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al region tumor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뇌종양 제거 후 원격부위에 발생한 뇌경막외혈종 - 증례보고 - (Remote Epidural Hematoma Following the Removal of Brain Tumors : Report of Three Cases)

  • 배광주;김일만;임만빈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366-370
    • /
    • 2001
  • Objective : The authors present three cases of brain tumors in which epidural hematomas(EDHs) were developed postoperatively in the remote areas from craniotomy sites. The preventive tactics as well as possible mechanisms of development of remote EDH are discussed. Material and Methods :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s of three patients revealed a left lateral ventricular mass located just aside of foramen Monro in a 27-year-old male, a large cystic mass in the temporal lobe in a 35-year-old male, and a partially calcified pineal mass in a 27-year-old male patient. The surgical removals of these tumors were performed without any noticeable events during surgery via left frontal transcortical transventricular approach for lateral ventricular tumor, left temporal craniotomy for cystic temporal tumor, and right occipital transtentorial approach for pineal tumor. Results : Postoperative EDHs remote from the sites of craniotomy were detected by the immediate postoperative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s. We obtained good outcomes without any morbidity in all three patients with emergent evacuation of the hematoma. The pathologic diagnoses were lateral ventricular ependymoastrocytoma, temporal craniopharyngioma and mixed germinoma of the pineal region. Conclusion : It is postulated that a sudden reduction of intracranial pressure(ICP) at the time of tumor removal may strip the dura from the inner table of the skull to cause EDH from the remote site of craniotomy. Gradual reduction of ICP with slow drainage of cerebrospinal fluid before tumor removal as well as lowering the head position of patient during surgery might be helpful for preventing this unusual complication.

  • PDF

송과선종의 방사선치료 성적 (Radiotherapy Results of Pineal Tumors)

  • 채규영;박우윤;최두호;정웅기;김일한;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77-182
    • /
    • 1988
  • 1979년부터 1985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를 받은 송과선종 환자 23명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종양에 대한 조직학적 진단은 1명에서만 이루어졌고, 나머지 22명의 환자에 있어서의 진단은 임상적 소견 및 방사선학적 경사결과에 의거하였다. 방사선조사는 1명에 있어서는 종양부위에 국한하였고, 14명에 있어서는 전 뇌부위, 8명에 있어서는 전뇌-척수부위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전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1.5\%$이었고, 전 뇌부위 치료 환자의 5년 생존율은$69.3\%$, 전뇌-척수부 위 치료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3.3\%$이었다. 원발 부위 및 원격부위에서의 재발이 각각 한명씩 확인되었으며 척수부위에서의 치료실패는 확인된 경우가 없었다. 이상의 분석결과 및 기왕의 여러 보고를 바탕으로 하여 송과선종의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모든 환자에서 전척수 조사를 시행하는 것은 타당치 않으며 전척수 조사는 뇌척수액내에서 종양세포가 발견된 경우나 또는 종양의 제거나 생검을 위하여 외과적 시술이 시행되었던 경우 등에 국한되어야 할 것으로 결론지었다

  • PDF

송과체세포종 (Pineocytoma)

  • 문충배;최병연;조수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53-160
    • /
    • 1984
  • 본 교실에서는 송과체부위종양 중에서도 매우 드문 송과체세포증환자를, 그 임상적 양상, 종양markers 및 방사선학적 조사 등을 종합분석하여 그 종양의 조직학적 성질을 미리 추정진단하므로써 최선의 치료방침을 세워 치험하고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Treatment of 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s (PNETs) in Children

  • Hwang, Jun-Mo;Kim, Dong-Won;Lee, Sung-Yeal;Kim, Il-Man;Lee, Chang-Young;Yim, Man-Bin;Son, Eun-I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3호
    • /
    • pp.193-196
    • /
    • 2005
  • Objective: Strategies for managing 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s(PNETs) in children include surgical resection, craniospinal irradiation and chemotherapy. This study i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efficacy of various methods of treatment and to describe its optimal management. Methods: We have reviewed all medical records and pathology slides of six children(four males and two females) with supratentorial PNET from November, 1987 to May, 2003. The extent of resection was confirmed b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studies. Results: The patients were aged 1 to 13 years and treated postoperatively with/without adjuvant therapy. Tumor location included was four cortical, one gangliobasal, and one pineal region. The presenting symptoms and signs consisted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and focal neurological deficits such as seizure and hemiparesis. The treatment consisted of surgical resection alone in one patie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one patient, postoperative chemotherapy in one,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with chemotherapy in three. Five patients lived more than 12 months after diagnosis and one patient among them has been living more than 5 years after diagnosis. Conclusion: We can improve the survival and prognosis of supratentorial PNET patients by radical gross total resection of tumor followed by craniospinal irradiation and aggressive chemotherapy. First of all, gross total resection of tumor is the most important among many factors.

