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ma stress response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2초

Lidocaine이 잉어(Cyprinus carpio)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docaine on haematology and blood chemistry in the carp(Cyprinus carpio))

  • 정준기;정순윤;이태웅;최동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3-62
    • /
    • 1994
  • 본 실험에서는 잉어의(Cyprinus carpio)의 혈액지수 및 혈장화학성분에 대한 lidocain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Lidocaine은 저농도군(100 및 200ppm)에서는 조사된 모든 혈액지수 및 혈장화학성분에 대하여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고농도군(300 및 400 ppm)에서는 혈색소농도(hemoglobin concentration), 총단백량(total protein value) 그리고 GOT 및 GPT의 활성에 대해서는 유의성 있는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고, 적혈구수(RBC count), 헤마토크리트(hematocrit), 혈중포도당농도 및 LDH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시켰다. 그리고 이들 값의 증가는 적어도 60분 이상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lidocaine은 일반적으로 어류에 대하여 독작용은 나타내지 않으나 고농도에서는 어류에 대하여 마취효과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스트레스 인자로 작용하여 어류체내에 여러가지 생리적 변화를 일으킨다고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crocin and metformin on methylglyoxal-induced reproductive system dysfunction in diabetic male mice

  • Khorasani, Maryam Kheirollahi;Ahangarpour, Akram;Khorsandi, Layasadat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8권3호
    • /
    • pp.221-228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rocin in methylglyoxal (MGO)-induced diabetic male mice. Methods: Seventy 1-month-old male NMRI mice weighing 20-25 g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n=10): sham, MGO (600 mg/kg/day), MGO+crocin (15, 30, and 60 mg/kg/day), MGO+metformin (150 mg/kg/day), and crocin (60 mg/kg/day). MGO was administered orally for 30 days. Starting on day 14, after confirming hyperglycemia, metformin and crocin were administered orally. On day 31, plasma and tissue samples were prepared for experimental assessments. Results: Blood glucose and insulin levels in the MGO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sham group (p<0.001), and decreased in response to metformin (p<0.001) and crocin treatment (not at all doses). Testis width and volume decreased in the MGO mice and improved in the crocin-treated mice (p<0.05), but not in the metformin group. Superoxide dismutase levels decreased in diabetic mice (p<0.05) and malondialdehyde levels increased (p<0.001). Crocin and metformin improved malondialdehyde and superoxide dismutase. Testosterone (p<0.001) and sperm count (p<0.05) decreased in the diabetic mice, and treatment with metformin and crocin recovered these variables. Luteinizing hormone levels increased in diabetic mice (p<0.001) and crocin treatment (but not metformin) attenuated this increase. Seminiferous diameter and height decreased in the diabetic mice and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s. Vacuoles and ruptures were seen in diabetic testicular tissue, and crocin improved testicular morphology (p<0.01). Conclusion: MGO increased oxidative stress, reduced sex hormones, and induced histological problems in male reproductive organs. Crocin and metformin improved the reproductive damage caused by MGO-induced diabetes.

수온의 급하강과 급상승이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와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에 미치는 스트레스 (Stres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Fat Cod (Hexagrammos otakii) by the Sudden Drop and Rise of Water Temperature)

