions by pleural fluid analysis is essential for proper treatments. This review article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iagnostic approaches of pleural effusions and further suggested ways to confirm their various etiologies, by using the most recent journals for references.

반추동물 급성기관지폐렴균 Pasteurella haemolytica에 항균활성을 갖는 물질의 특성규명 (An Antibacterial Compound against Pasteurella haemolytica Poduced by Streptomyces sp. 51086)

  • 강희철;유인자;윤봉식;전용수;유익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9-343
    • /
    • 1999
  • Pasteurella haemolytica is well known to cause severe pneumonia, consolidation and oedema of the lung, and fibrinous pleurisy under the stress and infection of virus in the cattle. In the course of our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P.haemloytica, compound 51086 has been isolated from the fermentation broth of Streptimyces sp. 51086. The compound 51086 was purified by SiO2, Sephadex LH-20 and ODS column chromatographies and HPLC, subsequently. The structure of compound 51086 was determined as hygromycin A by combination of 1H NMR, 13C NMR, HMBC, and ESI-MS. This compound showed significa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haemolytica and P.multocida.

  • PDF

흉막중피 세포종 -4례 보고- (Pleural Mesothelioma -Report of 4 Cases-)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권1호
    • /
    • pp.49-54
    • /
    • 1969
  • Four cases of pleural mesothelioma were treated surgically. The tumors from all cases were microscopicaly malignant, although only in one case the tumor was found to be diffuse in growth. The diagnosis made before operation were exudative pleurisy, empyema or lung cancer with no tumor cells found in examination of pleural fluid, sputum or the specimen of pleuraI biopsy. In two cases only the tumors were resected, and in other two cases pneumonectomy and pleuropneumonectomy were performed. Irradiations added in two cases postoperatively were found not to be beneficial. Postoperative recurrence of tumor growth were found in three cases within two months after surgery, and in one case no evidence of recurrence was noted four and a half months after resection of the tumor.

  • PDF

결핵성 만성 농흉벽에 원발한 T 세포형 악성 임피종;1례 보고 (T-cell Non-Hodgkin`s Lymphoma originating in the wall of Chronic Tuberculous Empyema - One Case Report -)

  • 송우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0호
    • /
    • pp.1102-1106
    • /
    • 1992
  • A 66-year-old male patient was admitted due to chest pain and dyspnea of 1 year duration, He had history of treatment for tuberculosis and pleurisy, about 40 years ago. At another hospital the patient underwnt closed thoracostomy drainage for six months, and thereafter the symptom gradually aggrevated. Under the diagnosis of chronic tuberculous empyema, decortication was performed. The peel attached to the posterolateral aspect of chest wall, there was an area of soft tissues with pale-brown discoloration, extending to intercostal muscles, but sparing overlying muscles. The biopsy specimen of the lesion was pathologically diagnosed as diffuse, large T-cell non-Hodgkin`s lymphoma. A review of the literature showed that malignant lymphoma of this type have been reported exclusively from Japan but never from other countries including Korea. After 1 year of followup period, the patient is well and stable.

  • PDF

질경이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Jil-Kyung-Ee')

  • 김진수;정애영;이준도;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6-154
    • /
    • 1996
  • Korean folk medicine 'Jil-Kyung-Ee' has been used to cure female disease, acute gastritis, edema, abdominal pain and pleurisy.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not been confirmed pharmocognostically.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Jil-Kyung-Ee',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and roots of Plantago species growing in Korea, i.e. P. asiatica L., P. camtschatica Cham., P. depressa Willd., P. lanceolata L., P. major L. var. japonica (Fr. et Sav.) Miyabe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Jil-Kyung-Ee' was the whole plant body of Plantago asiatica and Plantago camtschatica.

  • PDF

Fibrinous pleuritis associated with Streptococcus canis in a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

  • Min-Gyeong Seo;Kook-Young Han;Sang-Hyun Kim;Chang Keun Kang;Jong-Hyun, Kim;Il-Hwa Ho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5호
    • /
    • pp.68.1-68.6
    • /
    • 2023
  •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 is a small wild cat assessed as an endangered wildlife in Korea. There have been very few reports of their diseases. Herein, we describe fibrinous pleuritis caused by Streptococcus canis infection with excessive pleural effusion, hydropericardium, mild ascites, and liver fibrosis in a leopard cat. S. canis is a commensal microflora in domestic cats and often affects the upper respiratory tract inducing chronic and severe respiratory diseases. However, there is no literature regarding the S. canis in leopard cats. Therefore, we first report fibrinous pleuritis associated with an S. canis infection in a leopard cat.

