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Type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9초

주요 산림복원사업지 내 귀화식물의 특성과 공종 간 영향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and Working Type on Major Forest Restoration Sites)

  • 전용삼;박준형;권오일;이혜정;임채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1-495
    • /
    • 2022
  • 이 연구는 산림복원사업 이후 유입되는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 식물의 실태 및 사업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장조사는 산림청에서 수행한 산림복원사업지 29개소를 대상으로 2020년과 2021년 봄철(5~6월), 여름철(8~9월)로 나누어 연 2회 실시하였고, 사업 범위 밖의 지역은 조사에서 제외하여 실제 복원사업 후 도입 및 유입되었다고 볼 수 있는 식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대상지 내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복원사업 준공내역 확인을 통해 현장에 실제 적용된 공종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지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29과 80속 108종 1아종으로 109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식물은 총 3과 7속 8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의 분류군 수와 귀화율은 사업 후 소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귀화식물 분류군 수와 귀화율은 권역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훼손 유형별 귀화식물 분류군 수의 경우 백두대간 단절 구간과 채석지, 시설부지 등의 유형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다(p<0.05). 복원지 내 나지 및 비탈면의 녹화를 위한 식생도입 방법인 종자 파종, 나무 식재, 초본 식재, 떼붙임 공종의 유무에 따른 귀화율 비교 분석 결과, 종자파종을 할 경우 귀화율은 평균 15.545%로 파종 공종이 없는 경우의 평균 9.167%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그 외 다른 식생도입 방법은 공종 적용 유무에 따라 귀화율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이는 식물체의 형태를 확인하고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는 나무 식재와 초본 식재, 떼붙임 공종과는 달리 종자 상태에서 귀화식물 여부의 파악이 까다로운 종자 파종 공종이 산림복원사업지 내 귀화식물 도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원지 내 종자 파종 시 종자 전문가에 의한 검수 과정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복원사업 시 식생 도입 및 사후관리의 방향설정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옥상녹화용 식생매트에 적합한 토양과 토심 선정 (Soil Mixtures and Depths Selection for Mat-Type Rooftop Greening)

  • 이은희;강규이;신상희;남미아;이광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2-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suitable planting base for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in order to popularize rooftop greening system easil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2004 June to 2005 May under several conditions; 4 soil depths under mats(2cm, 5cm, 10cm, 15cm), two soil mixtures(natural soil 80%+leaf mold 20%, artificial soil) and two light conditions(full sun place, 20% shaded place). In this experiment, 3 types of mats were used ; the herbaceous plants mat(11 plants inclusive of Lotus corniculatus L., Silene armeria L.), the lawn mat with Festica arundinacea and Sedum mat with Sedum kamtschaticum, Sedum sarmentosum, Sedum oryzifolium, Sedum middendorffianum. The result is as follows; in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the herbaceous plants mat, lawn mat and sedum mat are the similar number of plant and effect of greening on soil depth 2cm, 5cm and 10cm, 15cm. So suitable soil depth of rooftop greening is 10cm for the load and economical factor. Thus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possible planting base depth of all 13cm as soil depth 10cm and mat depth 3cm. As soil mixtures, the number and growth of plants were better mat and 'natural soil 80% +leaf mold 20%' than mat and artificial soil. In herbaceous plants mat, Silene armeria L., Dianthus chinensis, Centaurea cyanus L., Lotus corniculatus L. are survival in full sun place and Silene armeria L., Dianthus chinensis, Centaurea cyanus L. are survival in 20% shaded place. In conclusion, selection of suitable soil mixtures and plants is possible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with effect of continuous greening. The mat-type rooftop greening are lightweight and simple preparation without management and can popularize readily.

Comparison of Organic Matter Dynamics between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Adjacent Artificial Evergreen Coniferous Forest

  • Takahiro, Ichikawa;Terumasa, Takahashi;Yoshito, Asan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4호
    • /
    • pp.217-22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conversion of the forest management type from a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o an artificial evergreen coniferous forest based on organic matter dynamics. We investigated the amounts and carbon contents of the forest floor and the litterfall,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ellulose decomposition rates in the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adjacent artificial evergreen coniferous forest. In the artificial evergreen coniferous forest were planted Japanese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on the upper slope and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on the lower slope. The soil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CEC and microbial activity had decreased due to the conversion of the forest management type from a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o an artificial Japanese cypress forest, and were almost the same for the conversion to a Japanese cedar forest. Under the same condit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soil fertility was different by planting specific tree species because the organic matter dynamics were changed by them.

