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isy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8초

림프구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에서 NO(nitric oxide)의 측정 (Measurement of Nitric Oxide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Lymphocytic Pleural Effusion)

  • 김태형;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61-367
    • /
    • 2005
  • 배 경 : 림프구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은 매우 중요하나, 적절한 검사 후에도 감별이 되지 않는 예가 있다. NO는 급성 염증반응 시 혈청, 객담, 호기 응축액 등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활동성 폐결핵 환자의 객담 및 호기에서도 증가하고 적절한 치료 후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결핵성 흉막염에서도 증가 할 가능성이 있으나, 결핵성 흉막염에서 NO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림프구성 흉막염 중 결핵성 흉막염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NO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4월부터 2005년 4월까지 한양대 구리병원에 급성 흉막염으로 입원하여 흉수 검사 결과 림프구성 흉막염 소견을 보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흉수 및 혈청 NO를 측정하였으며, 대상 환자는 27명으로, 남:여 각각 14:1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8세였다. 최종진단은 결핵성 흉막염 17명, 악성 흉수 10명이었다. 결 과 : 흉수 NO는 결핵성 흉막염 $540.1{\pm}116.4{\mu}mol$, 악성흉수 $383.7{\pm}71.0{\mu}mol$이며, 혈청 NO는 결핵성 흉막염 $624.7{\pm}142.0{\mu}mol$, 악성 흉수 $394.4{\pm}90.4{\mu}mol$이었고, 각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흉수 NO는 흉수 호중구수, 흉수/혈청 단백질비, 흉수/혈청 알부민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핵성 흉막염군과 악성 흉수막염군의 비교에서 흉수 단백질양, 흉수 백혈구 수 및 림프구수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각 p<0.05). 결 론 : NO는 림프구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에 있어서는 유용성이 적으며, 흉수 NO는 흉강 내 호중구의 모집 및 단백 누출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으나, 추후 다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심한 흉막비후로 진행하여 흉막박피술을 시행받은 결핵성 흉막염 환자들의 흉막액 분석 (Pleural Fluid Analysis in Tuberculous Pleurisy Progressing into Severe Pleural Thickening Underwent Pleural Decortication)

  • 정재호;박무석;김세규;장준;정경영;김성규;김영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4호
    • /
    • pp.353-360
    • /
    • 2003
  • 목 적 : 결핵성 흉막염의 일부에서는 항결핵제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흉악박피술이 필요한 심한 흉막비후로 진행되지만 어떤 인자들이 이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적다. 이에 저자 등은 초기 흉막액이 소방화 되어 있지 않은 결핵성 흉막염 환자 중에 항 결핵제를 투여 받았으나 흉악비후가 진행되어 흉막박피술을 시행 받은 군과 항결핵제만으로 유착없이 호전된 군간에 임상적 차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내원한 결핵성 흉막염 환자 중에 항결핵제를 투여 받았으나 항결핵제만으로 호전된 1군(85명)과 심한 흉막비후가 진행되어 흉박박피술을 시행 받은 2군 (36명)간의 임상적 차이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흉막박피술을 시행한군 중 남자에서 유의하게 많았다(호전군 : M/F=53/32, 심한 흉막비후군 : M/F=31/5)(p=0.010) 수술 시행군($58{\pm}4$ mg/dL)에서 흉막액 포도당 값이 호전군($89{\pm}3$ mg/dL)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01, ADA 값도 수술시행군($86{\pm}5$ IU/L)에서 호전군($76{\pm}3$ IU/L)보다 높게 나타났다(p=0.038). 흉막액의 pH, 단백질, LDH 및 천자횟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남자, 흉막액 포도당 값이 낮거나 흉막액 ADA 값이 높은 경우에 결핵성 흉막염에서 흉막박피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았지만 임상적으로 신뢰할만한 예측지표로서 결론 내리기에는 아직 부족하며, 향후 대량의 전향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이 동반된 심실중격결손증의 외과적 치료 (Ventricular Septal Defect Associated with Aortic Insufficiency)

