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resinos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Red Pine(Pinus resinosa Ait.) 간벌지(間伐地)의 Biomass와 Net Primary Production(NPP)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in a Red Pine (Pinus resinosa Ait) Thinned Plantation)

  • 이수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57-262
    • /
    • 1983
  • 미국(美國) Wisconsin주(州) Plainfield에 있는 35년생(年生) Red pine(Pinus resinosa Ait.) 간벌조림지(間伐造林地)에서 Biomass와 Net Primary Prodnction (NPP)을 추정(推定)하였다. 지상부(地上部) Biomass는 ha당(當) 97.3ton이었고 이중 수간목부(樹幹木部) Biomass가 67.8%, 지조부(枝條部)가 15.4%, 엽(葉)이 8.4%, 수피(樹皮)가 6.1%를 구성하고 있었다. NPP는 $11.5Mg\;ha^{-1}yr^{-1}$로 추정되었고 그중 수간목부(樹幹木部)는 30.4%, 엽(葉)은 25.2%, 지조(枝條)는 36.5%, 수피(樹皮)가 2.6%이었다. Red pine의 다른 추정공식을 사용하였을때 Biomass에 차이가 있었다. 그차이는 주로 수간목부(樹幹木部)의 비중(比重)과 흉고형수(胸高形數)의 차이로 인한 것이었다.

  • PDF

염화물에 노출된 콘크리트 기공 내에 솔방울 추출물의 부식 방청 특성 (Corrosion Inhibition Properties of Conifer Cone (Pinus resinosa) Extract in Chloride Contaminated Concrete Pore Solutions)

  • 카식 수비아;박태준;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3-64
    • /
    • 2021
  • The corrosion inhibition properties of conifer cone (Pinus resinosa) extract were studied in synthetic concrete pore solutions (SCPS) with and without chloride environments by electrochemical methods. The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revealed that the conifer cone (CC) extract showed promising inhibition behavior by diminishing the corrosion rate of steel rebar both solutions i.e. with and without chloride. The extract of conifer cone hinders the corrosion reaction between steel rebar and aggressive ions. Further, it can be verified that the up to 1000mg.L-1 of CC extract can able to reduce the corrosion rate of steel rebar in chloride contaminated concrete.

  • PDF

국내산 소나무 식별을 위한 연륜해부학적 연구 (Dendro-anatomical Study for Identification of Pine at Korea)

  • 이광희;서연주;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9-116
    • /
    • 2022
  • 연륜연대기와 가도관 길이, 단열방사조직 크기를 이용하여 유사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는 국내산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외래산 소나무(Pinus resinosa, Pinus sylvestris)를 연륜해부학적 방법으로 식별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13곳의 국립공원에서 국내산 소나무 시료를 채취하였고 외래산 소나무 시료는 목재수입업체 2곳에서 확보하였다. 가도관 길이 측정은 조재와 만재를 구분하여 실시하였고, 단열방사조직 높이와 구성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외래산 소나무로 제작된 연륜연대기는 외국의 표준연륜연대기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아 벌채된 국가 및 지역, 정확한 벌채시기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가도관 길이와 단열방사조직의 높이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만 러시아 소나무의 가도관이 국내산 소나무들보다는 다소 긴 것으로 나타내었다. 향후 다수의 외래산 소나무 시편을 확보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정확한 결과가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루브라참나무림과 레시노사소나무림의 토양 질소 무기화에 있어서 개벌의 영향 (Clearcutting Effects on Soil Nitrogen Mineralization in Quercus rubra and Pinus resinosa Stands)

  • 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98-206
    • /
    • 1995
  • 이 연구는 루브라참나무림과 레시노사소나무림의 질소 무기화율이 개벌후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토양상층부 15cm에서의 질소 무기화율이 비닐주머니에 토양을 배양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1991년과 1992년 임목 생장 기간 동안(5월-10월) 조사되었다. 두 임목 생장 기간 동안 추정된 참나무림의 질소 무기화율은 개벌 처리구 67kg/ha, 무처리구 30kg/ha였고, 소나무림은 개벌 처리구 27kg/ha, 무처리구 13kg/ha였다. 총 질소 무기화율은 항상 참나무림이 소나무림보다 높았다. 배양전과 한달 배양후 토양으로부터 질산태 질소는 소나무림의 개벌 처리구에서 검출된 반면(두임목 생장 기간동안 평균 질산화율 : 3.3kg/ha), 두 임분의 무처리구와 참나무림의 개벌 처리구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들은 두 임분내 이용 가능한 질소량에 상당한 증가가 개벌후 발생하였으며, 낮은 질산화율은 이 임분들에 질소 보유를 위한 중요한 작용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Wisconsin의 Pinus resinosa 조림지(造林地) 생태계(生態系) 내(內)의 양료분포(養料分布) 및 순환(循環) (Distribution and Cycling of Elements in a Pinus resinosa Plantation-Ecosystem, Wisconsin)

  • ;이수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507-518
    • /
    • 1982
  • Typic Udipsamment 토양(土壤)에 생장하고 있는 red pine (Pinus radiata) 조림지의 biogeochemistry가 Wisconsin의 central sand plains에서 조사(調査)되었다. Biomass와 net primary production은 각각 106Mg/ha 및 110Mg/ha/yr이었다. 식생(植生) 내(內)의 양료 농도는 2-3년생(年生) 침엽(針葉)에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당년생(當年生) 침엽(針葉), 당년생(當年生) 초지(梢枝), 수피, 생지(生枝), 고사지(枯死枝), 수간생성물, 수간 순(順)이었다. 조사된 수체(樹體) 성분에 있어서 당년생(當年生) 초지(梢枝)를 제외하고는 양료의 농도가 상부 3분지 1 부위(部位)에서 가장 높았고, 하부(下部) 3분지 1 부위(部位)에서 가장 낮았다. 식위(植位) 내(內)의 전체 양료는 N($222kg\;ha^{-1}$), Ca(217), K(85), Mg(38), S(31), P 순(順)이었다. 생태계 내(內)의 토양은 가용(可溶) P.K, Ca, Mg, S의 60-80%를 함유하고 있었다. N과 S의 약간의 급원(給源)이 강수(降水)인 반면에 Ca, Mg, P, K의 대부분은 토양풍화(土壤風化)로서 공급되었다. 조사양료의 용탈량(溶脫量)은 7 kg ha/yr미만이지만 S의 경우는 12kg ha/yr 이었다. Throughfal에 의(依)해서 N, K, S는 대부분 임상(林床)으로 순환되지만 Ca, Mg, P의 대부분은 litterfall에 의(依)해 돌아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엽(葉)의 양분용탈 때문에 throughfall의 양료의 함량은 강수의 함량보다 많았다. 강수(降水) 내(內)의 ammonium량(量)은 세근(細根)에 위한 흡수(吸水)때문에 토양상부(土壤上部) 7.5cm내(內)에서 3 가지 요인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