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ococcu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Use for Plant Growth Promotion Under Salt Stress, of ACC Deaminase-Producing Halotolerant Bacteria Derived from Coastal Soil

  • Siddikee, M.A.;Chauhan, P.S.;Anandham, R.;Han, Gwang-Hyun;Sa, To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1호
    • /
    • pp.1577-1584
    • /
    • 2010
  • In total, 140 halotolerant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both the soil of barren fields and the rhizosphere of six naturally growing halophytic plants in the vicinity of the Yellow Sea, near the city of Incheon in the Republic of Korea. All of these strains were characterized for multiple plant growth promoting traits, such as the production of indole acetic acid (IAA), nitrogen fixation, phosphorus (P) and zinc (Zn) solubilization, thiosulfate ($S_2O_3$) oxidation, the production of ammonia ($NH_3$), and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hydrolytic enzymes such as protease, chitinase, pectinase, cellulase, and lipase under in vitro conditions. From the original 140 strains tested, on the basis of the latter tests for plant growth promotional activity, 36 were selected for further examination. These 36 halotolerant bacterial strains were then tested for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 deaminase activity. Twenty-five of these were found to be positive, and to be exhibiting significantly varying levels of activity. 16S rRNA gene sequencing analyses of the 36 halotolerant strains showed that they belong to 10 different bacterial genera: Bacillus, Brevibacterium, Planococcus, Zhihengliuella, Halomonas, Exiguobacterium, Oceanimonas, Corynebacterium, Arthrobacter, and Micrococcus. Inoculation of the 14 halotolerant bacterial strains to ameliorate salt stress (150 mM NaCl) in canola plants produced an increase in root length of between 5.2% and 47.8%, and dry weight of between 16.2% and 43%, in comparison with the uninoculated positive controls. In particular, three of the bacteria, Brevibacterium epidermidis RS15, Micrococcus yunnanensis RS222, and Bacillus aryabhattai RS341, all showed more than 40% increase in root elongation and dry weight when compared with uninoculated salt-stressed canola seedling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ertain halotolerant bacteria, isolated from coastal soils, have a real potential to enhance plant growth under saline stress, through the reduction of ethylene production via ACC deaminase activity.

가축분뇨 발효제의 개발을 위한 미생물 분리 및 특성조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organisms for the Development of Fermentation Accelerator of Animal Manure)

  • 김소영;김홍;채희정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466-4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의 비료화를 위한 분뇨의 악취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시킬 수 있는 기능성 발효촉진 미생물의 선별을 목표로 쌀겨 자연발효 추출물로부터 총 61개의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고, 순수 분리된 균주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의 유기물 분해 효소활성 (amylase, protease, cellulase 및 lipase), 암모니아 가스의 탈취성능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NA 2, 12, 15의 3종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균주에 대해서 동정실험을 수행한 결과, NA 2는 Bacillus acidocaldarius로 동정되었고, NA 15는 Planoroccus sp.로 부분동정되었다. 이들 분리된 미생물을 가축분뇨처리제로 개발하기 위한 최적의 혼합 배양 조건을 구하기 위해 반응표면계획법으로 배지 조성과 pH와 같은 조작 변수들의 영향과 상호작용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적 배양 조건은 beef extract 4.59g/L, Peptone 8.73g/L, PH 6.3으로 결정되었다. 분리된 미생물들은 발효촉진 및 암모니아 탈취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중$.$고온성 미생물들로서 가축분뇨처리에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 report of 38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within the classes Bacilli and Deinococci isolated from various sources