결핵성 및 악성 흉막염에서 TNF-$\alpha$, TGF-$\beta$ 및 섬유소용해계의 역할 (TNF-$\alpha$ TGF-$\beta$ and Fibrinolytic Parameters in Tuberculous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s)

  • 심태선;양성은;지현숙;김미정;정훈;제갈양진;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2호
    • /
    • pp.149-161
    • /
    • 2000
  • 서론 : 결핵성 흉막염은 치료후에도 약 50% 정도에서 흉막비후가 발생한다. 일부 연구에서 흉막액내 TNF-$\alpha$의 증가 및 섬유소융해의 장애등이 흉막비후의 원인으로 제시되었지만, 아직 흉막비후의 발생기전 또는 예측인자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TGF-$\beta$는 섬유화를 촉진시키며 결핵성 흉막액에서 증가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한편 결핵성 흉막염 및 악성 흉막염은 림프구 우세성 삼출액 소견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본 연구자는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TNF-$\alpha$, TGF-$\beta$ 그리고 섬유소 융해계 인자들을 측정하여 양 군간에 비교하였고, 결핵성 흉막염에서 치료 후 흉막비후 발생의 예측인자를 찾고자하였다. 방법 : 1997년 2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으로 진단받고, 흉막액 검체가 보관되었던 각각 35명과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핵성 흉막염은 모두 4제병용 1차 항결핵 치료를 시행하였다. 각 군에서 임상상을 비교하였고, 흉막액에서 일반 흉막액 검사를 시행하고, TNF-$\alpha$, TGF-$\beta$1, tPA, PAI-1, plasminogen, $\alpha$2-antiplasmin, 그리고 D-dimer를 측정하였다. 결핵성 흉막염 환자 중에서 치료를 종료한 30명을 대상으로 흉막비후가 2mm 미만인 군과 2mm 이상인 군으로 나누어 양 군간에 흉막액 검사소견 및 임상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TNF-$\alpha$ tPA, PAI-1, plasminogen, $\alpha$2-antiplasmin, 그리고 D-dimer 모두 말초혈액보다 흉막액에서 증가되어 있었고, 악성 흉막액 환자에서는 plasminogen, $\alpha$2-antiplasmin, 그리고 D-dimer가 말초혈액보다 흉막액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TNF-$\alpha$, TGF-$\beta$, PAI-1, plasminogen, 그리고 $\alpha$2-antiplasmin 는 악성 흉막액 보다 결핵성 흉막액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항결핵치료 종료 후 2mm 이상의 흉막비후가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 사이에 TNF-$\alpha$, TGF-$\beta$ 그리고 섬유소융해계의 측정치들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결핵성 흉막염 환자의 흉막액 TNF-$\alpha$ TGF-$\beta$ 및 섬유소융해계가 흉막비후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었으나, 흉막비후 발생의 예측인자는 찾지 못하였다. 또한 양 질환의 감별에도 기존의 검사들에 비하여 추가적 유용성은 없었다.

  • PDF

결핵성 흉막염 치료 후 잔여 흉막비후의 자연흡수 (Spontaneous Resolution of Residual Pleural Thickening in Tuberculous Pleurisy)

  • 경선영;김유진;임영희;안창혁;이상표;박정웅;정성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69-76
    • /
    • 2005
  • 연구배경 : 결핵성 흉막염은 치료 이후 약 43 - 50%에서 잔여 흉막비후가 남으며 최근 치료 종결 이후에도 잔여 흉막비후의 자연흡수가 있을 수 있다. 저자들은 결핵성 흉막염에서 치료 종결 시점과 이후 마지막 추적 관찰시점까지 흉막 비후 정도를 추적 관찰하여 자연 흡수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따라 흉막비후의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3월부터 2003년 6월까지결핵성흉막염으로 진단받고 외래 추적 관찰이 이루어진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투약 종료 시에 2mm이상의 잔여 흉막비후를 보이는 경우는 56%, 마지막 관찰시점(관찰기간중앙값 8개월)에서 42%로 9례가 관찰기간 중 자연 흡수되어 흉막비후가 소실됐으며, 15 례에서 10mm 미만으로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투약 종료 시에 흉막비후가 남아있던 36례 중 92%가 마지막 추적시까지 흉막비후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자연흡수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흉막비후의 감소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 투약 종료 시에 잔여 흉막비후의 예측인자는 높은 CRP였고 최종 관찰시점에서는 흉수 내 낮은 총 백혈구치이었다. 결 론 : 결핵성 흉막염은 치료종결 후에도 자연흡수가 이루어지며 이는 흉막비후의 유무를 진단하는데 있어 치료종결시점이 아닌 추적 관찰이 이루어진 후에 판단하고, 그에 따른 예측인자를 분석하는 시도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중등도 결핵 유병률 지역에서 결핵성흉막염 진단에 있어 흉수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와 림프구/호중구 비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e Pleural Fluid Adenosine Deaminase with Lymphocyte/Neutrophil Ratio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for a Region of Intermediate Prevalence of Tuberculosis)

