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elet count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42초

Association between Medical Costs and the ProVent Model in Patients Requiring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 Roh, Jiyeon;Shin, Myung-Jun;Jeong, Eun Suk;Lee, Kwangha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2호
    • /
    • pp.166-172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omponents of the ProVent model can predict the high medical costs in Korean patients requiring at least 21 days of mechanical ventilation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PMV]). Methods: Retrospective data from 302 patients (61.6% male; median age, 63.0 years) who had received PMV in the past 5 year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cost per patient and components of the ProVent model, we collected the following data on day 21 of mechanical ventilation (MV): age, blood platelet count, requirement for hemodialysis, and requirement for vasopressors. Results: The mortality rate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was 31.5%. The average medical costs per patient during ICU and total hospital (ICU and general ward) stay were 35,105 and 41,110 US dollars (USD), respectively. The following components of the ProVent model were associated with higher medical costs during ICU stay: age <50 years (average 42,731 USD vs. 33,710 USD, p=0.001), thrombocytopenia on day 21 of MV (36,237 USD vs. 34,783 USD, p=0.009), and requirement for hemodialysis on day 21 of MV (57,864 USD vs. 33,509 USD, p<0.001). As the number of these three components increase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en medical costs and ICU stay based on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gamma}$) (${\gamma}=0.367$, p<0.001). Conclusion: The ProVent model can be used to predict high medical costs in PMV patients during ICU stay. The highest medical costs were for patients who required hemodialysis on day 21 of MV.

One-year experience of oral substrate reduction therapy in three patients with Gaucher disease type I

  • Sohn, Young Bae;Kim, Yewon;Moon, Ji Eu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62-67
    • /
    • 2020
  • Purpose: Eliglustat is an oral substrate reduction therapy (SRT) approved for adults with Gaucher disease type I (GD1) who are extensive, intermediate, or poor CYP2D6 metabolizers. Here we report one-year experience of eliglustat switch therapy from long-term 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in three adult patients with GD1. Materials and Methods: Medical history, clinical (hemoglobin concentration, platelet count, and bone mineral density) and biochemical parameter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total acid phosphatase, and lyso-gb1) of the patient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by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at every 3, 6, or 12 month after switch to SRT. Results: Patient 1 was a 43-year old female diagnosed GD1 and her clin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stabilized for more than 20 years by ERT. Due to the burden of regular hospital visit, she switched to SRT. During one-year of SRT, clinical parameters and biomarkers were maintained stable. However, after suffering acute febrile illness during SRT, she decided to re-switch to ERT due to concerns about drug interaction. Patient 2 was 41-year old male, younger brother of patient 1 and Patient 3 was 31-year old male. They switched to SRT in clinically stable condition with long-term ERT. The one-year SRT was tolerable without specific safety issue and the clinical parameters were maintained stable. Conclusion: One-year eliglustat therapy in three adult patients with GDI was generally tolerable and effective for maintaining the clinical parameters and biomarkers. However, the drug compliance, concurrent drug interactions, and long-term safety of eliglustat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Hepcidin Levels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Fatty Liver Disease

  • Tsutsumi, Norito;Nishimata, Shigeo;Shimura, Masaru;Kashiwagi, Yasuyo;Kawashima, Hisashi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3호
    • /
    • pp.295-305
    • /
    • 2021
  • Purpose: Hepcidin levels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to be correlated with liver damage.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hepcidin levels and liver fibrosis in children with fatty liver disease remains unclear.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investigate the pathophysiology of fibrosis in children with fatty liver disease and its association with hepcidin levels. Methods: This retrospective case series included 12 boys aged 6-17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at the Tokyo Medical University Hospital. Sixteen liver biopsy samples from 12 subjects were analyzed. Serum hepcidin levels were assay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mmunostaining for hepcidin was performed, and the samples were stratified by staining intensity. Results: Serum hepcidin levels were higher in pediatric NAFLD/NASH patients than in controls. Conversely,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hepcidin immunostaining and Brunt grade scores and between hepcidin scores and gamma-glutamyltranspeptidase, hyaluronic acid, and leukocyte levels. We observed inverse correlations with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 between hepcidin immunostaining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total bile acid, and platelet count.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between hepcidin immunoreactivity and fibrosis in pediatric NAFLD patients; however, serum hepcidi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suggesting that these patients experienced a reduction in the hepcidin-producing ability of the liver in response to iron levels, leading to subsequent fibrosis. Therefore, hepcidin levels can be used as markers to identify the progression of fibrosis in patients with NAFLD.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의 한약을 사용한 치험 1례 (One Case of Myelodysplastic Syndrome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 황조현;김어진;이주영;장은경;이장훈;김영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44-450
    • /
    • 2022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the clinical symptoms and abnormal blood tests of a patient with myelodysplastic syndrome. Methods: A 64-year-old woman diagnosed with myelodysplastic syndrome in 2020 was prescribed Bojungikgi-tang-gagambang from January 6, 2022 to June 22, 2022 to reduce bleeding tendency and frequent defecation and to improve laboratory findings, such as platelet count. We observed changes in the symptoms and improvement of laboratory findings after six months of treatment. Results: In this study, approximately six months of treatment with Bojungikgi-tang-gagambang showed considerable improvement in laboratory findings and clinical symptoms, especially frequent defecation, petechiae, and gum bleeding, compared to the baseline parameters of the first visit. Also, no adverse effects, such as liver injury or decreased kidney function, were observed during herbal medicine treatmen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availability of herbal medicine as a therapeutic option for managing patients with myelodysplastic syndrome.