  • 두홍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6호
    • /
    • pp.1111-1116
    • /
    • 1988
  • Neurofibromatosis is very rare syndrome characterized by abnormal cutaneous pigmentation and numerous skin tumors was described by Smith in 1849, which is inherited as an autosomal dominant trait. Von Recklinghausen reported 2 cases of multiple skin and subcutaneous tumors in 1982. Malignant peripheral nerve tumors, although generally rare, are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malignant tumors associated with Neurofibromatosis. We have experienced 3 cases of malignant Schwannoma in neurofibroma patients from 1982 to 1988 for 6 years at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department,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l. One is 62 years old female who was taken total hysterectomy followed by irradiation treatment due to Uterine Carcinoma 21 years ago. She had a large bulging mass on left anterior chest wall and was taken enbloc resection of tumor including rib confirmed malignant Schwannoma. 2. Another is 18 years old female who had large bulging mass on right chest wall and pleural effusion in right thoracic cavity. Thoracentesis revealed a large amount of lymphocytes misdiagnosed of Tbc, pleurisy with Neurofibromatosis. We performed tissue biopsy on bulging mass and the specimen was confirmed malignant Schwannoma 2 months after first diagnosis of Tbc. pleurisy. She was not accessible to radical resection because of far advanced malignant Schwannoma at that time. 3. Third case is 28 years old male who was taken enbloc resection of tumor including rib due to Neurofibroma with Neurofibromatosis at M. hospital 6 months ago. But he had rapid growing mass at operation site again and taken tissue biopsy confirmed of malignant Schwannoma. He was not accessible to enbloc resection due to malignant Schwannoma extending to mediastinal structures.

  • PDF

흉막삼출액을 동반한 비정형 폐렴환자 치험 1례 (A case of Atypical pneumonia with Pleural effusion)

  • 김승욱;문성호;허영란;한이수;최준혁;임성우;손정숙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89-494
    • /
    • 2001
  • Pneumonia is the disease caused by inflammation of lung parenchyma. Major symptoms of pneumonia are fever, cough, etc and consolidation is seen in chest x-ray. When pleurisy gets in complication of pneumonia, pleural effusion occurs. Also chest pain occurs by pleurisy. Gyulhyung is the disease of which major symptom is chest pain. Sugyulhyung from in Gyulhyung, the water sound is audible from the flank side the fact that as Sugyulhyung. Symptom of Gyulhyung is similar to that of pneumonia. We diagnosed this case as Gyulhyung and administrated Banhabogryeongtang to patient. As result, there is remarkable Improvement in symptom and chest x-ray.

  • PDF

결핵성 흉막염에서 스테로이드의 치료 효과 - 전향적, 임의추출법에 의한 비교 - (Evaluation of Steroid Therapy in Tuberculous Pleurisy -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

