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ot Tube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18초

무인항공기용 서보형 받음각센서 개발 (Development of Servo Type Angle-of-Attack Sensor for UAV)

  • 박미현;김성수;유창경;최기영;박춘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11-51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null-seeking method를 사용하여 서보형 받음각 센서를 설계하고 그것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Null-seeking method는 측정부의 두 압력 홀에서 측정되는 압력 차이가 0이 되도록 회전한 측정부의 동체 기준선에 대한 회전각으로 받음각을 측정한다. 이 방법은 측정 전 범위에서 높은 정확도와 일정한 오차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류의 받음각 센서는 무인항공기에 적합하다. 이 논문에서 개발될 받음각 센서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서보형 받음각 센서를 설계 가공하였다. 그 후 받음각 센서에 탑재할 받음각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끝으로 MATLAB Simulink와 풍동시험을 통해 개발된 받음각 센서의 특성을 검증하였다.

평면 난류 오프셋 제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e Turbulent Offset Jet)

  • 유정열;강신형;채승기;좌성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57-366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3공피토우관 및 열선유속계를 사용하여 벽에 평행한 2차원 난류제트의 난류량들을 측정하였고, 스캐니 밸브를 이용하여 벽면아력분포를 측정함 으로써 재순환 영역을 포함한 전체유동장에서의 유동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잘 알려진 표준 k-.epsilon. 난류모형 및 유선곡률을 고려한 수정된 k-.epsilon. 난류모형을 이용하여 측정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터보 압축기 성능시험을 위한 계측기기 선정 (Instrumentation for Performance Test of Turbo Compressor)

  • 박태춘;강영석;양수석
    • 항공우주기술
    • /
    • 제7권2호
    • /
    • pp.46-52
    • /
    • 2008
  • 5MW급 발전용 가스터빈의 주요 구성품 중 압축기에서의 성능시험 및 해석을 위해 측정 파라미터와 그 파라미터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류를 선정하고자 한다. 축류압축기의 경우 각 단의 케이싱에서 정압 분포를 평균하여 계측하고, 내부 유동장에서 Kiel 온도관을 이용하여 전압 및 전온도 분포를 계측한다. 원심압축기의 경우 임펠러 출구의 허브면과 팁면에서의 정압 분포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므로 각 면에서 정압을 측정하여 평균하고, 디퓨저 내부와 디스월러 내부에서의 정압 분포를 계측하기 위해 한 피치에서 5개의 유선을 따라 10 곳에서 정압을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압축기 내 유동특성과 동익-정익간의 상호작용을 고찰하기 위해 5공 피토관을 이용하여 내부 상세유동을 계측한다.

  • PDF

고성능 2단 축류송풍기의 공력설계를 위한 수치해석 및 실험에 관한 연구 (A Numerical Method & Experiments for the Aerodynamic Design of High Performance 2-Stage Axial Flow Fans)

  • 조진수;한철희;조이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3권8호
    • /
    • pp.1048-1062
    • /
    • 1999
  • A numerical method and experiments for the aerodynamic design of high performance two-stage axial flow fans was carried out. A vortex ring element method used for the aerodynamic analysis of the propellers was extended to the fan-duct system. Fan Performance and velocity profiles at the fan inlet and outlet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for the validations of numerical method. Performance test was done based on KS B 6311(testing methods for turbo-fans and blowers). The velocity profile was obtained using a 5-hole pitot tube by the non-nulling method. The two stage axial flow fan configurations for the optimal operation conditions were set by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single rotating axial flow fan and the single stage axial flow fan. The single rotating axial flow fan showed relatively low efficiency due to the swirl velocities behind rotor exit which produced pressure losses. In contrast, the single stage and the two-stage axial flow fans showed performance improvements due to the swirl velocity reduction by the stator. The peak efficiency of the two stage axial flow fan was improved by 21% and 6%, compared to the single rotating axial flow fan and the single stage axial flow fan, respectively.

평판 위에 부착된 실린더 주위의 말굽와류 시스템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Horseshoe Vortex Systems Around Surface-Mounted Obstacles)

  • 양준모;유정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10호
    • /
    • pp.1979-1989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말굽와류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고찰하는 한편, 실린더의 기 하학적 형상이 말굽와류에 미치는 영향을 정성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먼저 경계층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에 원형 실린더를 설치하여, 말굽와 류에 의한 3차원 유동현상을 고찰하고, 또한 동일한 평판에 쐐기형상의 실린더를 설치 하여, 그 주위에서 발생하는 3차원 유동현상과 원형 실린더 주위에서 일어나는 3차원 유동현상과의 정성적인 비교를 통하여, 말굽와류에 의한 3차원 유동손실을 줄일 수 있 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이크로 초음속 제트유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cro-Supersonic Jet Flows)

  • 김종훈;방진영;이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774-779
    • /
    • 2008
  • 마이크로 초음속 제트유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노즐 출구직경이 440 ${\mu}m$인 음속노즐과 노즐 출구직경이 800 ${\mu}m$이고 노즐출구 마하수가 2.0인 Laval 노즐이 파이렉스 관을 이용 제작되어 실험에 사용되었다. 슐리렌 유동가시화와 유동장의 피토압력 분포가 측정되었다. 제트유동의 대표적인 특성인 유동장의 초음속 길이, 제트코어 길이, 속도장의 상사성 및 제트경계의 확산도가 관찰되었다. 실험결과는 보다 높은 레이놀즈수의 초음속 제트유동에 대한 과거 관찰결과와 비교분석 되었으며, 마이크로 제트유동의 전체적인 유동특성은 제트코어 길이와 제트경계 확산특성을 제외하고는 높은 레이놀즈수의 제트유동 특성과 정성적으로 유사함이 확인되었다.