  • 장영진;허준욱;임한규;이종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1-97
    • /
    • 2001
  • 1회성의 수온급변 실험으로서 크게 2가지 형태의 수온변화 조건을 주었다: $20^{\circ}C$로부터 시간당 $2^{\circ}C$씩 수온을 떨어뜨려 $10^{\circ}C$까지(소요시간 5시간) 낮춘 다음, 21시간 유지한 것 (Exp.I)과 $20^{\circ}C$로부터 시간당 $2^{\circ}C$씩 수온을 상승시켜 $30^{\circ}C$까지 (소요시간 5시간)올린 다음, 21시간 유지한 것 (Exp. II). 수온을 $20^{\circ}C$로부터 $10^{\circ}C$로 급격하게 낮춘 실험에서 실험어의 Ht는 넙치대 $11.6\pm0.2\sim15.5\pm0.1\%$, 넙치소 $9.0\pm0.4\sim13.5\pm2.0\%$, 쥐노래미 $18.3\pm3.6\sim23.2\pm3.8\%$의 범위로서 쥐노래미가 넙치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다. 코티졸 농도는 넙치소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넙치대와 쥐노래미에서 실험개시시에 각각 $5.2\pm8.5ng/mL,\;2.7\pm0.4ng/mL$였던 것이 $10^{\circ}C$ 하강시에 각각 $164.0\pm53.1ng/mL,\;207.9\pm25.4ng/mL$로 크게 높아졌다. 젖산은 넙치대에서는 실험개시시에 비해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넙치소와 쥐노래미에서 개시시 보다 낮아져 글루코스 농도의 변화와 비슷하였다. 수온을 $20^{\circ}C$로부터 $30^{\circ}C$로 급격하게 높인 Exp. II에서 실험어의 Hb 변화는 모든 어종에서 수온급상승에 따라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실험개시시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쥐노래미에서는 수온급변에 따라 MCV는 상승하는 반면, MCHC는 하강하였다. 넙치대·소의 코티졸 농도는 Exp. I의 결과와 같이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쥐노래미에서는 실험개시시의 $2.7\pm0.2ng/mL$로부터 $44.7\pm9.1ng/mL$로 높아졌다. 글루코스 농도는 모든 어종에서 실험개시시 보다 높아져 Exp.Ⅰ결과와는 반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사육수의 담수화시 수용밀도에 따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생리적 반응 비교 (Physiological Respons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Capacity Density Difference during Salinity Change from Seawater to Freshwater)

  • 허준욱;이복규;민병화;박인석;최철영;이정열;장영진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19-425
    • /
    • 2004
  • 사육수의 담수화시 수용밀도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비교하고자, 30마리와 60마리씩 실험수조에 수용하여 30분이내에 사육수를 담수로 교환하였다. 혈장의 Cortisol 농도는 실험개시시 30SW에서 $2.8\;ng\;mL^{-1}$,60SW는 $2.7\;ng\;mL^{-1}$로부터 30FW와 60FW는 24시간째 각각 $66.9\;ng\;mL^{-1}$, $314.1\;ng\;mL^{-1}$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혈장의 Glucose농도는 60SW는 개시시 $15.8\;mg\;dL^{-1}$로부터 60FW는 3시간째 $257.7\;mg\;dL^{-1}$, 24시간째 $164.0\;mg\;dL^{-1}$로 개시시보다 높은 값으로 남아있었다. $Na^+$ 농도는 30SW와 60SW는 시간경과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0FW와 60FW는 시간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l^-$농도는 60FW에서 개시시 $59.0\;mEq\;L^{-1}$로부터 3시간과 24시간째에 각각 $43.5\;mEq\;L^{-1}$, $30.0\;mEq\;L^{-1}$로 유의하게 낮아진 값을 보였다. 모든 실험구에서 생존율은 100%였다. 사육수를 24시간동안 담수로 교환시 사육밀도의 차이에 따른 혈장과 혈액학적 지표에서 다소 차이를 나타냈으며, 삼투압 조절 능력 및 생존율에서는 해수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사육수의 저염분 변화에 따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스트레스 반응 (Stress Respons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o Hyposalinity)

  • 이복규;박철환;김병기;허준욱;장영진;이종관;임영수;이종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9-75
    • /
    • 2002
  • 사육수의 저염분에 따른 급성 스트레스 반응 (코티졸, 글루코스, Na$^{+}$, K$^{+}$, Cl ̄, 총단백질, ALT, AST, 헤마토크리트,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농도, MCV, MCH 및 MCHC) 조사하였다. 예비사육 수조에서 사육하던 어류를 해수(35$\textperthousand$)가 공급되는 실험수조에서 30분이내에 담수 (0 $\textperthousand$)를 흘려주면서 l5 $\textperthousand$구와 0 $\textperthousand$구로 사육수를 교환하였다. 실험개시시 코티졸 농도는 1.6${\pm}$0.2 ng/$m\ell$로부터 15 $\textperthousand$구는 1시간째 3.5${\pm}$1.8 ng/$m\ell$, 3시간째와 24시간째에는 각각 1.7${\pm}$0.2 ng/$m\ell$와 3.0${\pm}$2.4 ng/$m\ell$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0 $\textperthousand$구는 1시간째 22.8${\pm}$3.8 ng/$m\ell$, 3시간째 9.3${\pm}$1.8 ng/$m\ell$, 24시간째 9.5${\pm}$0.2 ng/$m\ell$로 높아진 값을 보였다. 글루코스 함량은 실험개시시 17.7${\pm}$0.6 mg/dl로부터 15$\textperthousand$구와 0$\textperthousand$구는 1시간째 각각 96.2${\pm}$1.6 mg/dl, 155.8${\pm}$16.0 mg/dl로 높아졌다. 그러나 24시간째에는 각각 13.0${\pm}$3.2 mg/dl, 15.2${\pm}$1.4 mg/dl로 실험개시시 값으로 회복되었다. Na$^{+}$과 K$^{+}$은 15 $\textperthousand$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0 $\textperthousand$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존율은 48시간째부터 폐사하기 시작하여 144시간째에는 전량폐사하였다. 삼투압 조절 능력을 위한 여러가지 파라메타에서 15 $\textperthousand$구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추측되나, 0 $\textperthousand$구에서는 코티졸, Na$^{+}$, K$^{+}$, Cl ̄, 총단백질 및 AST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삼투압 조절 능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흰 민들레 뿌리의 항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개선 효과 (Effects of Root of Taraxacum coreanum Nakai on the Inhibition of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in ICR Mice)

