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y Teaching Efficacy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초임 유아교사의 유아관찰 평가의 실천과 반성 (Child Observation Assessment Practice and Reflections of a First-year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 양정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59-170
    • /
    • 2020
  • 유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직 입문 과정에서 초임 유아교사들은 충분한 배경지식이나 실제적 지도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하여 한 초임 유아교사가 '유아관찰평가'에 대한 신념과 실제를 반성적으로 바라보고 실천적으로 개선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실행연구의 순환과정을 통해 참여교사는 유아관찰평가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접근방식을 반성적으로 들여다봄으로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임 유아교사의 교직 입문을 지원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협력적 실행 연구의 적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초의학 통합강의 운영을 위한 가상강의(Cyber Lecture)의 개발 및 적용 -기초신경과학 통합강의의 운용과 설문을 통한 학생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yber Lecture Contents and Application to the Basic Neuroscience Integrative Lecture for Medical Students)

  • 박정현;박경한;이영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222-2229
    • /
    • 2011
  • 기초의학 강의 요원의 부족은 교육에 대한 부담과 연구활동 위축이라는 이중고를 초래하고 있다. 기초의학 강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 및 해결책이 제시되어 왔으며, 통합강의 역시 그 대안의 하나로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기초의학 통합강의에 대한 가상강의(cyber lecture) 적용의 실효성과 타당성을 설문조사와 교과목 운영의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 대해 학생들은 가상강의의 내용, 난이도, 진행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에 대해 대체로 만족스러운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가상강의가 통합강의 운영을 보완해주는데 효율적일 것이라는 의견과 더불어, 향후 통합강의에서 가상강의의 비중을 학대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찬성의견이 반대의견보다 지배적임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통합강의 실습의 일부분을 가상강의에서 운영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통계분석 결과, 가상강의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의견들은 기초신경학 통합강의 성적이 우수한 학생과 보통이하인 학생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x^2$ 검증 결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일수록 가상강의의 효율성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경향은 알 수 있었다(Spearman 등위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제시된 개선방안과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점차 가상강의의 비중을 높이고 강의교수들 간의 유기적 협조가 이루어진다면 가상강의는 향후 기초의학 통합강의 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