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al carcinoembryonic antige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53초

Pleural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as Predictive Indicators of Visceral Pleural Invasion in Clinical T1N0M0 Lung Adenocarcinoma

  • Hye Rim Na;Seok Whan Moon;Kyung Soo Kim;Mi Hyoung Moon;Kwanyong Hyun;Seung Keun Y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1호
    • /
    • pp.44-52
    • /
    • 2024
  • Background: Visceral pleural invasion (VPI) is a poor prognostic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upstaging of early lung cancers. However, the preoperative assessment of VPI presents challeng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ntraoperative pleural carcinoembryonic antigen (pCEA) level and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as predictive markers of VPI in patients with clinical T1N0M0 lung adenocarcinoma.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of the medical records of 613 patients who underwent intraoperative pCEA sampling and lung resection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Of these, 390 individuals with clinical stage I adenocarcinoma and tumors ≤30 mm were included.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pleural contact (n=186) and non-pleural contact (n=204) groups.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pCEA and SUVmax in relation to VPI. Additio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VPI in each group. Results: ROC curve analysis revealed that pCEA level greater than 2.565 ng/mL (area under the curve [AUC]=0.751) and SUVmax above 4.25 (AUC=0.801) were highly predictive of VPI in patients exhibiting pleural contact. Based on multivariable analysis, pCEA (odds ratio [OR], 3.00; 95% confidence interval [CI], 1.14-7.87; p=0.026) and SUVmax (OR, 5.25; 95% CI, 1.90-14.50; p=0.001)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VPI in the pleural contact group. Conclusion: In patients with clinical stage I lung adenocarcinoma exhibiting pleural contact, pCEA and SUVmax are potential predictive indicators of VPI. These markers may be helpful in planning for lung cancer surgery.

악성 종양 표지자가 상승된 만성 흉수를 동반한 종격동 기형종 1예 (A Case of Mediastinal Teratoma Associated with Elevated Tumor Marker in Chronic Empyema)

  • 엄수정;양두경;이수걸;손춘희;노미숙;김기남;이기남;최필조;방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2호
    • /
    • pp.127-131
    • /
    • 2009
  • 기형종은 주로 전 종격동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대부분 무증상이며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다. 드물게 기형종이 파열하여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합병증은 급성 증상을 동반한다. 저자들은 급성 증상없이 만성적인 경과를 보인 기형종 파열 1예를 경험 하였다. 환자는 왼쪽 폐에 다량의 흉수가 있었는데 배액관 삽입으로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흉수의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및 carbohydrate antigen 19-9 (CA19-9)이 증가되어서 악성 흉수를 동반하는 종양과 구별이 어려웠다. 본 증례는 이차 감염에 의한 농흉을 치료하기 위해 흉강경으로 확인하기 전까지는 확진이 어려웠고, 매우 높은 흉수 내 악성 종양 표지자 수치를 보인 증례가 국내에는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유사 증례의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Diagnostic Value of Interleukin 21 and Carcinoembryonic Antigen Levels in Malignant Pleural Effusions

  • Bunjhoo, Hansvin;Wang, Zheng-Yun;Chen, Hui-Long;Cheng, Sheng;Xiong, Wei-Ning;Xu, Yong-Jian;Cao, Y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495-3499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interleukin 21(IL-21) and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in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TPEs)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s (MPEs). Pleural effusion samples from 103 patient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diagnosis as TPE (n=51) and MPE (n=52). The concentration of IL-21 was determined by ELISA. Lactate dehydrogenase (LDH), adenosine dehydrogenase (ADA) and CEA levels were also determined in all pati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levels of ADA and CEA (P<0.01), but not in the levels of LDH (P>0.05) between TPE and MPE. The concentration of IL-21 in MPE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PE (P<0.01). With a threshold value of 4.32 pg/ml, IL-21 had a sensitivity of 76.9% (40/52) and a specificity of 80.4% (41/51). Combined detection of IL-21 and CEA had a sensitivity of 69.2% (36/52) and a specificity of 92.2% (47/51). These two markers can contribute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MPEs.