  • 조병제;김미정;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763-1770
    • /
    • 2015
  • 한방에서 염증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흰 민들레 뿌리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염증 효과 및 산화 스트레스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ICR mice에 lipopolysaccharide(LPS)를 1회 복강 투여하여(10 mg/kg bw) 염증 및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고, 한국에만 자생하는 흰 민들레 뿌리 열수 추출물을 1.4 g/kg bw 농도로 2회 경구 투여하였다. LPS에 의한 염증 유발은 체중 감소 현상으로 확인하였고, 민들레 뿌리 열수 추출물 투여군은 유의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여 염증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LPS 처리는 혈액의 중성지방질, 혈액 및 간의 reactive oxygen species(ROS), peroxynitrite 농도 그리고 간의 지질과산화 수준을 증가시켰다(P<0.05). LPS를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흰 민들레 뿌리 열수 추출물 투여군은 혈중 및 간의 중성지방질, ROS, peroxynitrite 농도 그리고 간의 지질과산화물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는 흰 민들레 뿌리 열수 추출물이 간의 $NF-{\kappa}B$ 전사인자 및 이의 조절을 받는 COX-2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관련 매개체 및 유리기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LPS 처리군에서 간의 중성지방질 농도가 감소한 것은 염증에 의해 간 조직이 손상되어 중성지방질의 합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방에서 사용하여 온 한국 토종 흰 민들레 뿌리가 $NF-{\kappa}B$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수온 스트레스에 따른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혈액의 생리생화학적 반응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 of Blood on Low Temperature Stress in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 박종연;박재민;홍창기;김경민;조재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
    • /
    • 2016
  • 본 연구는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겨울철 저수온으로 발생하는 폐사원인 규명을 위한 생리생화학적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온 $12^{\circ}C$를 대조구로 Exp. I ($-1^{\circ}C/24h$), Exp. II ($-1^{\circ}C/8h$)의 실험구를 정하여 9일간에 걸쳐 생존율, 코티졸, 글루코스, 총단백질 및 전해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생존율은 Exp. I 실험구의 경우 사육수온 $5^{\circ}C$로 하강한 후 170시간째 12마리의 폐사를 시작으로 174시간째에 전 개체 폐사하였다. 반면 Exp. II 실험구의 경우 $5^{\circ}C$로 하강한 후 72시간째 9 마리의 폐사를 시작으로 76시간째 전 개체가 폐사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Exp. I과 Exp. II의 미비한 차이는 있으나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으며, 혈장 코티졸과 글루코스의 대사생리가 $7^{\circ}C$에 급격하고 상승하고, 유영능력과 아가미 개폐운동이 빨라졌다. 이상의 결과로 능성어의 저수온 내성의 임계수온은 $7^{\circ}C$로 추정된다.