Pulmonary passage of canine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hrough intravenous transplantation in mouse model

  • Jaeyeon Kwon;Mu-Young Kim;Soojung Lee;Jeongik Lee;Hun-Young Yoo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36.1-36.15
    • /
    • 2024
  • Importance: Th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dMSCs) in veterinary medicine is an attractive treatment option. On the other hand, it can result in severe complications, including pulmonary thromboembolism (PTE).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occurrence of PTE after the intravenous infusion of canine AdMSCs (cAdMSCs) into experimental animals. Methods: Five-week-old male BALB/c hairless mice were categorized into groups labeled A to G. In the control group (A), fluorescently stained 2×106 cAdMSCs were diluted in 200 µL of suspension and injected into the tail vein as a single bolus. The remaining groups included the following: group B with 5×106 cells, group C with 3×106 cells, group D with 1×106 cells, group E with 1×106 cells injected twice with a one-day interval, group F with 2×106 cells in 100 µL of suspension, and group G with 2×106 cells in 300 µL of suspension. Results: Group D achieved a 100% survival rate, while none of the subjects in groups B and C survived (p = 0.002). Blood tests revealed a tendency for the D-dimer levels to increase as the cell dose increased (p = 0.006). The platelet count was higher in the low cell concentration groups and lower in the high cell concentration groups (p = 0.028). A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PTE in most deceased subjects (96.30%). Conclusions and Relevance: PTE was verified, and various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contributing factors, including the cell dose, injection frequency, and suspension volume.

실험적 폐색전증에서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의 투여방법이 혈액응고기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osing Regimen of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on Blood Coagulation System in Experimental Pulmonary Embolism)

  • 정희순;김호중;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474-482
    • /
    • 1993
  • 연구배경 :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는 생리적인 플라스미노겐활성체이므로 혈전의 섬유소에 결합된 플라스미노겐만을 활성화시키는 특이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폐색전증에서 치료목적으로 대량투여하는 경우에도 섬유소에 대한 특이성이 유지되어 전신적인 출혈경향을 유발하지 않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또한 동량의 약제를 투여하더라도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의 투여시간에 따라 혈전의 용해효과가 달라진다고 보고되었지만, 이러한 경우에 혈액의 응고기전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는 명확하지 않아 이를 규명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실험견에 자가혈병으로 대량의 폐색전증을 유발시킨후 대조군은 특이치료없이, $t-PA_{15}$ 군은 15분동안, 그리고 $t-PA_{180}$군은 3시간에 걸쳐,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를 체중(kg)당 1mg씩 정맥투여하였다. 그리고 실험과정중 시간에 따라, 실험동물의 혈색소치, 적혈구용적, 백혈구수, 혈소판수, 프로트롬빈시간, 활성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섬유소원농도, 트롬빈시간, 플라스미노겐 및 ${\alpha}_2$-항플라스민의 농도, 제 V 및 VIII응고인자의 농도, 그리고 섬유소원분해산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 일반혈액검사소견근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과정중 혈색소치와 적혈구용적 및 혈소판수는 감소하고, 백혈구수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프로트롬빈시간, 활성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및 트롬빈시간은 $t-PA_{15}$군이 치료후 15분~60분 사이에, $t-PA_{180}$군은 치료후 30분~180분 사이에 연장되었다가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3) 섬유소원농도 ${\alpha}_2$-항플라스민의 농도, 제 V 및 VIII응고인자의 농도는 $t-PA_{15}$군 및 $t-PA_{180}$ 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t-PA_{15}$군은 $t-PA_{180}$군에 비해 조기에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고 플라스미노겐의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4) 섬유소원분해산물의 농도는 폐색전후 증가하였고, $t-PA_{15}$군 및 $t-PA_{180}$ 군에서는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 투여후 더욱 증가하였는데 $t-PA_{180}$군에서 더 현저하였다. 결론 : 폐색전증에서 치료목적으로 대량의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를 투여하는 경우, 약제의 투여시간이 180분일때보다는 투여시간이 15분일때 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동량의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를 투여하더라도 약제의 투여시간을 달리함으로써 출혈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예방접종과 관련된 소아 혈소판 감소 자반병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features of vaccination-associated thrombocytopenic purpura in children)