  • 방제소;김명식;곽승민;조철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52-58
    • /
    • 1997
  • 목 적 : 결핵성 흉막염치료에 부신피질호르몬제재 - 화학요법이 보편화되었고, 이러한 복합요법에서 스테로이드가 임상증상의 호전, 삼출액의 조기 흡수 및 흉막유착의 진행에 대해 일부 저자들은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으나, 일부에서는 특별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는 등 논란이 되어왔다. 이에 저 자등은 결핵성 흉막염환자의 스테로이드치료가 임상증상의 호전, 삼출액의 흡수 촉진, 흉막 유착의 방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및 이의 통상적 적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6월부터 1994년 9월까지 인하대학교 부속병원에 입원하였던 84명의 결핵성 흉막염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임의추출방법에의하여 스테로이드군과 비스테로이드군으로 나눠 임상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발열감, 흉통, 호흡곤란 등의 임상증상은 스테로이드군에서 평균 3.8 일, 비스테로이드군에서 7.4 일에 증상 호전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특히 발열감, 흉통, 가래, 체중감소 등에는 스테로이드 투여군에서 효과적이었지만, 허약감, 취침시 발한, 호흡곤란 등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2) 흉막저류액의 완전 흡수는 스테로이드군에서 평균 88일, 비스테로이드군에서 101일로 스테로이드군에서 기간이 더 단축된 것을 볼 수 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3) 흉막유착은 스테로이드군에서 51.5%(17/33), 비스테로이드군에서 64 %(32/50)으로 스테로이드군에서 감소되어 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4) 스테로이드군 중 한명의 환자에서 상복부동통을 호소하는 것 이외에는 주목할만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 론 : 결핵성 흉막염에서 스테로이드투여는 임상증상의 기간을 단축시키지만, 저류액의 흡수촉진, 흉막유착에는 뚜렷한 효과가 없어서 이의 통상적 적용은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서 결핵균 항원 자극에 의한 흉수 세포의 IFN-γ 분비 검사의 유용성 (The Utility of Pleural Fluid Cell IFN-γ Production Assay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 박재석;김윤섭;지영구;이계영;최주영;조성애;조상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186-192
    • /
    • 2005
  • 연구배경 : 결핵균 항원자극에 의한 흉수 세포의 $IFN-{\gamma}$ 분비검사가 결핵성 흉막염과 다른 원인의 흉수의 감별진단에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39명의 결핵성 흉막염 환자와 비결핵성 흉수를 보인 26명의 환자(부폐렴성 흉수 13명, 암성 흉수 13명)들의 흉수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면서 PPD와 PHA로 24시간 자극한 후 배양상층액의 $IFN-{\gamma}$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1) 결핵성 흉수의 ADA 활성도 및 $IFN-{\gamma}$ 농도는 비결핵성 흉수보다 높았다(p < 0.01). 2) PPD로 흉수세포들을 자극하였을 때 분비되는 $IFN-{\gamma}$ 농도는 결핵성 흉수($755,266{\pm}886,636pg/ml$)에서 비결핵성 흉수($3,509{\pm}6,980pg/ml$)보다 높았다(p<0.01).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기준을 $IFN-{\gamma}$ 농도가 10,000 pg/ml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을 경우 민감도는 97.4%, 특이도는 92.3%였다. 3) PPD 자극에 의한 흉수세포의 $IFN-{\gamma}$ 분비를 PHA로 자극하였을 때의 $IFN-{\gamma}$ 분비에 대한 비로 비교하였을 때 결핵성 흉수($59{\pm}85$)에서 비결핵성 흉수($5{\pm}18$)보다 높았다(p<0.01).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기준을 PPD/PHA 비가 5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을 경우 민감도는 76.9%, 특이도는 92.3%였다. 결 론 : 결핵균 항원 자극에 의한 흉수세포 $IFN-{\gamma}$ 분비검사는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항결핵제 사용 중 폐병변의 일시적 악화를 보인 환자의 임상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radoxical Response to Chemotherapy in Pulmonary Tuberculosis)

  • 김수희;정효영;이기동;신민기;정태식;진병철;김현정;유진종;이종덕;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27-35
    • /
    • 2002
  • 목 적 : 결핵 치료 중 폐병변이 일시적으로 악화를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적절한 항결핵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병변이 커지거나 새로운 병변이 생기는 것으로, 폐암과 약제 내성 결핵 또는 비결핵 마이코 박테리움증 등에 의한 치료 실패와 감별을 요한다. 결핵 치료 중 생기는 일시적 악화의 임상 양상과 경과를 관찰하고 이것의 예측 인자를 찾음으로써 다른 질환과의 감별에 도움되고 사망률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3월부터 2000년 7월까지 경상대학병원에서 폐결핵과 결핵성 흉막염으로 진단 받고 6개월 이상 항 결핵 약제를 복용한 환자 205명을 대상으로 하여, 투약 시작 후 약 1개월 간격으로 촬영한 흉부 방사선의 변화를 비교하여 일시적 악화를 판단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 205명 종 일시 적 악화틀 보인 환자는 29명(14.1%)이었다. 항 결핵 약제 투여 후 일시적 악화를 보이는 시기는 평균 32일이었고, (폐결핵:평균 35일, 흉수 결핵:평균 25일), 대부분 1개월 째에 일시적 악화를 보였다. 일시적 악화 후에 치료전의 병변보다 줄어드는 데 걸려는 기간은 평균 116일이었고 (폐결해 :114일, 흉수 절핵 :124일), 3 개월 째에 호전 (29%)되는 환자가 가장 많았다. 일시적 악화를 보인 환자 29명중 남녀 비율은 4.8 : 1 (24명:5명)로서 남자 환자가 많았다. 항 결핵제를 사용하기 전의 초기 백혈구 수는 일시적 악화를 보인 군에서 평균 8610/$mm^3$로 그렇지 않은 군의 7308.6/$mm^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22). 평균 LDH 농도는 일시적 악화군에서 850.6 IU/L으로 그렇지 않은 군의 594.6 IU/L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85). 결 론: 항결핵제 사용 중인 환자에서 일시적 악화의 빈도는 14.1%였고, 1 개월 이내외 환자가 가장 많았고, 대부분 4개월 경에 호전되는 양상이었다. 남자인 경우와 혈액의 백혈구 수치가 높은 경우가 일시적 악화를 보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액의 백혈구 수치는 일시적 악화의 예측 인자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흉수 내 총 LDH 농도는 일시적 악화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으나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85).