충동형 터빈 캐스케이드의 깃 하중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ade Load Measurement of Partial-admission Turbine Cascade)

  • 임동화;정진만;이은석;김진한;최종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3-148
    • /
    • 2007
  • 액체 추진 로켓을 구동하는 충동형 터빈은 크기가 작고 가벼워야 하며 큰 출력을 발생시켜야 한다. 충동형 터빈은 초음속 조건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유동 특성이 매우 복잡하여 성능 예측은 주로 수치해석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해석결과를 실험으로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에 사용되는 주요 변수들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3차원 축류 터빈을 2차원 형상으로 모사하여 실험하였다. 먼저 노즐 출구에서의 마하수를 측정하였으며, 이론적인 노즐 추력식을 유도하여 터빈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깃하중을 계산하였고 측정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추력 계수를 구하고 이를 통해 터빈 출력을 예측하여 설계 요구 조건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대형 캐비테이션 터널 내 선박 모형의 3차원 선체 반류 계측을 위한 레이저 유속계 개발 (Development of LDV(Laser Doppler Velocimetry) for Measuring Three Dimensional Hull Wake of Ship Model in Large Cavitation Tunnel)

  • 백부근;안종우;설한신;박영하;김기섭;전호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515-521
    • /
    • 2017
  • Large Cavitation Tunnel (LCT) of KRISO enables us to conduct cavitation tests of the propeller attached to a ship model. As the ship model tests are done at rather high Reynolds number of 107~108, flow measurement system such as pitot tube cannot be employed because of structural safety problems in its system and difficulties in installing it within the test section. Thus, KRISO has developed new 3-D LDV system used in large test section of LCT. There are several difficulties in using 3-D LDV, which did not allow efficient operation of it. The first trouble was the calibration using the conventional pin hole. To make the focus with same laser-beam waists at the wanted position, the high spatial resolution CCD is utilized in the calibration procedure for 3-D LDV. The off-axis configuration provides two velocity components in the horizontal plane and on-axis configuration gives third velocity component in the vertical plane. The horizontal velocity components are also obtained in the coincidence mode, which prevents any misleading results in the off-axis configuration. The nominal wake of Aframax tanker model is measured by the developed 3-D LDV system. The measured hull wake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at obtained by CFD calculation.

초음속 제트에서의 유동 특성 및 소음 예측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upersonic Jet Noise and Its Prediction)

  • 임동화;고영성;최종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7-3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초음속 제트로부터 유발되는 소음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고, 기존의 소음예측식을 사용하여 비교해 봄으로서 예측식의 적용가능 범위를 살펴보았다. 실험을 위하여 제작된 초음속제트 발생장치의 출구마하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정체실의 온도, 압력과 함께 피토 튜브를 이용하였고, 결과를 쉐도우 그래프 가시화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제트소음의 스펙트럼을 관찰한 결과, 불완전 팽창의 제트 유동에서 발생하는 충격파 관련 소음인 광대역 소음과 스크리치 톤 소음의 경향이 나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음속 조건에서는 큰 난류 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난류 혼합 소음에 의하여 흐름방향으로 강한 방향성을 나타내었고, 초음속 조건에서는 충격파 관련 소음이 흐름의 상류 방향으로도 강하게 전파됨을 확인 하였다. 그리고 제트 엔진의 소음 예측 프로그램인 ARP876D 코드를 이용하여 실험에서 측정한 스펙트럼과 비교해 본 결과 아음속 영역에서보다는 초음속 영역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ANSI/AMCA 210 기준에 의한 대형 축류 송풍기의 성능시험 및 측정 불확도 평가 (An Estimation of Performance Test and Uncertainty of Measurement for a Large Axial-flow Fan Based on ANSI/AMCA 210 Standard)

  • 고희환;정철영;김경엽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4-29
    • /
    • 2014
  • In general, a large-capacity axial flow fan is used for industrial processes or ventilation in a social overhead capital infrastructu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axial-flow fan need a lot of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and operate 24 hours a day, 365 days a year. Since the large axial flow fan consumes several hundreds to thousands kW per hour, both manufacturer and consumer are struggling to select high efficiency products for saving energy and reducing operation cost. Therefore, the performance testing should be accurately conducted in experimental equipments. The performance estimation and uncertainty of measurement of the axial-flow fan gathered from the result from nozzle shaped testing equipments certified with ANSI/AMCA standard and duct shaped testing equipment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both facilities have maximum 17% differences in performance evaluation and uncertainty of measurement. As considering that the differences, it is doubt about the reliability of testing result. The test was repeated with the specific term during 12 months because it is important to fully reflect the real conditions and to decide the repeatability of data. The evaluation of duct type testing facilities was failed to get an uncertainty measure. Testing results were previously published. As a series of previous paper, axial fan (∅1690 mm) and duct type testing facilities were fabricated. The purpose of fabricating testing equipment was testing an uncertainty measurement under the controlled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