  • Kang, Heeyoung;Kim, Haneul;Bae, Jin-Woo;Lee, Soon Dong;Kim, Wonyong;Kim, Myung Kyum;Cha, Chang-Jun;Yi, Hana;Im, Wan-Taek;Kim, Seung Bum;Seong, Chi Nam;Joh, Kiseo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76-190
    • /
    • 2019
  • A total of 38 bacterial strains within the classes Bacilli and Deinococci were isolated from various sources in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nimal intestine, urine, soil, tidal flat mud, and kimchi. In the sequence comparis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16S rRNA sequences, the 38 isolates were assigned to the classes Bacilli and Deinococci with sequence similarities more than 98.7%. Twenty-four strains and 13 strains were classified the order Bacillales and Lactobacillales in the class Bacilli, respectively. In the order Bacillales, there were nine species in the genus Bacillus, seven species in the genus Paenibacillus, and the remaining eight species in the genera Domibacillus, Halobacillus, Virgibacillus, Lysinibacillus, Paenisporosarcina, Planococcus, Savagea, and Staphylococcus. In the order Lactobacillales, there were four species in the genus Lactobacillus, three species in the genus Leuconostoc, three species in the genus Lactococcus, and the remaining three species in the genera Aerococcus, Enterococcus, and Streptococcus. One species was related to the genus Deinococcus of the order Deinococcales. Most of the isolated strains were Gram-stain-positive, but some were Gram-stain-variable or Gram-stain-negative. Cells were rod or cocci-shaped. Based on the results of 16S rRNA analysis, we report 38 strains as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to Korea, 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strains are described herein.

명태 (Gadus chalcogrammus)의 성장 단계별 질병 모니터링 (Disease monitoring of Alaska pollock (Gadus chalcogrammus) based on growth stages)

  • 김광일;변순규;강희웅;남명모;최 진;유해균;이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2-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명태 양식 기술 개발 과정 중 수산생물 병원체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육수 내 총 세균수 변화, 분포와 명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성장 단계별 명태의 병원체(세균, 기생충 및 바이러스) 조사 및 비정상 개체 발생에 대한 원인 구명을 수행하였다. 자어 단계에서 사육수의 평균 세균수는 $2.11{\times}10^3cfu/mL$로 나타났으며, 비브리오균이 52%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치어 및 미성어 단계에서 사육수의 세균수는 $3.43{\times}10^3cfu/mL$(슈도모나스균 90% 분포) 그리고 성어 단계에서는 $3.2{\times}10^2cfu/mL$(슈도모나스 52%)로 나타났다. 명태 사육수 세균총의 변화는 먹이생물의 종류, 공급 및 잔류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외관상 건강한 개체에서는 대량 폐사를 일으킬 수 있는 세균,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부 안구돌출, 턱 주변 조직 출혈을 보이는 비정상 개체에서 아가미 새변의 기포 형성, 각막 조직 및 맥락막 주변 조직 괴사가 관찰되었다. 특히, 병변 부위에서 검출된 세균(P. fluorescens, Vibrio sp., V. pelagius, Planococcus maritumus 그리고 Pseudoalteromonas sp.)이 사육수에도 동일하게 분포하였으며, 사육 과정 중 외상 발생 이후 2차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명태의 안정적인 양식 산업화를 위한 요소로 기초 질병 데이터 구축과 더불어 지속적인 질병관리가 필요하다.

고염에서 생장하는 젓갈 유래 Bacteria의 분리 및 고염에서의 생육 특성 (Isolation of Bacteria from Jeotgal Using High-salt-content Media and Their Growths in High-salt Condition)

  • 안두현;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4-300
    • /
    • 2011
  • 젓갈의 숙성에 미치는 bacteria의 역할 규명을 목표로 고염에서 생장하며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bacteria를 멸치젓과 새우젓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들의 고염에서의 생장을 검토하였다. NaCl이 15% 첨가된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bacteria를 분리한 경우, 멸치젓으로부터는 Bacillus 및 근연속이, 새우젓으로부터는 Staphylococcus 속이 우점으로 분리되었고, 멸치젓으로부터 분리된 Virgibacillus halodenitrificans와 새우젓으로부터 분리된 Halobacillus trueperi가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NaCl이 8%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낸 멸치젓 유래 bacteria는 Vb. halodenitrificans를 중심으로 한 Bacillus 근연 속으로 NaCl 농도 15%에서 생장하는 bacteria의 군집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NaCl이 8%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나타낸 새우젓 유래 bacteria는 NaCl 농도 15%에서 분리된 우점균 Staphylococcus, Salinicoccus, Salimicrobium 속이 아닌 Bacillus 속과 Planococcus, Salinivibrio 속으로 확인되어 새우젓의 우점종은 단백질 분해와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멸치젓의 우점종 Vb. halodenitrificans와 새우젓의 우점종 Staphylococcus equorum은 NaCl이 25% 첨가된 배지에서도 생장을 나타내어 젓갈 숙성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종균으로 이용될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단감수출단지 과원과 수출단감 병해충 조사 (A Survey on Diseases and Insect Pests in Sweet Persimmon Export Complexes and Fruit for Export in Korea)

