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ago asiatica L.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저온습윤 및 변온처리가 자생식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chilling and Alternating Temperature on Seed Germination of Native Plants)

  • 강치훈;김두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2-207
    • /
    • 2000
  • 자생식물 16종의 종자형질 특성 및 저온습윤 및 변온 처리에 의한 발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실험은 수행되었다. 종에 따라 종자의 길이, 넓이, 폭은 각각 1.1∼8.9, 0.7∼7.5, 0.4∼l.7mm의 범위였으며 천립중은 0.1∼8.8g의 범위였다. 무처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은 종에 있어 냉이와 익모초는 암조건에서 각각 16, 36%이었으며 장구채와 각시취는 명조건에서 각각 69, 81%이었다. 참취, 고려엉겅퀴, 곰취, 질경이, 청옥취는 저온습윤처리 명조건에서 각각 84, 29, 57, 78, 95%로 물엉겅퀴는 암조건에서 30%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변온처리에서 발아율이 높은 종에 있어 두릅나무와 벌개미취는 명조건에서 각각 2,57%로, 수리취는 암조건에서 52%로 가장 높았다.

  • PDF

천연추출물이 첨가된 식빵을 섭취한 흰쥐의 혈당 및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 (Levels of Plasma Glucose and Lipid in Rats Fed Bread Supplemented with Natural Extracts)

  • 김세욱;한아람;전수현;남미현;홍충의;김복희;김태철;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77-85
    • /
    • 2016
  • 본 연구는 가자 추출물(TCE), 차전초 추출물(PAE), 생강나무잎 추출물(LOE) 그리고 매생이 추출물(CFE)을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매일 30 g의 식빵 식이를 6주령 SD 랫드에게 제공한 뒤 혈당과 지질과 관련된 지표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추출물이 첨가된 식빵을 섭취한 모든 그룹에서 체중, 음수량, 간과 신장의 무게, AST, ALP, ALT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이 섭취 후 혈당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매주 1회 절식 후 공복혈당을 측정하였을 때 1주차 측정 결과에서 Con 그룹의 혈당 수치가 $134.63{\pm}27.12mg/dL$로 BT 그룹, BP 그룹, BL 그룹 그리고 BC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혈당이 상승하였고, 4주차 측정 결과에서는 Con 그룹($123.63{\pm}9.62mg/dL$), BT(그룹 $119.13{\pm}9.60mg/dL$), BP 그룹($117.37{\pm}12.77mg/dL$), BL 그룹($116.50{\pm}14.43mg/dL$)과 비교해 BC 그룹에서 $108.13{\pm}4.64$의 혈당치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혈당이 감소하는 것을 보아 CFE가 첨가된 식빵은 혈당강하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p<0.05). 이어진 경구당부하검사 120분대 혈당치에서 BT 그룹($124.63{\pm}17.15mg/dL$), BL 그룹($121.50{\pm}13.28mg/dL$)은 Con 그룹($138.50{\pm}6.09mg/dL$)의 혈당치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p<0.05), AUC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BT 그룹, BP 그룹, 그리고 BL 그룹의 area value가 적어졌다. AUC와 경구당부하검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TCE, PAE 그리고 LOE가 첨가된 식빵은 기존식빵에 비해 내당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혈당과 관련된 중요 지표 중 하나인 당화혈색소 측정 결과에서 Con 그룹(4.06%)과 비교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BL 그룹(1.53%)와 BC 그룹(2.28%)은 당화혈색소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p<0.05). 지질 측정 지표인 TC, TG,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측정결과에서 BL 그룹은 TC, LDL-cholesterol을 유의적으로 낮췄으 며 BC 그룹은 TC, LDL-cholesterol을 유의적으로 낮추고 HDL-cholesterol의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LOE와 CFE가 첨가된 식빵 식이는 제공은 지질대사의 불균형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동맥경화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지질과 관련된 유전인자인 PPAR-${\alpha}$과 PPAR-${\gamma}$에 대한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BL 그룹, BC그룹에서 Con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PPAR-${\alpha}$ mRNA 발현이 증가하였고, PPAR-${\gamma}$ mRNA 발현의 경우, BP 그룹, BL 그룹, BC 그룹에서 가장 적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추출물 중 여러 측정 항목에서 LOE와 CFE가 첨가된 식빵식이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보였으므로 LOE와 CFE는 공복혈당 강하와 내당능에 효과가 있으며 HDL의 합성을 촉진하여 혈중 TC의 함량을 낮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PPAR-${\alpha}$의 전사를 활발하게 하고 PPAR-${\gamma}$와 관련된 유전인자의 활성을 낮춰 지질대사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배지종류가 추식 수경재배 질경이의 생장과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fferent Substrates on the Plant Growth and Mineral Contents of Hydroponically Grown Plantago asiatica in Aggregate Culture)