림프구 우위성 삼출성 늑막액의 진단에 있어서의 경피적 늑막 침 생검의 역할 (The Role of Percutaneous Pleural Needle Biopsy in the Diagnosis of Lymphocyte Dominant Pleural Effusion)

  • 임재준;김우진;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99-906
    • /
    • 1997
  • 연구 배경 : 경피적 늑막 침 생검술은 항산균 검사 음성이고 세포진 검사에서 악성세포를 찾을 수 없는 림프구 우위성 삼출성 늑막액의 진단에 있어서 시금석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경피적 늑막 침 생검술은 침습적인 시술이며 그 진단율이 않고 비교적 높은 부작용을 동반한다. 최근 흉수의 adenosine deaminase와 carcinoembryonic antigen의 농도가 결핵성 늑막염과 악성 감별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경피적 늑막 칩 생검의 유용성을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 입원한 림프구 우위성 흉막 삼출증 환자 중 항산균 도말 검사가 음성이고 세포진 검사 역시 음성이어서 늑막 침 생검을 시행한 7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늑막 침 생검의 결과와 합병증의 병발 비율을 조사하였으며 흉수의 ADA가 40IU/L이상인 집단, CEA가 10ng/ml 이상인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최종 진단과 늑막 침 생검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총 73례의 늑막 침 생검으로 35례에서는 특이 진단이 가능하였는데 모두 결핵성 늑막염과 합치하는 소견이었으며 30례에서는 비특이적 늑막염으로 특이진단을 내릴 수 없었고 나머지 8례는 적절한 늑막 조직을 얻지 못하였다. 기흉등의 합병증은 9례 즉 12%에서 발생하였다. 흉수 ADA 수치가 40IU/L 이상이었던 49례의 경우 진단을 내리지 못한 2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결핵성 늑막염으로 진단되어 결핵성 늑막염에 대한 양성예측율은 100%였는데 늑막 침 생검으로는 28례만을 결핵성 늑막염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한편 흉수 CEA가 10ng/ml 이상이었던 6례는 결국 악성 늑막 삼출 4례, 악정 종양과 연관된 늑막삼출과 결핵성 늑막염 각 1례씩으로 진단되어 악성 늑막 삼출에 대한 양성 예측율은 83%였고 늑막 침 생검으로는 한례도 진단해내지 못하였다. 결 론 : 항산균 도말 검사와 세포진 검사 음성인 림프구 우위성 늑막 삼출의 진단에 있어서 경피적 늑막 침 생검의 진단율은 48%로 높지 않으며 흉수 ADA가 충분히 CEA가 낮은 경우의 결핵성 늑막염에 대한 양성 예측율은 100%로 경피적 늑막 칩 생검의 역할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 PDF

흉막삼출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흉막액 Adenosine Deaminase 활성도 및 Carcinoembryonic Antigen 병행측정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Combined Assay of Pleural Fluid ADA Activity and CEA Level in the Various Pleural Effusions)

  • 이장훈;장상호;이홍렬;곽승민;장중현;김병일;천선희;김세규;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35-42
    • /
    • 1993
  • 연구배경 : 흉막삼출의 원인 규명을 위한 방법으로는 여출액과 삼출액을 감별하기 위한 흉막액 통상검사, 세균학적검사, 세포학적검사 및 흉막생검 등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여러가지 방법으로도 약 10~20% 에서는 그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기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확진된 흉막삼출 환자를 대상으로 흉막액의 adenosine deaminase (ADA) 활성도 및 carcinoembryonic antigen (CEA)을 측정함으로써 흉막삼출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에 있어서의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84년 3월부터 1987년 3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에 삼출성 흉막염으로 입원하였던 환자중, 진단이 확실한 결핵성 흉막염 환자 61예, 폐결핵에 동반된 흉막삼출 17예, 악성 흉막염으로 확진된 17예, 폐암 및 기타 장기암에 동반된 흉막삼출 22예, 부폐렴성 흉막삼출 7예로서 총 124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흉막액 ADA 활성도 및 CEA 치를 병행 측정하였다. 결과: 1) 결핵성 흉막삼출의 ADA 활성도는 악성 흉막삼출에 비하여 의의있게 높았다. 2) 악성 흉악삼출의 CEA 치는 결핵성 흉막삼출에 비하여 의의있게 높았다. 3) 흉막액 ADA 활성도가 40U/L 이상이면서 CEA 치 12ng/mL 미만인 경우를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기준으로 삼으면 그 예민도는 86.9%, 특이도는 100%이었다. 흉막액 CEA 치가 12 ng/mL 이상이면서 ADA 활성도가 40U/L 미만인 경우를 악성 흉막염의 진단 기준으로 하면 그 예민도는 76.5%, 특이도는 100%이었다. 결론 : 흉막액 ADA 활성도 및 CEA 치의 병행 측정은 흉막삼출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에 매우 중요한 지표로 삼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악성 종양에 의한 흉막삼출에서 적혈구수 몇 Carcinoembryonic Antigen 그리고 세포진 검사와의 관계 (Correlation of Gross Appearance or RBCs Numbers with Pleural Histocytology and Pleural Fluid Carcinoembryonic Antigen Values in Malignancy Associated Pleural Effusions)

