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attractant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iveness of Plant-Based Attractants in Preventing the Escape of Golden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a) into the Ecosystem

  • Il Kyu Cho;So-Young Jang;Woo Young Cho;Yun-Su Jeong;Jun Seok Kim;Seong Eun Han;Kil Yong Kim;Gi-Woo Hyo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1-381
    • /
    • 2023
  • The effectiveness of plant-based attractants was studied using large traps, which attracted relatively more snails in agricultural water drainage ditches and rice-cultivating environments, although their effectiveness in rice fields and lakes was limited. The rate began to rise after three hours of observation. Watermelon peel exhibited the highest apple snail attraction rate (13.8%), followed by potatoes (10.0%), and apple peel (8.8%). These value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 attraction rate attributed to papaya leaves (F=3.84; P=0.0387). After 24 h, watermelon peel and apple peel indicated a higher rate of attraction (23.4% and 21.7%,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ose of papaya leaves and potatoes (F=9.94; P=0.00455). Large bait traps outperformed funnel traps in capturing golden apple snails and trapped a significant number of snails measuring over 1 cm in size. Watermelon peel was the most effective attractant for a large bait trap, followed by apple peel, potatoes, and papaya leaves. On average, 110 snails were captured in the lure net. However, potatoes, apple peels, and papaya leaves caught an average of 93, 80, and 79 snails, respectively. Among the attractants, the lure effect of the snai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efficiency of large bait traps in capturing snails, regardless of the plant attractant employed, followed the order: apple peel > watermelon peel and potatoes > papaya leaves > melon > Korean melon. Watermelon peel is highly recommended for farmer use, as well as apple peel and potatoes. Utilizing these snail attractants may contribute positively to developing a safe and environment-friendly integrated pest management strategy.

Roles of flower scent in bee-flower mediations: a review

  • Bisrat, Daniel;Jung, Chuleu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1호
    • /
    • pp.18-30
    • /
    • 2022
  • Background: Bees and flowering plants associations were initially began during the early Cretaceous, 120 million years ago. This coexistence has led to a mutual relationship where the plant serves as food and in return, the bee help them their reproduction. Animals pollinate about 75% of food crops worldwide, with bees as the world's primary pollinator. In general, bees rely on flower scents to locate blooming flowers as visual clue is limited and also their host plants from a distance. In this review, an attempt is made to collect some relevant 107 published papers from three scientific databases, Google Scholar, Scopus, and Web of Science database, covering the period from 1959 to 2021. Results: Flowering plants are well documented to actively emit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However, only a few of them are important for eliciting behavioral responses in bees. In this review, fifty-three volatile organic compounds belonging to different class of compounds, mainly terpenoids, benzenoids, and volatile fatty acid derivatives, is compiled here from floral scents that are responsible for eliciting behavioral responses in bees. Bees generally use honest floral signals to locate their host plants with nectar and pollen-rich flowers. Thus, honest signaling mechanism plays a key role in maintaining mutualistic plant-pollinator associations. Conclusions: Considering the fact that floral scents are the primary attractants, understanding and identification of VOCs from floral scent in plant-pollinator networks are crucial to improve crop pollination. Interestingly, current advances in both VOCs scent gene identification and their biosynthetic pathways make it possible to manipulate particular VOCs in plant, and this eventually may lead to increase in crop productivity.

Hydrocarbon patterns in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Orchidaceae) as a key mechanism for pollination

  • SON, Hyun-Deok;YUN, Seon A;KIM, Seung-Chul;IM, Hyoung-Tak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8-153
    • /
    • 2020
  •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is an orchid species solely pollinated by the male bee Megachile yasumatsui. Although C. scolopendrifolium i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its pollination mechanisms or the profiles of its chemical attractant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Cleisostoma orchid attracts male bees as pollinators by mimicking female mating signals. We found 13 hydrocarbons in the Cleisostoma orchid flower presumed to be involved in sex pheromone mimicry: five alkanes (tricosane, pentacosane, heptacosane, nonacosane, and hentriacontane), compounds of cuticular hydrocarbons which function as chemical cues for the recognition of mates and species in social insects; and eight alkenes ((z)-9-tricosene, (z)-9-pentacosene, (z)-11-pentacosene, (z)-9-heptacosene, (z)-11-heptacosene, (z)-9-nonacosene, (z)-11-nonacosene, and (z)-11-hentriacontene) which serve as sex pheromones in several insects. We suggest that these hydrocarbons play a key role in the pollination mechanism between Cleisostoma orchids and Megachile bees.

식물생장촉진 근권미생물의 영향에 대한 연구 현황 및 전망 (Current Perspectives on the Effects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 후인르티엔투;전상은;김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81-1293
    • /
    • 2019
  • 근권은 식물 뿌리와 토양 미생물이 서로의 신호를 주고 받으며 끊임없이 상호반응하는 역동적인 장소이다. 근권 주위에서 식물의 생장과 생산성에 유익한 토양 미생물을 식물생장촉진근권미생물(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이라 칭하며, 이 PGPR은 식물 전 생장기간동안 생물학적 및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식물 호르몬 조절, 영양분의 흡수와 이용 등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식물의 생장과 발달, 면역, 생산력 등 중요한 생명 과정에 관여한다. 그리고, PGPR은 식물 생장을 유도하는 2차 대사산물이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생산하고, 식물의 뿌리 역시 식물 유해한 인자 혹은 병원성 인자에 대항하여 자신을 보호하거나 토양 성질 개선을 위해, PGPR을 유인하고 정착시키기 위한 물질을 생산, 분비한다. 그러므로, 식물과 PGPR 사이의 상호작용은 필수적이면서도 상호의존적이다. 현재까지, PGPR에 대한 많은 연구는 직간접적 개념에 대하여 공통적 또는 다양한 조건들에서 여러 방식으로 PGPR의 기능을 밝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세포분열과 팽창, 분화에 의한 식물의 생장과 발달의 촉진, 식물생장조절인자와 호르몬의 유도, 영양물질의 고정, 용해, 무기화를 촉진하기 위한 PGPR의 역할과 전략을 소개하였다. 또한 PGPR와 토양 미생물군의 효과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정보를 요약하였다.