  • 조자용;김홍기;유성오;양승렬;양원모;김병운;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6
    • /
    • 2007
  • 질경이를 공시하여 펄라이트,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1:1 혼합, 입상암면 및 피트모스 등 4종의 고형배지경에서 배지에 따른 생장반응과 무기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배지종류별 생육반응은 초장, 경경, 엽수, 최대근장,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등 전반적인 초기생장이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혼합배지>피트모스 배지>입상암면 배지>펄라이트 배지 처리구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내 Ca와 Mg함량은 피트모스 배지에서, Mg와 Na 함량은 입상암면 배지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내 $P_2O_5$ 함량은 식물 생장과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1:1 혼합 배지 처리구와 피트모스 배지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한라산 인공초지의 식물천이 (The Plant Succession of Improved Pasture Around Mt. Halla in Cheju Island)

  • 조남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6-349
    • /
    • 1986
  •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 북사면 해발 450m에 위치하여 있는 자연초지를 개벽한 후, ha당 Dactylis glomerata 17kg, Festuca arundinacea 7kg, Lolium multifolium 2kg, Trifolium repens 2kg의 목초를 1975년에 추파하여, 1976~1985년까지 가축방목에 이용되고 있는 인공초지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공초지조성후 연도별 침입잡초의 분포는 1976~1977년 초지에 각각 37종, 1978년 39종, 1979년 76종, 1980년 106종, 1981년 130종, 1982년 134종, 1983년 140종, 1984년 142종, 1985년 초지에서는 151종이었으며, 그 중 1976년에 불량잡초 8종, 가량잡초 29종이었으나, 년수가 지남에 따라 매년 증가되어 1985년에는 불량잡초 49종, 가식잡초 102종 이었다. 2. 초지조성후 연도에 따르는 침입잡초의 생태형별분포는 1976연에 1년생 12종, 다년생 25종, 목본1종이었으나 연수가 지남에 따라 매년 증가되어 1985년도에는 1년생 56종, 다년생 95종, 목본잡초는 9종이었다. 3. 연수의 경과에 따르는 도입목초의 연평균초장은 1976~1978연까지는 38.05~47.30cm로 길어지고 있으나, 1979~1985년까지는 40.50~10.36cm로 짧아지고 있는 반면(y=0.501$\chi$$^2$+1.609$\chi$+41.946), 침입잡초의 초장은 1976년에 27.03cm였던 것이 매년 길어져 1985년에는 42.84cm(y=-0.080$\chi$$^2$+2.540$\chi$+27.570)이었다. 4. 인공초지조성 이후 연도별 목초의 밀도변화는 1976연에 76.40%였던 것이 1985연에는 0.49%로 매년 감소(y=1.024$\chi$$^2$-20.343$\chi$+99.841)되고 있으나 침입잡초는 1976연에 23.60%였던 것이 1985연에는 99.51 %로 매년 증가(y=1.024$\chi$$^2$+20343$\chi$+0.160)되었다. 5. 연수경과에 따르는 도입목초의 생초수량변화는1976 ~ 1978년까지는 증가(2,808~3,535kg)되었으나 1979~1985년 사이에는 감소(2,326~35kg)되고 있는 반면, 침입잡초의 수량의 1976년에 308kg이었던 것이 1985년에는 3,178kg으로 매년 증가되었다. 6. 초지조성후 목초의 피도변화는 1976~1985년까지는 감소(43.01~l.21%)된 만면, 침입잡초의 피도는 1976년에 22.09%였던 것이 1985년에는 98.78%로 매년 증가되었다. 7. 인공초지조성후 년차별 식생형 변화는 1976~1978년까지는 Dactylis glomerata / Trifolium repens 형이었으며, 1979년 Trifolium repens / Imperata cylindrica 형, 1980 ~ 1982년 Imperata cylindrica / Zoysia japonica형, 1983 년 Imperata cylindrica / Pteridium aquilinum 형, 1984 ~ 1985년에는 Imperata cylindrica / Miscanthus sinensis 형으로 변화되었다. 8. 초지조성후 년도가 경과함에 따라 전진적인 변이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침입식물은 Imperata cylindrica, Zoysia japonica, Pteridium aquilinum, Miscanthus sinensis Cirsium japonicum, Erigeron canadensis, Artemisia japonica Lespedeza cuneata, Spodiopogon cotulifer, Cymbopogon tortilis, Plantago asiatica, Rumex acetosella 등이며 Digitaria sanuinalis, Hydrocotyl japonica, Artemisia asiatica 등은 개량초기에는 생육이 비교적 우세한 편이었으나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오히려 후퇴적인 천이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차전초 잎의 물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비만 유도된 C57BL/6 생쥐의 체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water extract on body fat loss in high fat-induced obese C57BL/6 mice)

