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ycodon grandiflorum DC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Comparison of Vasodilator Effects of Platycodin D and $D_3$ in Rats

  • Lim, Dong-Yoon;Kim, Byeong-Cheol;Lee, Eun-B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3호
    • /
    • pp.149-155
    • /
    • 2003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latycodin D and $D_3$, which are active components derived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on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i3olated rat aorta and blood pressure of the anesthetized rat, and also to elucidate its mechanism of action. Both phenylephrine (an adrenergic ${\alpha}1$-receptor agonist) and high potassium (a membranedepolarizing agent) caused great contractile responses in the isolated aortic strips. Platycodin D at high concentration $(24{\mu}g/ml)$ inhibited contractile responses induced by phenylephrine $(10^{-5}\;M)$ and high potassium $(5.6{\times}10^{-2}\;M)$, while low concentrations of platycodin D $(4{\sim}8{\mu}g/ml$) did not affect those responses. However, platycodin $D_3\;(8{\sim}32{\mu}g/ml)$ did not alter the contractile responses evoked by phenylephrine and high $K^+$. Interestingly, the infusion of platycodin $D_3$ (1.0 mg/kg/30 min) significantly reduced the pressor responses induced by intravenous norepinephrine. However, platycodin $D_3$ (1.0 mg/kg/30 min) did not affect them.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intravenously administered platycodin D depresses norepinephrine-induced pressor responses in the anesthetized rat, at least partly through the blockade of adrenergic ${\alpha}1$-receptors. Platycodin D also caused vascular relaxation in the isolated aortic strips of the rat via the blockade of adrenergic ${\alpha}1$-receptors, in addition to an unknown direct mechanism. However, platycodin $D_3$ did not affect both norepinephrine-induced pressor responses and the isolated rat aortic contractile responses evoked by phenylephrine and high potassium.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seems to be much difference in the mode of action between platycodin D and platycodin $D_3$.

도라지에서의 RAPD 마커 분석과 Actin 유전자 염기서열에서 유래한 CAPS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a CAPS Marker Derived from the Pg-Actin Gene Sequences and RAPD Markers in Platycodon grandiflorum)

  • 김문휘;정은아;정정수;권순태;전익조;정정학;이제민;염인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48-6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의 품종 구분 및 유전적 다양성 분석에 활용될 수 있는 분자표지 개발을 위하여 RAPD 마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actin유전자 염기서열에서 유래한 분자표지를 제작하였다. 총 30개의 RAPD 분자표지를 활용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나, 재현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DNA 상의 다형성은 확보할 수 없었다. 이에, 도라지 actin (Pg-actin) 유전자에 존재하는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이용하여 품종 간 구분에 활용 가능한 분자마커로의 전환을 탐색하였다. 도라지 genomic DNA에 actin 유래 유전자를 사용하여 2개의 actin homologs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염기서열 분석하여 3.4 kb의 Pg-actin fragment와 Pg-actin과 28.6%의 유사도를 가진 1.4 kb의 actin homologue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Pg-actin은 4개의 exon과 3개의 intron으로 구성된 유전자로, DNA 다형성 탐색을 통해 intron 3의 286 bp 위치에서 SNP (G ↔ A)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활용도 높은 CAPS marker로 전환하여 PgActin-Int3 마커를 개발하였다. Pg-Actin-Int3 마커를 32개의 도라지 유전자원에 적용시켜 본 결과 품종 간의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보된 도라지 DNA 염기서열정보는 도라지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도라지 분자육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된다.

Suppressive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on the Progress of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ic Fibrosis

  • Lee, Kyung-Jin;Kim, Ji-Young;Jung, Kyung-Sik;Choi, Chul-Yung;Chung, Young-Chul;Kim, Dong-Hee;Jeong , Hye-Gwa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12호
    • /
    • pp.1238-1244
    • /
    • 2004
  • The suppressive effects of Platycodi Radix (Changkil: CK),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ampanulaceae), on the progress of acute carbon tetrachloride $(CCl_4)$-induced hepatic fibrosis were investigated in the rat. CK significantly suppressed $(CCl_4)$-induced hepatic necrosis and inflammation, as determined by the serum enzymatic activities of alanin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serum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s, in dose-dependent manners. In addition, the increased hepatic fibrosis after acute $(CCl_4)$ treatment was suppressed by the administration of CK. CK also significantly prevented the elevation of hepatic ${\alpha}$ 1(I) procollagen (type I collagen) mRNA and ${\alpha}$ -smooth muscle actin (${\alpha}$ -SMA) expressions in the liver of $(CCl_4)$-intoxicated rats and also suppressed the induction of ${\alpha}$ -SMA and type I collagen in cultured hepatic stellate cells, in dose-dependent mann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ppressive effects of CK against the progress of acute $(CCl_4)$-induced hepatic fibrosis possibly involve mechanisms related to its ability to block both hepatic inflammation and the activation of hepatic stellate cells.