북방수염하늘소의 Ipsenol, Ipsdienol에 대한 유인효과 (Attractive Efficacy of Ipsenol and Ipsdienol against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Coleoptera: Cerambycidae))

  • 안희근;김민기;양정오;노두진;강신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1-396
    • /
    • 2008
  • 국내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잣나무(Pinus koraiensis)에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을 옮기는 새로운 매개충으로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에 의한 발병이 보고되면서 소나무재선충의 빠른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잣나무의 주요 성분이며 Monochamus속에 유인성분으로 보고된 $\alpha$-pinene과 에탄올, 나무종류의 유인성분으로 알려진 Ips 속 페로몬(ipsenol, ipsdienol)에 대하여 혼합 유인효과를 검토한 결과, ipsenol + ipsdienol에서 67.9%, 그리고 ipsenol과 ipsdienol을 $\alpha$-pinene + 에탄올과 혼합 처리 시 각각 67.7%, 79.3%의 유인력을 보였다. 특히 ipsenol에 비해 ipsdienol의 $\alpha$-pinene + 에탄올에 대한 혼합효과가 높았으며, 북방수염하늘소의 수컷에 비해 암컷이 높은 유인력을 나타냈다.

갈색여치의 유인물질 탐색과 트랩개발 (Attractants and Trap Development for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 Tettigoniidae))

  • 노두진;양정오;문상래;윤창만;강신호;안기수;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6-261
    • /
    • 2008
  • 최근 충북 영동지방을 중심으로 대발생되고 있는 갈색여치에 대하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유인트랩을 이용한 방제를 검토하였다. 농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PET 프라스틱 빈병을 이용하여 Fish 트랩을 제작하였다. 유인조성물로서 상수리나무잎 대비 과일의 과육 및 과일 주스, 막걸리와 어분을 영동지역 포장에 직접 처리하여 유인효과를 비교하였다. 1일 동안의 유인력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작하여 적용한 Fish 트랩이 Funnel 트랩에 비해 높은 유인효과를 보였으며, 유인 조성물 효과는 복숭아주스(32.7마리) > 막걸리+어분(31.3마리) >막걸리(27.0마리) > 배주스(19.0마리) > 사과주스(17.2마리) > 어분(16.7마리) > 포도주스(14.4마리) > 상수리나무잎(2.3마리) 순서로 나타났다. 과일의 과육에 대한 유인효과에 비해 과일 주스의 효과가, 그리고 트랩을 지면에 설치 시 보다 지상 1m의 높이에 처리했을 때 유인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막걸리+어분의 유인지속성은 방부제를 혼합 처리한 유인트랩에서 그 효과가 지속되었다.

호박꽃과실파리의 트랩형 수컷박멸제 기반 기술 개발 (Technologies Required for Development of Trap-based MAT Control Against the Striped Fruit Fly, Bactrocera scutellata)

  • 김규순;김민현;권기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1-60
    • /
    • 2017
  •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a)는 호박꽃을 가해하는 해충이다. 이들 수컷은 식물체 유래물질인 raspberry ketone (RK)에 유인되어 섭식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 해충의 방제를 위해 수컷박멸기술(male annihilation technique: MAT)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두고 이를 위한 기반 기술을 탐색하였다. 효과적 유인 물질이 실내 및 실외 실험을 통해 비교되었다. 일반적으로 과실파리류에 유인효과가 높은 methyl eugenol에 호박꽃과실파리 암수는 모두 반응하였으나 야외에서는 전혀 유인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RK의 합성 유도체인 cuelure(CL)에 호박꽃과실파리 수컷은 실내 및 야외조건에서 모두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지향하는 왁스형 방출기 조건에서 RK가 CL에 비해 동등하거나 우수한 유인효과를 보였다. MAT를 구성하는 데 유인 물질과 함께 포함될 살충제를 피레스로이드 살충제로 선발하였다. 또한 MAT 처리 후 치사된 개체의 확인과 계수를 위해 깔때기형 트랩을 선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호박꽃과실파리의 MAT 기술은 RK과 비펜스린을 담은 왁스형 방출기로 결정하고 이를 깔때기트랩에 설치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기본 조건은 추후 현장 적용할 MAT 기술 개발에 기반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시설토마토에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허브식물의 유인효과 (Attracting effect of herbal plants for Bemisia tabaci control in a tomato greenhouse)

  • 서미혜;양창열;신용습;윤정범;최병렬;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603-610
    • /
    • 2020
  • 담배가루이 방제는 대부분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므로 약제저항성 증가가 야기되므로, 트랩식물을 이용한 대체방제법 개발을 위해 허브식물들에 대한 담배가루이의 기주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완주군에 있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내 토마토온실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허브 식물로 레몬밤, 초코민트, 로즈제라늄, 애플제라늄을 지면으로 부터 50 cm와 작물 상단부의 30 cm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 담배가루이 밀도를 조사하였다. 허브식물의 설치 위치별 담배가루이 밀도를 각각 조사한 결과 레몬밤이 설치된 곳에서 높았으며 로즈제라늄과 애플제라늄은 오히려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유인제, 기피제 및 트랩식물을 포함한 허브 식물을 사용하는 담배가루이의 대체방제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