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yful Learni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 SW 교양수업의 놀이학습 적용방안 탐색 : 학습동기 제고를 위한 비전공자 수업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Playful Learning in SW Liberal Education to Enhance Learning Motivation : Focusing on non-CS students)

  • 곽소아;백재순;유수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27-340
    • /
    • 2022
  • 본 연구는 비전공 학생의 학습동기를 높여 학습 성취를 돕고, 온라인 SW 교양수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대학생 560명에게 효율적인 놀이 교육을 적용하였다. 수업 후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지역변수와 전역변수를 배우는 과정에서 지역별 '무'의 명칭을 즐거운 놀이학습으로 받아들였고, SW수업에서 예상치 못한 내용을 발견한 것에 대한 놀라움, 신기함을 비롯하여 학습에 대한 즐거움, 몰입, 자신감, 내적 동기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기 말 온라인 시험에서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관련 문항의 정답률 역시 92%로 전체 문항의 평균 정답률 67.1%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교사 보조 로봇 스타일에 따른 아동 반응 분석 (Analysis on Children's Response Depending on Teaching Assistant Robots' Styles)

  • 정재경;최종홍;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5-203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로봇 기술의 발달과 함께 지능형 로봇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점차 그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견된다. 많은 서비스 로봇들 중에서 교육용 로봇을 이용한 r-Learning의 개념과 함께 다양한 필드 스터디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교사 보조 로봇은 곧 실용화를 앞두고 많은 HRI 연구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로봇의 교수 스타일에 따라 학생의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평균키의 양팔이 달린 교사보조 로봇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고, 동일한 영어단원에 대하여 두 가지 교수 스타일(명랑, 진지)의 컨텐츠를 개발하여 탑재한 후 초등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흥미도, 성취도, 집중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실험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학생의 흥미도는 명랑한 로봇과 함께 수업한 집단이 높았지만, 성취도는 로봇의 스타일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며, 집중도는 진지한 교수 스타일의 로봇과 함께한 그룹의 시간이 길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보조 로봇의 컨텐츠를 제작함에 있어,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 PDF

초등과학 수업에서 자연 나눔 학습 방법의 적용 효과 - 4학년 식물 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haring Nature Learning Program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Focused the Plants Units of the 4th Grade)

  • 최선영;김혜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83-9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learning program using sharing nature that can be utilized in Korean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explore the its effects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of students after applying it. Sharing Nature used a playful and inspirational teaching strategy and was named after Flow Learning based on universal principles of how people learn. To examine the effects of Sharing Nature Learning Program this 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4th graders at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cheon City,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enhancement of the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In conclusion, Sharing Nature Learning Program is useful to develop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and had better be widely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미래 교수-학습 및 공간의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Future Teaching-Learning and Space)

  • 조진일;최형주;홍선주;안태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1호
    • /
    • pp.13-24
    • /
    • 2020
  • 본 연구는 미래 교수-학습방법 유형과 학습 공간 유형을 분석하여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적합한 공간 유형을 연결(matching)해보고, 공간 유형별 교수-학습방법과 학습양식의 활용정도를 학교급별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플립 러닝, 디퍼 러닝, 협력 학습, 몰입형 가상현실 학습, 놀이 학습, OER활용 학습 등 6가지의 교수-학습방법 유형과 놀이 및 탐구 공간, 제작 및 거치 공간, 발표 및 전시 공간, 독립된 학습 공간, 학습의 장으로서의 교실, 학습의 내용으로서의 교실 등 6가지의 학습 공간 유형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Table 12와 13과 같이 미래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적합한 공간 유형을 연결해보고, 공간 유형별 교수-학습방법뿐만 아니라 22가지 학습양식의 활용정도를 학교급 또는 학년군별로 제시하였다.

스마트 교육 콘텐츠의 UX 유형별 특성이 학습자의 몰입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smart educational contents by the UX types on the concentration and attitude of a learner)

  • 손준호;오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97-209
    • /
    • 2014
  • The smart paradigm in the modern society is bringing about a rapid smart sensation and there are means of informational communications being developed with the smart technology in various fields. Accordingly, for an effective smar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the customize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learners, the users of the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smart education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user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3 types of UX are found to have a playful influence on the learning concentration and it is also deduced that such concentration of a learner positively affects his or her attitude towards learning. Moreover, by the age and gender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for each of the UX type, so that, in result, gave the valid data for designing and applying the suitable UX type for creating contents of smart education for different main target groups.

건설현장에 접목한 가상체험·실물체험 안전교육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and Real Experience Type Safety Education at Construction Sites)

  • 조춘환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6
    • /
    • 2024
  • 본연구는 건설근로자 대상으로 실시되는 안전교육을 가상체험과 실물체험식 안전교육으로 진행되면 교육에 오락적, 일탈적, 심미적 요소가 더해진 학습효과로 건설업 안전사고는 현저히 감소함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체험교육에 대한 판별타당도 분석에서는 C.R=0.925327>0.7로 충족되었고, AVE= 0.716226>0.5로 수렴되어 신뢰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근로자의 행동 의도에 대한 MC 시뮬레이션 분석과 베이지안 구조방정식에서 근로자 행동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달라질 수 있지만, 교육의 정도에 따라 행동이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의도된 안전에 대한 확률밀도분포 분석결과 실물체험의 경험이 낮을수록 안전행동 보다 불안전 행동이 높고, 사고 위험이 증가함으로 체험식 안전교육이 근로자 행동변화와 건설 안전문화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가 검증되었다. 후속 연구에서도 체험교육 이수 근로자에 대한 2~3년 추적관리 연구를 기대한다.