결핵성 흉막염 치료 후 흉막비후의 예측인자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leural Thickening in Tuberculous Pleurisy)

  • 박재석;전용;최은경;지영구;이계영;김건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1호
    • /
    • pp.17-24
    • /
    • 1999
  • 연구배경: 결핵성흉막염 환자중에서 일부에서 적절한 항결핵 약물치료 후에도 흉막비후가 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흉막비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결핵성 흉막염 치료 후 흉막비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이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3월부터 1998년 1월까지 단국대학교 부속병원에서 결핵성 흉막염으로 진단받고 6 개월간 적절한 항결핵 약물치료와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5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6개월 치료 후 단순흉부사진상 흉막비후가 있었던 환자군(1군 : 27명)과 흉막병변이 소실되었던 환자군 (2군 : 31명)으로 나누고 진단당시 임상소견, 방사선소견, 흉수소견 등을 분석하여 두 군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 과: 47%(27/58)의 환자에서 치료 후 흉막비후가 있었고, 남자에서 여자에 비해 흉막비후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54% 대 29%, p=0.092). 2 군의 환자중에서 흉막 병변이 완전히 소실된 시기는 1-2개월째는 26%, 3-4개월째는 29%, 5-6개월째는 45%로 흉막병변은 비교적 늦게 소실되었다. 1 군에서 2군에 비해 진단시 방사선 소견상 소방화를 보였던 환자가 더 많은 경향을 보였고(26% 대 19%), 흉수에서 백혈구와 임파구 숫자가 많거나 락트산탈수소효소치가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3527\pm5652$$2467\pm2201/ml$, $2066\pm2022$$1698\pm1835/ml$, $1636\pm1143$$1441\pm923IU/ml$),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진단시 까지의 증상의 기간, 진단시의 흉수의 양, 폐실질의 결핵변변, 흉수에서의 총단백량, 포도당치, Adenosine deaminase 활성도는 두 군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결 론: 결핵성 흉막염의 53%에서 6개월 치료 후 흉막병변의 소실을 보였는데, 병변의 소실은 주로 후기에 많았다. 진단당시의 임상소견, 방사선학적 소견, 흉수검사소견 중에 흉막비후의 예측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 인자는 없었다.

  • PDF

결핵흉막염 치료 중에 발생한 역설적 반응에 대한 연구 (Paradoxical Response Developed during the Antituberculous Treatment in Tuberculous Pleurisy)

  • 송은주;백대현;정준영;이상렬;이명하;이성혁;이재형;이기덕;이병훈;김상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6호
    • /
    • pp.427-432
    • /
    • 2008
  • 연구배경: 결핵환자에서 항결핵제 치료 중 초기에 병변의 호전 이후 방사선학적, 임상적으로 이전의 병변이 악화 되거나 새로운 병변이 발생하는 경우를 역설적 반응이라 정의한다. 결핵흉막염에서의 역설적 반응 발생과 이와 관련된 인자에 대해서 알려진 바는 많지 않다. 방 법: 2004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결핵흉막염으로 진단받고 4개월 이상 항결핵제를 복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항결핵제 투약 전과 투약 후 흉부 방사선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살펴보고 치료시작 2주 후에 이전의 병변의 악화나 새로운 병변이 생긴 경우를 역설적 반응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역설적 반응군이 발생하였던 환자군과 발생하지 않았던 환자군 간의 임상적인 특성과 흉수, 혈액 검사를 비교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 77명 중 역설적 반응을 보인 환자는 16명(21%)이었다. 역설적 반응을 보인 시기는 항결핵제 사용 후 평균 38.6일이었으며, 병변의 크기가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32.1일이었다. 역설적 반응은 젊은환자에서(30.5세 vs 39.0세), 그리고 흉수의 백혈구 중 림프구의 백분율이 높았던 경우에서(82.1% vs 69.6%) 많이 발생하였다. 결 론: 결핵흉막염의 항결핵제 치료 중에 발생하는 역설적 반응은 드물지 않았으며 환자의 연령과 흉수의 백혈구 중 림프구의 백분율이 역설적 반응의 발생빈도와 관련이 있었다.