  • 안강현;박수진;박재민;이준구;장윤수;최승원;조현명;양동규;김세규;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1031-1038
    • /
    • 1998
  • 목 적: 악성 종양과 연관된 흉막삼출에서 혈액상을 보이는 빈도를 확인하고 혈액상 여부와 세포진 검사나 흉막조직 검사의 양성률 그리고 흉막액 CEA 양성률과의 연관 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흉막액 CEA의 증가는 세포진 양성률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보인다고 하는데, 이에 대한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3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 대학 세브란스 병원에서 악성 종양으로 진단된 환자중 흉막삼출이 발생한 98예를 대상으로 흉막액의 통상검사(pH, cell count, glucose, protein, LDH)와 함께 흉막액의 외견, 적혈구 수, CEA, 그리고 세포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악성 종양과 연관된 흉막삼출의 44.9%에서 혈액상이었고 55.1%에서 장액상으로 나타났다. 흉막액의 적혈구 수가 $100,000/mm^3$ 이상 증가된 경우 흉막액 세포진 검사의 양성률은 42.8%였으며 흉막액의 적혈구수와 흉막액 세포진 검사의 양성률 그리고 CEA 양성률 등의 상호간에 연관관계는 없었다. 세포조직검사장 확진된 악성 흉막삼출의 경우 흉막액 CEA는 72.7%에서 10ng/ml 이상으로 증가된 소견을 보였고, 흉막액 CEA가 10ng/ml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 새포조직검사의 양성률은 58.2%였다. 종양 진단후 흉막액이 발현되기까지의 기간과 흉막액 세포진 검사의 양성률, 흉막액 CEA의 양성률, 그리고 흉막액 적혈구수 등의 상호간에 연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 론: 소견을 악성 종양과 연관된 흉막삼출의 44.9%에서 혈액상보였으며 흉막액내 적혈구 수의 증가와 세포조직학적 검사의 양성률이나 CEA의 양성률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흉막액 CEA의 측정은 세포조직학적인 양성률과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일부 비종양성 흉막삼출에 의한 증가를 임상적으로 배제하면 흉막생검, 세포진 검사와 함께, 악성 흉막삼출의 진단적 접근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악성 흉막액에서 CEA와 CYFRA 21-1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Utility of Pleural Fluid CEA and CYFRA 21-1 for Malignant Pleural Effusions)

  • 정재호;최정은;박무석;황상연;문진욱;김영삼;장준;김주항;김성규;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1호
    • /
    • pp.32-36
    • /
    • 2004
  • 목 적 : 악성 흉막액의 진단을 위해서는 흉막액 세포진 검사, 흉막 생검 등이 이용되지만 위음성의 문제가 있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여러 종양 표지자들이 흉막액에서 측정되어 왔다. 저자 등은 흉막액의 감별진단에 널리 알려진 CEA와 최근에 소개된 CYFRA 21-1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흉막액으로 내원한 222예(양성 150예, 폐암 57예, 전이성암 15예)를 대상으로 하여 전향적으로 혈청과 흉막액에서 CEA와 CYFRA 21-1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 과 : 양성 흉막액에 비해 악성 흉막액에서 유의하게 CEA와 CYFRA 21-1값이 높았으며, 특이도를 95%로 하였을 때 흉막액 CEA와 CYFRA 21-1의 cut off 값은 각각 5, 89 ng/ml 이었고 민감도는 각각 72%, 54%이었다. 흉막액에서 CEA와 CYFRA 21-1를 병용하여 검사했을 때의 민감도는 87%로 CEA나 CYFRA 21-1 단독검사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결 론 : 흉막액 CEA와 CYFRA 21-1 검사의 병용은 악성흉막액의 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Application of MMP-7 and MMP-10 in Assisting the Diagnosis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 Cheng, Daye;Liang, Bin;Li, Yun-H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2호
    • /
    • pp.505-509
    • /
    • 2012
  • Background: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 are proteolytic enzymes that are essentially involved in turnover of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The aim was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ue of MMP-7 and MMP-10 as tumor markers in pleural effusion (PE) and evaluate the value of combining MMP-7, MMP-10 and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ssays as diagnostic aids for malignant cell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79 patients with PE (87 malignant and 92 benig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levels of MMP-7 and MMP-10 were measured using ELISA. Results: Values for MMP-7 and MMP-1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ignant PE than those in benign PE (P<0.01). Among all variables evaluated, logistic regression found that MMP-7 and MMP-10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malignant disease (P<0.01). Analysis of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curves showed that the area under the curve of MMP-10 (0.806)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MMP-7 (0.771) and CEA (0.789) (P<0.01). With parallel interpretation, the combination of MMP-10 and CEA achieved the higher sensitivity of 94.6%. The combination of MMP-7 and CEA in serial interpretation was able to boost the specificity to 95.7%. The combination of MMP-7, MMP-10 and CEA produced better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than MMP-7 and MMP-10 alone. Conclusion: MMP-7 and MMP-10 in PE may represent helpful adjuncts to conventional diagnostic tools in ruling out malignancy as a probable diagnosis, thus guiding the selection of patients who might benefit from further invasive procedures.