  • 이완수;유승택;신새론;최두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6호
    • /
    • pp.610-615
    • /
    • 2008
  • 목 적 : 소아 특발성 혈소판 감소 자반병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 후 수주 후에 발병하나 약 7%에서는 홍역, 풍진, B형 간염, 독감, 수두, DTP등의 예방 접종과 관련되어 발생함이 보고 되었다. 본 연구는 예방접종과 관련된 혈소판 감소 자반병의 빈도와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 예방접종과 관련이 없는 혈소판 감소 자반병과의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원광대학교 병원 소아과에 혈소판 감소 자반병으로 입원한 환아 105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예방접종과 관련된 혈소판 감소 자반병은 예방 접종 후 1개월 이내 발병으로 정의하였으며 예방접종관련 군과 없는 군으로 분류하여 여러 임상적 특성에 대해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혈소판 감소 자반병은 총 105례였으며 이중 13례(12.4 %)가 예방접종과 관련되었고 DTP에 의한 경우가 8례로 가장 많았으며 HBV가 2례, 인플루엔자, MMR, 일본뇌염이 각각 1례였다. 예방접종과 관련된 군에서 다음 예방접종 시 혈소판 감소 자반병이 재발한 예는 없었다. 예방 접종 군에서 관련이 없는 군에 비해 진단 시 연령이 의미 있게 낮았으며 빈혈이 더 많이 동반되었으며 합병증과 관련이 있는 혈소판 $20{\times}10^9/L$ 미만의 위험기간이 짧았다. 또한 예방 접종 군에서 구강내 출혈, 혈변, 혈뇨와 비출혈과 같은 심한 증상이 적고 1개월 내 관해가 높았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예방접종과 관련된 혈소판 감소 자반병이 관련이 없는 경우에 비해 증상이 경미하고 양성의 경과를 보였으며 다음 예방 접종은 주의하여 정상적인 스케줄에 따라 시행하며 예방접종 후 혈소판 검사를 반드시 시행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 섭취 흰쥐에서 양파 껍질 추출물의 보충 섭취가 혈중 지질농도와 혈행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nion Peel Extracts on Blood Lipid Profile and Blood Coagulation in High Fat Fed SD Rats)

  • 정혜경;신민정;차용준;이경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42-450
    • /
    • 2011
  • 1. 본 연구는 고지방 섭취 동물 모델에서 양파 추출물을 용량별(0.01%, 0.02%, 0.05%, 0.1%)로 8주간 보충 섭취시킨 후 혈중 지질 농도와 혈행 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2. 양파 껍질 추출물 섭취에 따라 total cholesterol과 HDL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은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분석 결과 LDL-cholesterol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고지방 대조군 및 고지방+양파 껍질 추출물 그룹이 유의하게 높았고, 고지방 대조군 대비 0.1% 양파 껍질 추출물 섭취군의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HDL-cholesterol은 정상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가 양파 껍질 추출물 섭취에 따라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3. Hematocrit, WBC, RBC, platelet count, MPV, MCV, MCH, MCHC 등 혈액학적 지표는 처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emoglobin의 경우, ANOVA 분석 시 군간 유의한 평균값의 차이를 보였으나, Bonferroni correction을 통한 사후분석 결과 각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혈액 응고 지표로 분석된 PT, aPTT, TT와 fibrinogen은 ANOVA 분석 시 모든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t-test 결과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0.05% 양파 추출물 첨가군에서 aPTT가 유의적으로 연장되었다. 5. 체중 증가의 cut-off에 따라 low gainer와 high gainer로 나누어 항혈전 지표를 비교한 결과, high gainer에서는 0.01%, 0.02%, 0.05% 양파 추출물 섭취군이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PT와 aPTT가 전반적으로 길어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6. 이상의 결과에서 고지방 섭취 동물 모델에서 용량별 양파 추출물 첨가는 혈중 지질 농도에 영향을 주는 한편, 혈액응고시스템에 현저한 변화를 유발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0.05% 양파 추출물 첨가 시aPTT의 유의적인 증가는 양파 추출물이 내인성 혈액 응고시스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향후 비만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다양한 농도 범위의 양파 보충의 효과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위암에서 수술 전 혈액학적 검사의 예후인자로서의 가치 (Prognostic Values of Preoperative Hematologic Parameters in Gastric Cancer)