Growth, Nitrogen Metabolism, and Nodulation of Hypernodulating Soybean Mutant Affected by Soil Fertility

  • Ha, Bo-Keun;Lee, Suk-H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5-149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growth and nodulation characters of hypernodulating soy-bean mutant, SS2-2, and to know the growth and yield performance of the mutant in infertile soil. Soil fertility was adjusted by mixing the different ratios of soil components including clay, river sand, and horticultural bed, which resulted in fertile and infertile soil. Dry weight, nitrogen concentration, and leaf nitrate reductase of each plant were measured around V6 stage (47 days after planting) and around R3 stage (82 days after planting).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soil fertility and soybean genotype on the total dry weights including root, nodule, stem, leaf, and pod dry weight at V6 and R3 stages. Total dry weight of hypernodulating mutant, SS2-2, was clearly less than that of its wild type, Sinpaldalkong 2. However, nodule development on the roots of SS2-2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Sinpaldalkong 2, regardless of soil fertility. Though SS2-2 was smaller in plant size than Sinpaldalkong 2, genotypic difference in total nitrogen content was not significant at both V6 and R3 stages because SS2-2 fixed more nitrogen biologically than its wild type in the root nodule. The SS2-2 mutant showed lower plant yield in both infertile and fertile soil. The SS2-2 contained more crude seed protein than Sinpaldalkong 2, and was characterized with reduced top and root growth.

  • PDF

Firewood Plantation as an Alternative Source of Energy in the Philippines

  • Yao, Calixto E.;Bae, Ki-Ka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171-174
    • /
    • 2008
  • The increasing price of liquefied petroleum gas (LPG) has forced many households to shift to firewood/charcoal in the Philippines, causing tremendous pressure on the dwindling forest. This transition is more obvious in the rural area where firewood price is almost half of that in the cities. Both problems on big demand for firewood and the pressure on our forest can be partly solved by going into firewood plantation. After all, the country has vast track of idle lands, both private and government lands, waiting to be developed. What the government can do are: a) aggressive promotion of firewood plantation, b) simplify further the old technology on establishing firewood plantation to encourage more farmers, c) improve charcoal processing and d) promote the use of efficient stoves. This write up discusses the need for firewood plantation, areas available for planting, where to plant in farms, what species to plant in a particular soil type/location for optimum growth, planting methods, harvesting, marketing, and the side lights on the ecological benefits derived from plantation aside from wood.

  • PDF

파종기와 재배방법에 따른 논 재배 콩의 품종별 생장분석 (Effect of Planting Date and Cultivation Method on Soybean Growth in Paddy Field)

  • 조준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1-204
    • /
    • 2006
  • 파종시기와 포장조건을 달리한 콩의 논 재배 시 R2와 R5 시기의 생육반응과 R5 시기의 수량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 품종들의 경장에 있어서 R2와 R5 시기 모두 단작 시험구가 맥후작 시험구보다 긴 경향을 보였다. 파종 시기와 재배법 모두를 고려해 보면 단작의 경우 평휴 재배가 그리고 맥후작의 경우 고휴재배에서 다소 긴 경향을 보였다. 근류의 형성은 평휴보다 고휴재배에서 많았고, 파종기 및 재배 방법에 상관없이 황금콩이 가장 높았다. 단작 보다 맥후작 시험구에서 공시 5품종 모두 콩 생육기 진전에 따른 엽면적 증가 뚜렷하였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 생산량에 있어서 맥후작 보다 단작 시험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생육기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재배 방법 별로는 지상부 건물중이 평휴에서 높았던 반면 지하부 건물중은 고휴재배에서 보다 양호하였다. 이러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은 T/R율에 영향을 주는데, 재배 방법별로는 평휴조건이 T/R율이 높았으며, 파종시기별로는 단작의 T/R율이 맥후작보다 높았다.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은 R2 시기에는 단작의 T/R율이 높았던 반면, R5 시기에는 맥후작의 T/R율이 높았는데, 이는 이들 품종이 생육기 진전됨에 따라 지하부 생육이 지상부 생육에 비해 미약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등숙기인 R8 시기에서 협수는 조생종인 화엄풋콩이 가장 적었고, 소립종인 은하콩이 가장 많았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평휴보다는 고휴에서 그리고 단작구보다 맥후작 파종구에서 협수가 많은 경향이었다. 조생종인 화엄풋콩이 맥후작에서 등숙이 낮았고, 황금콩과 은하콩은 단작구보다 맥후작에서 등숙율이 높았다. 수량성은 품종간 차이가 있는데 대원콩과 태광콩에서는 6월 19일 파종이 5월 25일 파종에 비해 수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수도 이앙노동의 성력화 연구 II. 시비량 및 이앙밀도 변동에 따른 수도초형별 수량적합성 연구 (Labor-Saving Feasibilities in Transplanting of Paddy Rice II. Variations in Yield Compatibility of Various Typed Isogenic Lines of Paddy Rice as Affected by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with Fertilizer Applications)