단기배양한 중피세포의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Immunoc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hort-term Cultured Mesothelial Cells)

  • 전호종;이미자;이미숙;정유경;이영미;최형호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6-115
    • /
    • 1995
  • Reactive humsn mesothelial cells were examined by immunocytochemical stain with intermediate filaments (cytokeratin [CK1, CK7, CK8, CK18, CD19), vimentin, desmin, actin), epithelial membrane antigen,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MHC class II antigen (HLA-DR), LeuM-1 (CD15), $\alpha1-antitrypsin$(ACT), $\alpha1-antichymotrypsin$ (ACHT), CD68(KP-1) and FcyRIII(CD16). The mesothelial cells were isolated from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pleural effusion, and short-term cultured in RPMI 1640 media containing 10% heat inactivated fetal calf serum and 1% identical supernatant fluid of the patients' transudat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cultured-reactive mesothelial cells were positive for the protein of cytoskeleton such as cytokeratin and vimentin, but negative for desmin and actin. The resting mesothelial cells showed positive reactions for cylokeratin, but negative for vimentin, desmin and actin. 2. The primary antibodies to the cytokeratin were strongly reactive for CK1, CK8 and CK18 but negative for CK7 and CK19 in both reactive and resting mesothelial cells. 3. Resting mesothelial cells showed negative reactions for CEA, but strong positive reactions in cultured-reactive mesothelial cells. 4. The markers for the monocytes/histiocytes(CD11b, CD14, CD16, CD68, Iysozyme and $\alpha1-antitrypsin$ and $\alpha1-antichymotrypsin$) were nonreactive in resting mesothelial cells, but lysozyme and $\alpha1-antitrypsin$ were weakly reactive in reactive and proliferative mesothelial cells. 5. MHC Class II molecule(HLA-DR antigen) was negative in both resting and reactive mesothelial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hort-term cultured, reactive mesothelial cells show a newly aberrant expression of the vimentin and calcine-embryonic antigen. The reason of the aberrant expression of the intermediate filament and oncofetal antigen in reactive and proliferative mesothelial cells should be further evaluated.

  • PDF

항산균 도말 검사, 세포진 검사가 음성이고, ADA와 CEA가 낮은 림프구성 흉막 삼출증의 임상 양상과 예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Lymphocyte Dominant Exudative Pleural Effusion with Low ADA, Low CEA, Negative Cytology and Negative AFB Smear)

  • 강영애;윤영순;이세원;최창민;김덕겸;이희석;고동석;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임재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1호
    • /
    • pp.5-10
    • /
    • 2005
  • 연구 배경 : 흉수의 항산균 도말과 세포진 검사가 음성이며, 흉수의 ADA 가 40 IU/L 이하, CEA가 10 ng/ml 이하인 림프구성 흉막 삼출증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1년 8월 31일 사이에 서울대학교 병원을 방문한 림프구성 흉막 삼출증 환자들 중 흉수의 항산균 도말과 세포진 검사가 음성이며, 흉수의 ADA가 40 IU/L 이하, CEA가 10 ng/ml 이하인 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43명의 림프구성 흉막 삼출증 환자들 중 31예에서 임상적으로 추정되는 흉막 삼출증의 원인 질환이 발견되었는데, 악성 종양이 21예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 12예에서는 흉막 삼출증의 원인을 찾을 수 없었다. 12예 중 7예에서 흉막 삼출증이 자연 관해 되었으며 2예에서는 항생제 치료를 하면서 흉막 삼출증이 소실 되었고, 1예에서는 소량의 흉막 삼출액이 지속되었다. 결 론 : 흉수의 항산균 도말 검사, 세포진 검사가 음성이고 흉수의 ADA 와 CEA 가 낮은, 원인 질환이 뚜렷하지 않은 림프구성 흉막 삼출증은 양호한 예후를 보이므로 임상의는 주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주의 깊게 임상 경과를 살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