결핵환자에서 말초혈액과 흉막액내 ${\gamma}{\delta}$ T 림프구의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gamma}{\delta}$ T lymphocytes in patients with pleural tuberculosis)

  • 송광선;신계철;김도훈;홍애라;김희선;용석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44-51
    • /
    • 1997
  • 연구배경 : 최근 알려진 ${\gamma}{\delta}$ 수용체는 결핵균 감염의 초기에 제2형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계(MHC class II)의 인식없이 결핵균 항원에 반응하여 세포성 면역반응을 나타냄이 보고되었다. 이에 연구자등은 페결핵환자와 결핵성 흉막염 환자, 그리고 다른 원인의 흉막염 환자사이에 T 림프구의 조성과 ${\gamma}{\delta}$ T-림프구 수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방법 : 대상은 폐결핵환자 30예(이중 결핵성 흉막염환자 15예), 폐암 환자 12예(이중 악성 흉막염 환자 9예), 폐렴 7예(이중 폐렴성 흉막염 6예)등 모두 49예였다. 혈청 ADA(adenosine deaminase)활성도는 Hitachi 747 자동화학분석기에서 측정하였다. T 세포 림프구 아형의 분류는 lysed whole blood method로 anti-Leu4, anti-Leu3a, anti-Leu2a, anti HLA-DR 그리고 anti-TCR-${\gamma}{\delta}$-1를 이용하여 flow cytometer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말초혈액내 ${\gamma}{\delta}$-T 림프구의 평균치는 $4.8{\pm}4.6%$ 였고, 결핵군(29예) $5.5{\pm}4.5%$, 비결핵군(14예) $3.3{\pm}2.9%$(폐암군 $4.0{\pm}3.2%$, 폐렴군 $2.2{\pm}1.6%$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4). 질병의 이환기간 1개월 이내의 환자중에서도 결핵군(20예) $6.4{\pm}6.6%$, 비결핵군(14예) $3.3{\pm}2.9%$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6)(Table 1). 2. 흉막액내 T 세포 림프구 아형중 CD4 림프구는 결핵성 흉막액에서는 $54.6{\pm}13.8%$, 비결핵성 흉막액에서는 $36.2{\pm}25.3%$(악성 흉막액 $38.4{\pm}23.8%$, 폐렴정 흉막액 $30.1{\pm}34.0%$ 결핵성 흉막액에서 의의있게 높았다(p=0.04)(Table 2). 3. 흉막염이 있던 환자에서 말초혈액내 ${\gamma}{\delta}$-T 림프구는 결핵성 흉막염군(14예)이 $7.0{\pm}9.0%$, 비결핵성 흉막염군(11예) $3.0{\pm}2.0%$ (악성 흉막염군 $3.1{\pm}2.2%$, 폐렴성 흉막염군 $2.7{\pm}1.7%$로 차이는 없었다(p=0.16). 흉막액내 ${\gamma}{\delta}$-T 림프구는 결핵성 흉막염군(15예)이 $3.9{\pm}2.9%$, 비결핵성 흉막염군(10예) $2.1{\pm}2.2%$(악성 흉막염군 $2.0{\pm}2.5%$, 폐렴성 흉막염군 $2.4{\pm}1.7%$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2). 4. 환자의 연령이나 성별과 말초혈액내 ${\gamma}{\delta}$-T 림프구수와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폐결핵 환자에서 병변의 정도, 혈청 및 흉막액내 ADA와 ${\gamma}{\delta}$-T 림프구수와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 결핵성 흉막염환자에서 말초혈액 및 흉막액내 ${\gamma}{\delta}$-T 림프구수의 유의한 증가는 없어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되며, ${\gamma}{\delta}$-T 림프구의 증가는 결핵 초기 환자들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