  • 김창환;모은경;박성훈;황용일;장승훈;박용범;김철홍;김동규;이명구;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6호
    • /
    • pp.437-443
    • /
    • 2009
  •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있어 여러 보조 지표들이 이용되고 있으나 흉수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만큼 시행이 용이하고 저렴하면서 높은 특이도를 보이는 검사법은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위양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질병의 유병률에 따라 진단율이 좌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등도 결핵 유병률을 보이는 지역에서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있어 흉수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와 림프구/호중구 비의 유용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흉수천자에서 삼출성 흉수가 확인된 총 3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흉수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 활성도 및 림프구/호중구 비에 따라 구분한 후 최종 진단 결과와 비교 분석하는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388명 중 108명의 환자가 결핵성 흉막염으로 진단되었다. 그 중 102명에서 흉수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 활성도가 40 IU/L 이상이었다.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기준을 흉수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 40 IU/L 이상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94.4%, 특이도는 87.5%였으며, 사후확률은 74.5%였다. 하지만 흉수 림프구/호중구 비 0.75 이상을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기준으로 함께 고려하였을 때 특이도와 사후확률은 각각 97.5%, 93%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양성우도비도 39.5로 높게 나타났다. 흉수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와 림프구/호중구 비가 높았던 다른 원인으로는 림프종, 전이암종이 있었으며, 이들의 경우 흉부단순촬영이나 CT에서 종괴형 병변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 론: 중등도 결핵 유병률을 보이는 지역에서 삼출성 흉수의 원인을 평가하는데 있어 흉수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와 림프구/호중구 비를 우선 측정하고, 그 결과가 높고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종양이 의심되지 않는다면 결핵성 흉막염으로 진단할 수 있겠다.

폐외 결핵에서 전혈 인터페론 감마 측정법의 진단적 유용성 (The Usefulness of Whole-blood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for the Diagnosis of Extra-pulmonary Tuberculosis)

  • 이혜민;조성근;강형구;박성운;이병욱;이재희;전은주;최재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4호
    • /
    • pp.331-337
    • /
    • 2009
  • Background: The whole-blood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QuantiFERON-TB Gold [QFT-G]: Cellestis, Carnegie, Victoria, Australia) has been studied primarily for the use of diagnosing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TB) or latent TB. In the present study, the usefulness of QFT-G was evaluated for the diagnosis of extra-pulmonary tuberculosis (EP-TB). Methods: From June 2006 to February 2009,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QFT-G in patients (n=65) suspected with EP-TB, retrospectively. The diagnostic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the QFT-G assay were analyzed. Results: EP-TB was diagnosed in 33 (51%) participants. The overall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the QFT-G assay for EP-TB were 78%, 79%, 81%, and 77%, respectively. Of the 33 with EP-TB, 14 (42%) were diagnosed with TB pleurisy, 7 (21%) with TB lymphadenitis, 7 (21%) with intestinal TB, and 5 (15%) with EP-TB in other sites. In subgroup analyses according by site of infection, the QFT-G showed 86% sensitivity, 64% specificity, and 78% NPV in TB pleurisy. On the other han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NPV of the assay were 71%, 83% and 71%, respectively in TB lymphadenitis, and 86%, 100% and 88%, respectively in intestinal TB. Among the patients with suspected alternative site EP-TB,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NPV of the assay were 50%, 80% and 67%, respectively. Conclusion: The QFT-G assay showed moderate diagnostic accuracy in EP-TB. However, negative QFT-G assay does not exclude EP-TB because of the low NPV of this ass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