담수 및 해수에서 순화 사육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생리상태 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Conditions o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Acclimated and Reared in Freshwater and Seawater)

  • 민병화;최철영;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44
    • /
    • 2005
  • 해산어류의 담수순화 양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감성돔을 재료로 하여 담수와 해수에서 90일간 사육하였을 때, 어체의 생리상태를 스트레스, 삼투압조절, 성장 및 생존율 측면에 서 조사 비교하였다. 스트레스 측면에서 담수돔과 해수돔의 혈장 cortisol농도의 경우 60일째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실험종료시에는 각각 12.6$\pm$5.0 ng/ml, 4.5$\pm$2.9 ng/ml로 담수돔이 해수돔보다 높았지만 안정시의 농노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투압조절 측면에서 담수돔과 해수돔의 삼투질농도의 범위는 각각 346.7$\pm$4.6$\~$356.5$\pm$2.1 mOsm/kg, 350.0$\pm$2.0$\~$351.0$\pm$2.6 mOsm/kg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아가미 조직의 손상이나 세포의 괴사도 관찰되지 않았다. 성장 및 생존율 측면에서 실험종료시 담수돔과 해수돔의 전장은 각각 17.0$\pm$1.3 cm, 16.1$\pm$0.8, 체중은 각각 88.2$\pm$22.0 g, 69.4$\pm$11.8 g, 생존율은 각각 $80.2\%$, $73.7\%$로 담수돔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증중률 등의 성장관련 요인과 체성분의 조성면에서도 담수돔과 해수돔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ene Expression Analysis for Statin-induced Cytotoxicity from Rat Primary Hepatocytes

  • Ko, Moon-Jeong;Ahn, Joon-Ik;Shin, Hee-Jung;Kim, Hye-Soo;Chung, Hye-Joo;Jeong, Ho-Sa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8권1호
    • /
    • pp.41-49
    • /
    • 2010
  • Statins are competitive inhibitors of hydroxy-3-methyl glutaryl coenzyme A (HMG-CoA) reductase and used most frequently to reduce plasma cholesterol levels and to decrease cardiovascular events. However, statins also have been reported to have undesirable side effects such as myotoxicity and hepatotoxicity associated with their intrinsic efficacy mechanisms. Clinical studies recurrently reported that statin therapy elevated the level of liver enzymes such as ALT and AST in patients suggesting possible liver toxicity due to statins. This observation has been drawn great attention since statins are the most prescribed drugs and statin-therapy was extended to a larger number of high-risk patients. Here we employed rat primary hepatocytes and microarray technique to understand underlying mechanism responsible for statin-induced liver toxicity on cell level. We isolated genes whose expressions were commonly modulated by statin treatments and examined their biological functions. It is of interest that those genes have function related to response to stress in particular immunity and defense in cells. Our study provided the basic information on cellular mechanism of statin-induced cytotoxicity and may serve for finding indicator genes of statin -induced toxicity in rat primary hepatocytes.

벼 Brassinosteroid Insensitive 1 Receptor Kinase의 기능에 관한 연구 (Functional analysis of the rice BRI1 receptor kinase)

  • 연진욱;김회택;노일섭;오만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30-36
    • /
    • 2016
  • Brassinosteroids (BRs) are essential plant steroid hormones required for cell elongation, plant growth, development and abiotic and biotic stress tolerance. BRs are recognized by BRI1 receptor kinase that is localized in the plasma membrane, and the BRI1 protein will eventually autophosphorylate in the intracellular domain and transphosphorylate BAK1, which is a co-receptor in Arabidopsis thaliana. However, little is known of the role OsBRI1 receptor kinase plays in Oryza sativa, monocotyledonous plants, compared to that in Arabidopsis thaliana, dicotyledonous plants. As such, we have studied OsBRI1 receptor kinase in vitro and in vivo with recombinant protein and transgenic plants, whose phenotypes were also investigated. A OsBRI1 cytoplasmic domain (CD) recombinant protein was induced in BL21 (DE3) E.coli cells with IPTG, and purified to obtain OsBRI1 recombinant protein. Based on Western blot analysis with phospho-specific pTyr and pThr antibodies, OsBRI1 recombinant protein and OsBRI1-Flag protein were phosphorylated on Threonine residue(s), however, not on Tyrosine residue(s), both in vitro and in vivo. This is particularly intriguing as AtBRI1 protein was phosphorylated on both Ser/Thr and Tyr residues. Also, the OsBRI1 full-length gene was expressed in, and rescued, bri1-5 mutants, such as is seen in normal wild-type plants where AtBRI1-Flag rescues bri1-5 mutant plants. Root growth in seedlings decreased in Ws2, AtBRI1, and 3 independent OsBRI1 transgenic seedlings and had an almost complete lack of response to brassinolide in the bri1-5 mutant. In conclusion, OsBRI1, an orthologous gene of AtBRI1, can mediate normal BR signaling for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in Arabidopsis thali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