  • 구자옥;이영만;이관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7-125
    • /
    • 1985
  • 수도이앙의 생력화를 위한 소식을 함으로써, 수도의 종내경합에 의한 수량감소를 막고, 시비로 증수가능성이 큰 초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공시한 3개 초형의 동질유전자 계통은 Open-type, Spread-type 및 Broom-type 이었으며, 이들을 $m^2$당 47.62, 22.22, 15.15, 11.11, 8.33주로 이앙하고, 시비는 N-P$_2$O$_{5}$-K$_2$O=15.0-7.0-8.0kg/10a를 표준으로 한 0, 0.5, 1.0, 1.5 배비로 하였다. 시험결과, 1. 소식에 따른 출수지연은 종내경합정도에 비례하여서 다비할수록 약화되었으며, 작물초형별로는 Broom$\longrightarrow$ Spread$\longrightarrow$ Open-type의 순이었다. 2. 잡초와의 종간경합은 소식.다비로 증대되었으며, 작물초형별로는 Broom-type에서 특히 다연생잡초종에 의한 경합이 커지는 경향이었다. 3. 시비량증대에 따라 천립중을 제외한 면적당수수.수당영화수.등숙률은 3초형 모두 증대경향을 나타냈으나 재식밀도에 따른 반응은 면적당수수만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4. 수량성은 Open-type과 Spread-type의 경우, 이앙밀도와 정상관을 보인 반면에 Broom-type에서는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5. $m^2$당 이앙밀도를 15, 11, 8주로 낮추었을 때, Open-type은 각각 1.12, 1.21 및 1.28배비로써 그리고 Broom-type은 각각 1.22, 1.35, 1.4배비로써 Open-type 표준수량의 보상이 가능하였다.다.

  • PDF

수도 이앙노동의 성력화 연구 제3보. 수도초형별 이앙밀도와 시비량의 상호작용 반응모형 분석 (Labor-saving Feasibilities in Transplanting of Paddy Rice III. Intepret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Transplanting Density and Fertilizer Application in Paddy Rice)

  • 구자옥;이영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7-222
    • /
    • 1985
  • 초형이 다른 3종의 수도 Isogenic line(Open-Spread- 및 Broom-type)을 5수준의 이앙밀도(47.62, 22.22, 15.15, 15.11 및 8.33주/$m^2$)와 4수준의 시비조건(증비, 보비, 감비 및 무비)에 공시하여 얻은 수량자료를 Multiple regression polynomial 수식으로 고정하고 편미분하여 밀도와 시비및 밀도$\times$시비의 작용력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갈다. 1. 소식조건하에서의 밀도변동에 따른 수량 반응은 Broom-type이 가장 높고 예민하였다(도 1). 2. 이앙밀도의 작용력〔$\delta$f(D, F)/$\delta$D〕은 Open-, 및 Spread-type이 다비에서 높아지는 대신에Broom-type은 시비와 관계없이 소식 및 밀식에서 높은 경향이었다.(도 2). 3. 시비율의 작용력 〔$\delta$f(D, F)/$\delta$D〕은 0~1000kg/10a 범위로서 Open- 및 Spread-type에서는 밀식조건하에서 높았으나 Broom-type에서는 소식조건하에서 소비 및 다비의 작용력이 큰 경향이었다(도 3). 4. Broom-type의 소식조건하에서 밀도$\times$시비의 상호작용력 〔$\delta$$^2$F(D, F)/$\delta$D$\delta$F〕은 음성을 나타내었고, Open- 및 Spread-type은 표준 및 밀식과 증비 조건에서 양성을 나타내었다(도 4). 5. $m^2$당 11~14주의 소식조건하에서 추정되는 소요시비수준은 Open-type 이 1.3~1.5배비인 반면에 Broom-type은 1.5배비 이상의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소식에 의한 이앙노동의 생력화를 위해서는 다비수용이 가능한 Broom-type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해석이 된다.

  • PDF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Garden Space Using the Planting System Design Process

  • Hong, In-Kyoung;Yun, Hyung-Kwon;Lee, Sang-Mi;Jung, Young-Bin;Lee, Mi-Ra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15-62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Urbanization caused a reduction in urban green space and a lack of community spaces. An attempt to solve these problems, urban gardens, have become popular and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downtown areas. However, urban gardens have some inadequate aspects from a visual or landscape persp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n aesthetic and productive garden space by introducing cultivation methods through the planting system design process. Methods: The design process using plants was classified and presente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landscape and aesthetic value. An urban garden space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production scenery' and 'participation aesthet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urban gardens were divided into vertical type (corn, millet, sorghum), climbing type (kidney bean, cucumber, bitter gourd), and runner type (melon, watermelon, peanut). After classifying plant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ot, the structure supporting climbing was installed and the crops were cultivated in an upright form with a tunnel. Results: In the designed cultivation, each crop cooperates, without invading each other's spac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production, and management was made more convenient since weed outbreaks were effectively suppressed while runner type crops cover over the land's surface. Since the positions of each crop are clearly distinguished, the aesthetic value is improved by offering a sense of rhythm with a balanced desig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ultivation methods through the plant system design process have aesthetic as well as productive value, and the design using plants, an infinite living resource, could lead to an expansion of the design field. Moreover, it would enable a sustainable symbiosis between industry and environment. There is potential for the design industry to make significant progress through collaboration with agriculture,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