  • 김소영;정미진;김유진;이은탁;추성태;김한혁;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9-67
    • /
    • 2018
  • Objective : Plantago asiatica L.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in Korea, China, and Japan for the treatment of many diseas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asthma and diuretic. But the anti-obesity effect of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has not been studied yet. Thus,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anti-obesity efficacy of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water extract (PAF) i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animal model. Method : Male, five-weeks old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ND (normal diet + 0.9% saline), HFD (high-fat diet + 0.9% saline), PC (high-fat diet + Garcinia cambogia 500 mg/kg), PAF 100, 300 (high-fat diet + PAF 100, 300 mg/kg. Treatments were performed daily for 6 weeks per os. We evaluated the changes of body weight, white adipose tissues weight, hepatic and fecal lipids level, pancreatic lipase activity and lipid profiles in plasma. Result : Body weights, adipose tissue weights and F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ice fed the high-fat diet with PAF treatment than in mice fed the high-fat diet alone. In plasma, TG, TC, LDL-C, ATS and ALT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F groups compared with HFD group. Also, hepatic triglyceride (TG) levels decreased and fecal TG increased in PAF groups compared to HFD group. In addition, the activity of pancreatic lipase was decreased in the PAF groups compared to that of HFD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PAF extract i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improvement obesity, so it might be a potential and safe material for anti-obesity agent of weight control or functional supplements.

수수 식물체 추출물의 제초활성 및 작물 선택성 (Herbicidal activity and crop injury of aqueous extracts of sorghum leaves)

  • 원옥재;로미즈 우딘;변종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191-198
    • /
    • 2011
  • Herbicidal effects and crop selectivity of aqueous leaf extracts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were evaluated against several weed species for developing sustainable weed management in organic farming. Aqueous sorghum leaf extracts were highly phytotoxic to different weed species. No broadleaf weeds were germinated in the concentration of 5 fold or higher concentrated sorghum leaf extracts and 90% of seed germination was inhibited within that range in grass species. Sorghum leaf extracts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different weeds by pre-emergence and foliar applications in greenhouse condition. Foliar application of sorghum leaf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than the pre-emergence application. Broadleaf weed species were more susceptible than grasses to the application of sorghum leaf extract in foliar applications than grasses. Galium spurium, Erigeron candensis, and Rumex japonicus were completely killed at the highest concentrated sorghum leaf extract both in pre-emergence and foliar application. Most broadleaf weed species were inhibited more than 80% at pre-emergence application at 50 fold concentrated sorghum leaf extract. G. spurium, E. candensis, R. japonicus, Eclipta alba, Plantago asiatica and Portulaca oleraeea were most susceptible to sorghum leaf extract in foliar application. Growth of most broad leaf weed species was suppressed by greater than 90% at 50 fold concentrated sorghum leaf extract. Most crop species were tolerant to sorghum leaf extract but shoot growth was slightly reduced by the application of 40~50 fold concentrated extracts, Sorghum leaf extract may used to control weeds in organic fanning without affecting the growth of crop.

생약제(Miracle® 첨가가 포유모돈의 생산성, 자돈의 성장 및 혈액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Plant Mixture(Miracle®) Supplementation on the Productivities of Lactating Sows and Growth Performance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glets)

  • 민병준;권오석;홍종욱;손경승;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371-378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dietary herbal extracts mixturetMiracle" included Angelicae Gigantis Radix, Rehmanniae Radix, Cnidii Rhizoma, Glycyrrhizae Radix, Schizandrae Fructus, Plantago asiatica and Dioscoreae Radix) on the productivities of lactating sowsand growth performance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glets. Twenty seven sows (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1 to 3 parities) were used in a 21 day old trial.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 (control; basal diet), 2) HPMO.l (basal diet + herbal plant mixture 0.1 %) and 3) HPMO.2 (basal diet + herbal plant mixture 0.2 %). Backfat thickness losses from farrowing to weaning was decreased in HPM treatmentscompared with control(linear effect, P $\leq$ 0.003). ADFI was decreased in sows fed herbal plant mixture(linear effect, P < 0.05). Also, treatments of dietary herbal plant mixture reduced day of return to estrus compared with control(linear effect, P < 0.05). Energy digestibility in HPM treatments were higher than control(linear effect, P $\leq$ 0.05). In piglets, weight gain(P > 0.05) and survivability(P> 0.05) after weaning werenot affected by treatment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P> 0.05) for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in piglets. In conclusion, dietary herbal plant mixture reduces backfat thickness losses and day of return to estrus and improves energy digestibility in lactating sows.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Against Bacillus subtilis Spore

