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y-based science class progra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초등학교 4학년 『별자리를 찾아서』 단원 지도를 위한 놀이 과학 교실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lay-Based Science Class Program for the Unit of 'Favorite Constellation' of 4th Grade Students)

  • 신영아;손정주;서은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2호
    • /
    • pp.248-257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별자리를 찾아서" 단원지도를 위한 놀이 과학 교실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놀이 활동 적용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중간고사 결과를 분석하여 평균이 유사한 4개 반을 선정하고 2개 반으로 구성된 비교집단에는 기존의 방법대로 교사용지도서를 분석하여 교사용지도서와 같은 방식과 흐름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나머지 2개 반의 실험집단에는 단원의 5차시의 수업 중 활동 일부를 놀이 과학 교실 활동 수업을 적용하여 시행하였다. 놀이 과학 교실 프로그램은 연구 단원의 학습목표 및 내용과 탐구요소를 분석하여 개발 하였고, 놀이 과학 교실 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업성취도 검사문항을 선정, 개발하였다. 각각은 과학 교육 전문가 2인과 현직 교사 5인에 의해 수 회의 피드백 검토 과정을 거쳐 완성되어 각 집단에 2주간에 걸쳐 5차시 수업이 실시되었다. 사후 검사결과에서 두 집단은 독립표본 t-test 방법에 의해 유의수준 p=0.003으로 유의미하게 차별화 되었고,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좋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 설문 조사를 통한 실험집단의 흥미도 측정에서도 높은 흥미도 비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별자리 찾아서' 단원을 위한 놀이 과학 교실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교실에 투입해 본 결과 학업성취도와 흥미도에서 뚜렷하게 긍정적 영향을 볼 수 있었다.

  • PDF

의용소방대 교육프로그램 재설계를 통한 지역사회 안전 Network기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community safety Network through volunteer fire department training program reengineering)

  • 박찬석;오택흠;윤명오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30
    • /
    • 2013
  • Korean Volunteer Fire Departments are the representative disaster-related civilian organizations which are based on "Firefighting Framework Act Article 37"and ordinance for complementing the lack of fire-fighting personnel and volunteer and they play a part as community safety keepers. They are operated by the National funding, but cannot be defined as the organization in governmental sources completely or pure volunteer organization in terms of its founding purpose and activities. In these special characteristics, some Volunteer Fire Departm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ivilian Volunteer Disaster Prevention by being managed effectively, but the others do not. There can be many cause-analyses about this difference. They aren't profit-making organizations and are groups which have no compulsion. So it is important that who the leader is, and what type of leadership he has. By solving this bias by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make them perform the center role of community safety network through analyzing the existing status and problems of volunteer fire department education and customized training program reengineering to meet class-specific and regional level.

TPACK 기반 테크놀로지 활용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순환 기관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STEAM Program Using Technology Based on TPACK - Focused on the Circulatory System -)

  • 고동국;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84-9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EAM program us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model to effectively utilize technology to solve the difficulties in the teaching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unit in the primary science curriculum and to confirm th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interests of elementary students. The program was developed as the STEAM program of the 8th class by utilizing the construction knowledge of the TPACK model.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29 experimental group students in 5th grade. And the textbook-oriented circulatory system learning program was applied to 29 5th graders in the same school.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comparison group in i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interest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was also high. This cause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because the process of self-directing information about the circulatory system using smart devices, making outputs creatively using 3D printers, and presenting them through role play using produced outputs.

과학관련 계발활동 부서 운영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Running Science-Related Extra Curricular Activity)

  • 채동현;김은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25-41
    • /
    • 2002
  •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is divided into the curriculum, discretion, and extra curriculum activity. Extra curriculum among them consists of fie grounds, that is, a self-governing, adjusting, developing, service and exercise activity. The content of developing activity among them includes academic literary arts, in that the developing activity related to science. The developing activity connected with science can be a good chance which students can have deepened learning besides a regular course. In addition, effective management in science class can play an important role to cultivate scientific sense and to raise scientific talent. The study finds out how the management connected with science-related extra-curricula activity in science is actually going on. The study carries out a questionnaire with 40 teachers and interviews 5 teachers as well who are in charge of science-related extra-curricula activity connected with science. As a result, on the side of students, ① systematic introduction course in science is not given to them, ② the course is operating without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and levels, so it causes the problems of developing their potential ability and extension. On the side of teachers, ① they organize the science department based on school's situation and policy. ② they disregard teachers' roles and interests. ③ the science department's program is operating improvisedly rather than systematically, ④ the evaluation is done formally is found out. I have come to know that to manage a desirable science-related extra-curricula activity connected with science needs to have sufficient, detailed materials and experts from outside.

  • PDF

중등학교 교과서 황해난류 오개념 분석 및 해류 데이터 시각화 수업자료 개발 (Misconception on the Yellow Sea Warm Current in Secondary-School Textbook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Ocean Current Data Visualization)

  • 김수란;박경애;변도성;정광영;최병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35
    • /
    • 2023
  • 지구의 기후 변화를 유도하고 제어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해양의 해류이다. 황해는 수심이 동해에 비해 매우 얕고, 다양한 바람과 조류, 강물의 유입, 동중국해에서의 해수 유입 등 외력의 영향으로 해수의 순환과 해류가 상당히 복잡하다. 황해난류는 겨울철 황해의 대표적인 해류로서 겨울철 황해와 동중국해 바람 변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황해의 수온과 염분 분포에 큰 영향을 주어서 중등학교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황해난류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류의 시간 변동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황해난류가 우리나라 서해안으로 연중 북상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난류와 같이 여름철에 강하다는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해난류는 해류의 세기가 강한 계절변동성을 가지는 북한한류와 달리 해류 자체가 연중 항시 존재하지 않으며 겨울철에만 발생하는 해류이다. 이러한 교사들의 교과내용 지식에 대한 오류는 북한한류가 겨울철에 강하다는 오개념을 가지게 된 연유와 유사한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해난류에 대한 교과서 내용의 오류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하여 탐구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황해난류에 대한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황해 해수면 온도를 가시화할 수 있는 GUI 프로그램을 소개하였고, WOA (World Ocean Atlas) 2018 해양 실측 수온 및 염분자료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생성한 해양 수치모델 재분석자료를 활용하여 수온과 염분의 공간 분포를 도시하는 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해양 자료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과정은 교사들의 오개념을 개선하고, 나아가 학생들과 교사들의 해양 리터러시뿐만 아니라 데이터 리터러시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