질소 분시 비율에 따른 도라지의 생육 및 수량 (Effect of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on Growth and Yield in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 성재덕;김금숙;김현태;박충범;김성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37-441
    • /
    • 2004
  • 도라지 재배시 질소 분시 비율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도라지 수량 면에서는 2년생 생근과 건근이 50:50 2회 추비 구에서 각각 898 kg, 230 kg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30:70의 추비 구에서 가장 많았다. 1년차에서의 분시비율은 기비 50%, 추비 50%로 하되, 추비 50%를 2회 나누어 시비하고 2년차는 추비만 시비하는데 이 때 50:50로 2회 나누어 주면 수량 증대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결과에서 지상부 생육은 년수 간에는 1년생보다 2년생이 출현기, 개화기가 더 빠르고 경장, 경태가 더 크며 분지수, 엽수도 모두 더 많아 전체적인 생육이 양호하였다. 질소 분시 비율 차이에 따른 지상부 생육은 2년생 근에서는 50:50 2회 추비구가 다른 추비구보다 경태가 굵고, 분지수, 엽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2년근 지하부 생육은 50:50 2회 추비 구에서 주근장도 가장 길고 지근수도 가장 많아 수량도 건근 230 kg/10a로서 70:30 추비 구 보다 30%의 수량 증대를 보였다. 조사포닌 함량에서도 50:50 추비구가 4.68%로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도라지 질소 분시 비율은 1년차는 기비 50%와 추비 50%로 하고 2년차는 추비를 50:50 비율로서 2회로 나누어 시비하는 것이 수량과 품질면에서 모두 바람직하며, 특히 2년생 이상을 수확하는 것이 수량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토성(土性)에 따른 길경(桔梗) 생육(生育) 및 사포닌 함량(含量) (Root Yield and Saponin content in Different soil Texture of Platycodon grandiflorum A.DC.)

  • 성재덕;김현태;김금숙;한상익;곽용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2-287
    • /
    • 1999
  • 본(本) 시험(試驗)은 1997년(年)부터 1998년(年)까지 2년간(年間) 사각 pot를 이용하여 식양토, 미사질양토, 사양토 등 3토성(土性)을 처리하여 년수별 생육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시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성처리간 년수별 길경(桔硬) 경장의 경시적(輕視的) 변화를 보면 1년생(年生)은 7월(月) 10일(日)에서 8월(月) 10일(日) 사이, 2년생(年生)은 5월(月) 20일(日)에서 6월(月) 20일(日) 사이에서 최고로 성장 하였고 엽수, 분얼수, 분지수는 식양토가 양호하였으며, 사양토, 미사질양토 순(順)으로 많았다. 1년생(年生) 길경(桔硬)의 출현기 는 토양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개화기는 식양토가 가장 빠르고 엽수 및 분얼수도 많았으며 주근장, 지근수, 주근경도 식양토가 사양토, 미사질양토보다 크고, 2년생(年生)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건근수량(乾根收量)은 식양토에서 1년생(年生)은 274kg/10a, 2년생(年生)은 934kg/10a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사양토. 미사질양토 순(順)이었고, 주근(主根) 표피색(表皮色)은 식양토는 담갈색, 사양토, 미사질양토 갈색이었으며, 주근육색(主根肉色)은 식양토가 황백색이였다. 길경(桔硬) 1년색(年生), 2년생(年生)의 엑스 함량은 사양토가 1년생(年生) 47. 1%, 2년생(年生)은 36.3%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미사질양토, 식양토 순(順)이었으며, 반면에 조(粗)사포닌 함량은 식양토가 1년생(年生)은 3.0%, 2년생(年生)은 3.6%로서 많은 편이었으나 토양 처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Effects of Platycodi Radix on Hepatic Fibrosis in Rats

  • Lee, Kyung-Jin;Kim, Young-Sup;Ryu, Si-Yung;Chung, Young-Chul;Choi, Chul-Yung;Cho, Young-Soo;Jeong, Hye-Gwa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75.2-176
    • /
    • 2003
  • Herbal medicines are increasingly being utilized to treat a wide variety of disease processes. We previously reported that aqueous extract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ampanulaceae), Changkil (CK), had hepatoprotective effects against acetaminophen induced liver injury. In the present study, we assayed the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s of CK on experimental hepatic fibrosis induced by dimethylnitrogamine or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omitted)

  • PDF

Hepatoprotective effects of Platycodi Radix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in mice