  • Cho, Won-Il;Choi, Jun-Bong;Lee, Kang-Pyo;Cho, Seok-Cheol;Park, Eun-Ji;Chung, Myong-Soo;Pyun, Yu-Ry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1072-1077
    • /
    • 2007
  • Bacterial endospores, especially those of Bacillus and Clostridium genera, are the target of sterilization in various foods. We used Bacillus subtilis ATCC 6633 spores to screen novel antimicrobial substances against spores from medicinal plants. We collected 79 types of plant samples, comprising 42 types of herbs and spices and 37 types of medicinal plant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and China. At a concentration of 1%(w/v), only 14 of the ethanol extracts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spores of at least 90%. Crude extracts of Torilis japonica, Gardenia jasminoides, Plantago asiatica, Fritllaria, and Arctium lappa showed particularly high sporicidal activities, reducing the spore count by about 99%. Consideration of several factors, including antimicrobial activity, extraction yields, and costs of raw materials, resulted in the selection of T. japonica, G. jasminoides, A. lappa, and Coriandrum sativum for the final screening of novel antimicrobial substances. Verification tests repeated 10 times over a 4-month period showed that the ethanol extract of T. japonica fruit reduced aerobic plate counts of B. subtilis spores the most, from $10^7$ to $10^4\;CFU/mL$ (99.9%) and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0.21%, indicating that this fruit is the most suitable for developing a novel antimicrobial substance for inactivating B. subtilis spores.

저령차전자탕(猪苓車前子湯)의 기원(基源), 변천과정(變遷過程) 및 구조원리(構成原理) (The Origin, Changes and Compositive Principles of Jeoryoungchajeonja-tang)

  • 권오원;김배수;이지원;신승원;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3-109
    • /
    • 2016
  • Objectiv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rigin, the progressive changes and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Jeoryoungchajeonja-tang(猪苓車前子湯).Methods Jeoryoungchajeonja-tang and other related prescript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athological indication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including 『Sanghannon(傷寒論)』, 『Keumkuaeyoryak(金匱要略)』, 『Donguibogam(東醫寶鑑)』, 『Donguisusebowon‧Sasangchobongwo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Donguisusebowon‧Gabogubon(東醫壽世保元‧甲午舊本)』, 『Donguisusebowon‧Sinchukbon(東醫壽世保元‧辛丑本)』Results and Conclusions 1) The origin of Jeoryoungchajeonja-tang is discovered in the prescriptions for Lee-su(利水), that is, Jeoryoung-tang(猪苓湯). 2) Ohryoung-san(五苓散) introduced in 『Donguisusebowon‧Sasangchobongwo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progressively transformed into Shihosaryoung-san(柴胡四苓散)(『Donguisusebowon‧Gabogubon(東醫壽世保元 ‧甲午舊本)』) and ultimately into Jeoryoungchajeonja-tang(『Donguisusebowon‧Sinchukbon(東醫壽世保元‧辛丑本)』), a prescription appropriate for usage in the Mangeum symptomatology(亡陰證). 3) The Jeoryoungchajeonja-tang is composed of 10 herbs. Of these, Notopterygium incisum Ting(羌活), Aralia cordata Thunb.(獨活), Schizonepeta tenuifolia Briq.(荊芥),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防風) make the Pyoeum(表陰) drop, and Anemarrhena asphodeloides Bge.(知母), Gypsum fibrosum(石膏) scatter the uihwa(胃火), and Poria cocos Wolf.(茯苓), Alisma canaliculatum(澤瀉), Polyporus umbellatus Fr.(猪苓), Plantago asiatica L.(車前子) facilitate urination.

차전자 메탄올 엑기스의 혈압강하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potensive Action of Methanol Extract of Plantaginis Seed in the Rabbit)

  • 고석태;임동윤
    • 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3-174
    • /
    • 1978
  • 차전자(Plantaginis Semen)은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원야와 노방의 자생하는 다년생 초목으로 Plantaginaceae(질경이과)에 속하는 Plantago major L. var. asiatica Decaisne 질경이의 종자를 말하며 그의 성분으로는 다량의 점액, 지방유, pentosan 및 galactan, succinic acid, plantanolic acid, adenine, choline. K-염등이 알려져 있다. 이 차전자는 한방과 민간에서 소염, 이뇨, 진해, 지사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그의 약리작용에 관해서는 이미 저자들이 가토를 이용한 실험에서 이의 methanol extract가 자궁수축작용, 호흡흥분작용, 혈압강하작용, 장관수축작용, 심장박동의 완제작용, 항이뇨작용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그의 기전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저자들은 위의 여러가지 작용중 특히 혈압강하작용에 관한 본태를 파악하여 그의 실용성 여부를 구명코자 이 실험을 착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