전통적 교육이론에 따른 유아교육용 멀티미디어 콘텐츠 설계 방안 (Multimedia Contents Desig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raditional Education Theory)

  • 이범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07-117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design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quality of multimedia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emphasizes both traditional education theory and developmental aspects in its exploration of interactive and educational qualitative multimedia contents for early children. Accordingly, for an effec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erience of the playful learning for the conception of idea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life. Because this study 1) possibility of multimedia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 computer application metho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 examines used in the designing of multimedia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raditional education theory. Multimedia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is possible to organize information such as test, image, sound and video based on hyperlink system. I use Microsoft's Ms-office and Asymetrix's ToolBook software that are useful for hyperlink and parameter. Multimedia contents and other pages are used by Dynamic Data Exchange(DDE). Therefore multimedia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 useful tool for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parents, and children.

중고령층 문해학습자의 흥미 유발 및 학습 효과를 높이는 문해교육 방법 (A Study on the Method of Literacy Education that Increase Interest and Learning Effect of Elderly Learners - A Case Study of Literacy Education in Chungcheongbuk-do -)

  • 김영옥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79-493
    • /
    • 2019
  • 본 연구는 중고령층 문해학습자의 흥미 유발 및 학습 효과를 높이는 문해교육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충북 중고령층 문해교사, 기관 운영자, 평생교육사, 문해학습자 총11명을 면담 및 참여관찰 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층 학습자들은 배운 것을 쉽게 잊어버리고 받아쓰기를 통해 글씨를 정확하게 익히며, 높은 경쟁 심리 등 공부가 일상생활에서 1순위가 되고 있다. 글씨 형성 의미를 알게 하는 놀이활동, 실생활과 연결된 학습, 받아쓰기가 기억력 및 인지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익숙한 재료를 활용한 만들기, 교과서에 나오는 극과 시로 역할극, 글씨 큰 그림 동화책 활용, 팀 단위 게임 및 활동, 배우기 쉬운 악기 및 노래 부르기, 공연 및 발표회 등 무대 경험, 실생활 및 교육문화 시설 현장 체험 등이 중고령층의 흥미와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결과 공유 발표회 및 연합 행사, 자료 및 재료비, 문해교사 역량강화 교육 및 공유, 문해교육 연중 운영, 학력인정과정과 병행 및 보조강사 지원이 중요하다. 시사점으로는 문해교사 교육, 보조강사 활용, 학력인정 문해교육과정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놀이의 기쁨 - 정서표현과 그 맥락적 특성 - (Joy Expression and Its Cognitive and Social Contexts in Children's Play)

  • 김희연
    • 아동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93-208
    • /
    • 2004
  • 본 연구는 여러 정서표현의 길이가 놀이 행동과 비놀이 행동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정서표현과 관련된 놀이의 인지적, 사회적 맥락은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놀이의 정의적 국면으로 간주되어야할 정서적 특정과 그 맥락적 특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아동의 놀이 행동에 있어 가장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정서는 흥미였으나, 비놀이 행동에서와 비교하여 놀이 행동에서는 오히려 흥미와 분노 표현이 유의미하게 짧게 관찰되었고, 유일하게 기쁨만이 비놀이 행동에서보다 놀이 행동에서 유의미하게 오래 표현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나이와 성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또한 흥미 정서의 표현은 구성놀이에서와 단독, 병렬놀이 등에서, 기쁨 정서의 표현은 격투놀이와 연합, 협동 놀이 등에서 유의미하게 오래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놀이의 정의에 있어 즐거움이라는 정서적 특성에 대한 경험적 증거로서의 의의와 놀이에서의 기쁨의 표현에 대한 맥락적 해석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 PDF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어린이 웹사이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Edutainment Website design For Juvenile Users)

  • 손은미;임은정;이현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43-152
    • /
    • 2002
  • 인터넷이 보편직인 일상의 도구로 자리잡으면서, 그 이용자의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의 인터넷 이용률의 급심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인터넷을 접하게 된 세대로 앞으로 대두될 새로운 미디어 시대를 이끌어 나갈 주역이다. 또한 이들은 미래의 인터넷의 발전과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세대이기도 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이러한 어린이를 위한 웹사이트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지만, 그 관심도가 높아지는 만큼 인터넷 시장을 주도할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금까지의 단순 학습 전달 목적의 사이트 개발보다는 보다는, 흥미 있는 요소를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환경에 몰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에듀테인먼트 사이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어린이의 인지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사이트를 설계함과 동시에, 디자인, 공학, 아동학 등의 다양한 학문 분야들 간의 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보다 쉽게 정보를 인지하고 수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설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관성 있는 레이아웃과 아동의 감성을 고려한 색상과 배색, 내용의 조직화와 더불어, 멀티미디어 요소를 적극 활용하여 학습으로 연결해야 한다. 또한 어린이 스스로가 직접 제어하며 사고하도록 유도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효과를 높이고 학습의 참여도와 상상력, 사고력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을 것이다. 어린이 웹사이트가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도 외에도 기술적인 지원과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며, 동시에 어린이의 사용성 평가를 통한 관련 연구들의 선행이 필수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