  • 정영학;유은주;손대영;권진혁;이동운;이상명;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7-169
    • /
    • 2014
  • 단감 병해충의 관리와 원활한 수출 정보를 위하여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전남 순천, 경남 진주, 창원(동읍과 북면), 김해, 그리고 울산 울주지역의 수출과원과 비수출과원과 수확과에서 병해충을 조사하였다. 수출 단감과원에서 확인된 병은 모무늬낙엽병, 탄저병, 둥근무늬낙엽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이었고, 그 중 둥근무늬낙엽병의 피해가 높은 편이었다. 과일에서는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Colletotrichum acutatum 탄저병의 피해가 문제였다. 발견된 해충은 5목 20과 32속 33종이었고 점박이응애도 발생하였다. 그 중 애무늬고리장님 노린재와 식나무깍지벌레,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이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었고, 담배거세미나방, 차잎말이나방 등도 발생하고 있었다. 해충에 의한 피해는 매우 낮았다. 검역대상 해충인 복숭아명나방과 감꼭지나방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거나 문제가 되지 않았고, 감나무애응애, 온실가루깍지벌레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선과장과 수출과에서는 이들 검역대상 해충인 복숭아명나방, 감꼭지나방, 감나무애응애, 온실가루깍지벌레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깍지벌레와 점박이응애가 낮은 비율로 발견되었다. 병으로는 진주와 김해의 저장고 수확과에서 C. acutatum탄저병 이병과가 1개 과에서만 발견되었다.

한국산 꽃소금과 천일염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분석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Analysis of Korean Solar Salt and Flower of Salt)

  • 이혜미;이우경;진중현;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15-1124
    • /
    • 2013
  • 한국산 꽃소금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꽃소금 3종과 천일염 1종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10.54{\pm}0.10{\sim}13.82{\pm}0.12%$, 나머지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NaCl은 신의도산 꽃소금이 $78.81{\pm}0.28%$, 비금산 꽃소금이 $81.67{\pm}0.34%$, 도초산 꽃소금 $84.61{\pm}0.21%$, 도초산 천일염이 $80.82{\pm}0.17%$로 나타났다. 불용분, 사분은 각각 0.01~0.05%, 0.01~0.03%로 낮게 검출되었다. 미네랄 분석은 도초산 꽃소금에서 K과 Mg 함량이 2,975.23 mg/kg, 9,886.72 mg/kg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Ca은 도초산 소금 2종이 945.53 mg/kg, 942.43 mg/kg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중금속 As, Cd, Pb, Hg은 모두 규격 이하로 검출되었다. 소금결정을 관찰한 결과로 천일염과 꽃소금 모두 핵이 중복되어 겹으로 적층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크기는 비금산 꽃소금이 $0.067{\times}0.067mm$로 가장 작고 도초산 천일염이 $0.112{\times}0.124mm$로 꽃소금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소금의 색도는 꽃소금의 L값이 천일염에 비해 높아 밝게 확인되었다. 관능검사 결과로 짠맛은 NaCl 함량과 유사하며, 쓴맛은 K과 Mg 함량이 적은 도초산 꽃소금이 낮게 나타났다. 천일염에 비해 꽃소금의 단맛과 기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호염균 동정 결과 19종 모두 Firmicutes로 꽃소금에서 Marinibacillus, Paenibacillus, Bacillus 속이 12종으로 확인되며, 천일염은 Planococcus, Staphylococcus, Bacillus 속 3종으로 검출되었다. DGGE 실험 결과로 도초산 꽃소금에서 16개의 band와 도초산 천일염에서 15개의 band를 확인하였다. 동정 결과 도초산 꽃소금에서 Cupriavidus sp. ATHA3(14.43%), Cupriavidus sp. TSA5(10.41%), Maritimibacter sp. YCSD61-2(8.13%), uncultured bacteria(68%)로 확인되었고, 도초산 천일염에서는 Dunaliella salina(4.76%), Cupriavidus sp. ATHA3(15.80%), uncultured Mycoplasmataceae bacteria(51.72%), uncultured bacteria(27%)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