  • Lee, Kyung-Jin;Park, Sung-Jun;Choi, Chul-Yung;Kim, Young-Sup;Chung, Young-Chul;Jeong, Hye-Gwa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290.2-290.2
    • /
    • 2002
  • The protective effects of a Platycodi Radix (Changkil: CK),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ampanulaceae).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and the possible mechanisms involved in this protection were investigated in mice. Pretreatment with CK prior to the administration of carbon tetrachloride significantly prevented the increased serum enzymatic activities of alanin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omitted)

  • PDF

배양용기 내 환기와 광도에 따른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기내 배양묘의 생장반응 (The Growth Response of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Plantlets In Vitro as Affected by Air Exchanges and Light Intensity)

  • 최소라;김명준;은종선;안민실;임회춘;류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23-29
    • /
    • 2005
  • 기내 배양환경을 조절하여 건전한 유식물체를 획득하기 위해 도라지를 무균발아시켜 shoot부분을 NAA $0.1\;\cal{mg/L}$ 가 첨가된 MS 기본배지에 치상한 후 배양용기의 뚜껑위에 membrane filter를 부착하여 환기횟수를 달리하고 광도를 33, 66, 99 ${\mu}mol\;m^{-2}s^{-1}$로 처리하여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Membrane filter 부착구의 환기횟수는 $4.9 h^{-1}$이었으며 미부착구는 $0.1 h^{-1}$이었다. 환기횟수 $4.9 h^{-1}$ 처리구에서 $0.1 h^{-1}$ 처리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생장이 양호하였으며 $0.1 h^{-1}$에서는 광도가 증가할수록 생장이 저조한 반면 $4.9 h^{-1}$ 처리구에서는 광도의 증가에 따라 생장이 좋은 경향이었다. 동일한 광도에서 환기횟수 $4.9 h^{-1}$ 처리구는 $0.1 h^{-1}$ 처리구에 비해 생체중은 1.9배, 당 함량은 1.4배 이상 높았으며 환기횟수 $4.9 h^{-1}$ 처리구는 광도의 증가에 따라 생체중과 당 함량이 높아졌으나 $0.1 h^{-1}$ 처리구는 광도에 의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함수율은 환기횟수 $4.9 h^{-1}$ 처리구에서 $0.1 h^{-1}$ 처리구에 비해 $4.2\~5.8\%$가 낮았으나 광도 처리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동일한 광도에서 총 엽록소 함량은 환기횟수 $4.9 h^{-1}$ 처리구에서 $0.1 h^{-1}$ 처리구에 비해 $ 0.27\~0.79\;\cal{mg/g}$ F.W.가 높았으며 환기횟수 $0.1 h^{-1}$ 처리구는 광도의 증가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환기횟수 $0.1 h^{-1}$ 처리구는 높은 광도에서 감소하였다. 환기횟수 $4.9 h^{-1}$$0.1 h^{-1}$에 비해 잎의 공변세포가 크고 주변 부세포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특히 PPF $99\;{\mu}mol\;m^{-2}s^{-1}$에서 환기횟수 $0.1 h^{-1}$는 부세포의 발달이 미흡하고 기공이 많이 열려 있는 상태인 반면 환기횟수 $4.9 h^{-1}$는 부세포가 잘 발달된 잎을 지니고 있었다.

장백도라지의 대량 증식을 위한 조직배양 및 순화 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tissue culture and acclimation of white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DC. cv. Jangback) for the raising of in vitro propagated seedlings)

  • 한은희;손용완;김만배;신용욱;조영손;이신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34-139
    • /
    • 2014
  • 본 연구는 백도라지의 재배 단지화에 필요한 순수 장백도라지의 육묘를 농가에 보급화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장백도라지의 기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고 순화와 이식에 적합한 상토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캘러스 및 신초의 재분화에는 0.5 mg/L NAA와 1.0 mg/L BA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가장 효율적이어서 600% 이상의 재분화효율을 보였다. 뿌리의 유기에는 NAA가 IBA보다 효과적이어서 0.5 mg/L NAA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평균 16.9일째 발근이 시작되었으며, 75% 이상의 발근율을 보였다. 기내에서 재분화된 식물체의 순화와 이식을 위하여 시중에서 구입한 5종의 상토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상토 A(토실)이 가장 효과적이어서 8주째의 초장이 12.8 cm로 다른 상토에 비하여 2배 이상 자랐으며, 엽수는 27개, 엽장은 약 4.5 cm로 다른 상토에 비하여 각각 3.5배와 1.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직배양으로 대량증식 시킨 백도라지의 육묘를 농가에 보급함으로서 백도라지의 재배단지에 청도라지의 출현을 방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