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thunbrgii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4초

대기오염(大氣汚染) 지역의 해송엽내(海松葉內) 수용성(水溶性) 황(黃), 불소(弗素), WAX,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 및 엽(葉) 생장(生長)의 변화와 생물지표성(生物指標性) (Contents of Sulfur, Fluorine, Wax and Chlorophyll in Needle Tissue and Needle Growth of Pinus thunbergii as Bioindicators of Air Pollution)

  • 김준선;김용환;이한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347-353
    • /
    • 1993
  • 여천공업단지(麗川工業團地)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이 해송(海松)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3개 지역에서 해송엽내(海松葉內) 오염물질(汚染物質), 엽록소(葉綠素) 및 wax함량과 침엽(針葉)의 생장량을 1991년 7월 초에서 10월 초까지 4주마다 조사하였다. 수용성(水溶性) 황(黃)과 불소(弗素)는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오염원(汚染源)에 가까운 지역일수록 높았으며 수용성(水溶性) 황(黃)은 7월 초에서 10월 초까지 큰 변동이 없었으나 불소(弗素)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대기오염(大氣汚染)이 경미한 지역에서는 대조지역(對照地域)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대기오염(大氣汚染)이 심한 지역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침엽(針葉)의 wax함량은 오염도(汚染度)가 높을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침엽(針葉)의 생장은 7월 초까지는 각 조사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오염지역내 해송(海松) 엽(葉)의 생장(生長)은 둔화되었다. 따라서 해송엽내(海松葉內) 수용성(水溶性) 황(黃) 및 불소함량(弗素含量)의 증가와 wax함량의 감소는 여천지역의 대기오염(大氣汚染)에 의한 것으로 생육중반 이후에는 대기오염(大氣汚染)에 대한 생물지표(生物指標)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의 감소는 오염(汚染)이 심한 지역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생물지표성(生物指標性)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침엽(針葉)의 왜소화(矮小化)는 장기간의 대기오염(大氣汚染)에 의한 영향으로 생육기 후반부에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에 침엽(針葉)의 길이만으로 대기오염(大氣汚染)을 파악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