  • 김형주;권성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1호
    • /
    • pp.29-33
    • /
    • 2005
  • 목적: 위암 환자에 있어 치료시작 전 환자의 전반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는 혈액학적 검사 소견이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위암으로 한양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혈액학적 검사결과 및 생존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3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침윤성 처치가 혈액학적 검사 결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외래 및 입원직후 어떤 처치도 시행하기 전에 채취한 혈액만을 이용하였다. 대상환자들의 기록을 통해 혈청 알부민, 혈색소, 혈소판 수, 림프구 수, 병기, 술 후 생존여부 및 생존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혈청 알부민은 3.5 g/dl 이상, 혈색소는 12 g/dl 이상을 정상으로 정의하였고, 혈소판 증가증은 $400\times10^{3}{\mu}l$ 이상이라 정의하였다. 비정상적인 검사 결과가 한 가지라도 있는 경우(제1군), 세 검사 결과 모두 정상인 경우(제2군)등의 두 군으로 나누어 나이, 성별, 종양의 크기, 위치, 병기분포의 차이 및 생존율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각 군 간에 연령, 종양의 크기 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NM 병기가 진행할수록 혈청 알부민과 혈색소가 감소하고 혈소판 수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00). 병기 분포에 있어서 제 1군에서 제 3군에 비해 진행된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종양의 위벽 침윤도 및 림프절 전이에 있어서 제 1군과 제 2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01, P=0.000) 원격전이의 경우 각 군 사이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125). 3년 생존률에 있어서 제 1군과 제 2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75). 다변량 생존분석결과, 혈액학적 검사는 독립적인 예후 관련인자는 아니었다. 결론: 위암 환자에 있어서 술 전 시행한 혈액학적 검사는 비교적 저렴하고 간편한 검사로 환자의 일반적인 상태를 반영하며, 특히 혈소판 증가증, 혈청 알부민 감소, 빈혈 등이 나타난 경우 병의 예후가 나쁠 것임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체외순환 시 백혈구 제거필터 사용의 임상효과 (The Clinical Effects of Leukocyte-Depleting Filter on Cardiopulmonary Bypass)

  • 박경택;최석철;최국렬;정석목;최강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54-464
    • /
    • 2001
  • 배경: 개심술 시 체외순환회로 및 산화기의 합성표면에 대한 혈액의 접촉은 백혈구를 활성화시켜 전신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활성화된 백혈구에 의해 생성된 산소유리기는 수술 후 심장 및 폐기능 손상의 주요 원인이 된다. 저자들은 체외순환동안 백혈구 제거필터 사용에 따른 임상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성인 심장질환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백혈구 제거필터를 체외순환 회로에 포함시켜 수술한 필터군(n=15)과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n=15)으로 분류한 뒤, 테외순환 동안 말초혈액 내 백혈구 및 혈소판 수의 변화, 체외순환 전과 후의 관상정맥동혈액 내 malondialdehyde(MDA), troponin-T(TnT), 5'-nucleotidase(5'-NT의 농도변화, 대동맥 교차차단 해제 후 심박동 자연회복률, 수술 전과 후의 심장지수 및 폐혈관 저항의 변화, 수술 후 출혈량, 혈액제제 사용량과 창상 합병증 발생률 등을 양 군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체외순환 종료 시 총 백혈구 수는 필터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9,567$\pm$842/㎣ vs 13,573$\pm$1,167/㎣, p<0.01), 혈수판 수는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38,133$\pm$10,519/㎣ va 156,733$\pm$10,735/㎣, p=0.22). 수술 직후 관상정맥동 혈액내 MDA(3.78$\pm$0.31$\mu$mo1/L vs 5.86$\pm$0.65$\mu$mo1/L, p<0.01), TnT(0.40$\pm$0.04 ng/mL vs 0.59$\pm$0.08 ng/mL, p<0.05), 그리고 5'-NT(3.88$\pm$0.61 U/L vs 5.08 $\pm$0.90 UL, p<0.05) 등의 활성도는 필터군이 대조군 보다 더 낮았다(p<0.05). 수술후 심장지수는 필터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3.26$\pm$0.18 L/$m^2$/min vs 2.75$\pm$0.17 L/$m^2$/min, p=0.05), 폐혈관 저항은 필터군이 대조군 보다 낮았다(65.87$\pm$7.59 dyne/sec/ $cm^{5}$ vs 110.80$\pm$12.22 dyne/sec/$cm^{5}$ , p.0.01). 수술 후 심박동 자연회복률은 필터군이 대조군 보다 높았고(12명 vs 8명, p<0.05), 수술 후 창상합병증 발생률은 필터군이 대조군보다 낮았다(1명 vs 4명, p<0.05). 수술 후 첫 24시간 출혈량은 필터군이 대조군보다 많았다.(614$\pm$ 107 mL vs 380$\pm$71 mL, 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