후두개와 유표피낭종 : 10례 분석 (Epidermoid Tumor of Posterior Fossa : Analysis of 10 Cases)

  • 임효주;안재성;권양;이정교;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744-747
    • /
    • 200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epidermoid tumor of posterior fossa and to assess the surgical outcome. Methods : We reviewed the clinicoradiological records of 10 epidermoid tumor of posterior fossa, treated surgically at our hospital between 1991 and 1996. Results : The mean age of onset was 36 years old and mean duration of symptom was 5.2 years. Six were men and four were women. The location of tumors were cerebellopontine angle(CPA) 5 cases, cerebellum(Cbll)& 4th ventricle 3 cases, foramen magnum 1 case, and pineal region extended to Cbll and 4th ventricle 1 case. Common clinical features were trigeminal neuralgia in 3 cases, cerebellar signs 2 case, headache 2 cases, hemifacial spasm with deafness 1 case, cbll signs and multiple cranial nerve dysfunctions 1 case. One CPA epidermoid had no clinical symptom and sign associated with the tumor. The surgical approaches were suboccipital approach in 9 cases and one transcallosal approach to the tumor of pineal region. The extent of surgical removal was gross total resection in 5 cases and near total or subtotal resection in 5. Two patients with CPA tumor were complicated with facial paresis. One patient with tumor located in cerebellum extended into cisterna magna had postoperative vocal cord paresis. All complicated cases had severe adhesion of tumor capsule with brainstem or cranial nerve. The mean duration of follow up was 26 months. The overall outcome was improvement of symptoms and signs in 6 cases and stationary 4 cases. During follow up, imaging study was done in 7 patients and none of them had finding of tumor recurrence.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recurrence of tumor is rare in both total and subtotal resected cases, but long-term follow-up is required. Aggressive removal of tumor capsule that adhesed to brianstem or cranial nerve is avoided for preventing severe postoperative complication.

  • PDF

송과선 및 이소성 송과선 생식세포종의 감마 나이프 수술 후 재발 양상 (Failure Pattern of Pineal and Ectopic Pineal Germ Cell Tumor after Gamma Knife Radiosurgery)

  • 조흥래;손승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92-100
    • /
    • 200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 생식 세포종 환자들의 방사선치료 시 가장 적절한 조사 영역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부터 1998년까지 뇌 생식세포종으로 진단되거나 또는 추정되어 감마 나이프를 시행 받은 환자 19 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송과선 9예, 안상(suprasellar) 1예, 그 외 2군데 이상 다발성 병소가 9예였다. 조직이 확인이 된 예는 7예이었고 배아종(germ ceil tumor)이 5명, 내배엽동종(endodermal sinus tumor)이 2명이었다. 종양의 부피는 2.4 cm$^{3}$부터 74 cm$^{3}$ 까지 이었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치료는 50% 등선량 곡선을 중심으로 10 Gy부터 20 Gy에 걸쳐 조사되었다. 추적 기간은 10개월에서부터 54개월까지였다. 결과 : 총 19명 중 14명(74%)에서 재발을 하였다. 완전 관해와 부분 관해는 각각 2명(11%), 10명(53%)이었다. 무반응은 7명(36%)이었다. 원발 병소가 있었던 자리에서 재발한 경우가 2예, 치료 조사영역을 벗어났으나 원발 병소와 연결되어서 그 주위로 재발한 경우가 6예 이었다. 원발 병소와 떨어져서 뇌실 재발이 된 경우 3예, 척수 전이가 된 경우가 4예 이었다. 종양의 부피가 20 cm$^{3}$ 이하인 경우는 8예이었으며 이중 2예는 치료 조사영역 내에서만 재발한 경우, 4예는 원발 병소와 연이어져서 치료 부위 주위로 재발한 경우, 1예는 척수 전이된 경우이었다. 종양의 부피가 20 cm$^{3}$ 보다 큰 경우는 6예 이었으며 그 중 원발 병소와 연이어져서 치료 부위 주위에 재발한 경우 1예, 원발 병소와 떨어져서 뇌실 전이가 된 경우가 2예, 척수 전이를 일으킨 경우가 3예였다. 재발을 하지 않은 5예는 종양의 부피가 20 cm$^{3}$ 이하인 경우이고 모두 단일 병소이며 종양기표가 모두 정상이었다. 척수 전이는 4예(21%)에서 발생하였으며 모두 뇌실 침범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였다. 총 9명의 다발성 병소 중 국소 재발만을 한 경우는 3경우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치료 조사영역을 벗어나 원발 병소와 떨어져서 재발하였다. 결론 : 감마 나이프 치료가 뇌 생식세포종에 대한 치료로서는 부적절한 치료이며 이것은 감마 나이프의 특성인 작은 치료 용적과 조사 선량의 부적절함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뇌 생식 세포종에서 병소 부위 만을 치료하는 경은 종양의 부피와 다발성 병소의 뇌실 침범 유무가 치료 성공의 열쇠이다. 20 cm$^{3}$ 이하, 단일 병소, 뇌실 침범이 혀는 경우, 정상적인 종양지표, 등이 가장 이상적인 적응증이 될 수 있다. 다발성 병소에서 뇌실 침범이나 뇌실 병소가 있을 경우는 예방적 뇌 척수 조사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병소의 크기가 cm$^{3}$ 보다 클 경우 다발성 병소인 경우, 종양지표의 증가가 있는 경우에는 확정적인 제안을 하기는 어렵지만 전 뇌실 조사 또는 부분방사선 조사가 시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경우가 선행 화학 요법과 함께 치료할 수 있는 대상이며,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두개내 배아종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 예비적 결과 (Efficacy of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or the Histology-confirmed Intracranial Germinoma - Preliminary Report)

  • 노영주;김학재;허대석;신희영;김일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93-99
    • /
    • 2002
  • 목적 : 두개내 배아종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도 완치율이 높은 종양이나 방사선치료로 인한 부작용의 감소를 위해 현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를 하고 있으며 이 환자들의 치료 성적과 부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에서 2001년까지 치료를 받은 두개내 배아종으로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2명은 BEP (bleomycin, VP-16, cisplatin) 항암치료, 5명은 9921A (cisplatin, cyclophosphamide, VP-16, vincristine) 항암치료, 1명은 EP (VP-16, 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았고 5명은 두개척수조사, 1명은 두개방사선조사, 12명은 종양 부위에만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원발 종양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39.6에서 54 Gy였다. 결과 : 남자는 16명, 여자는 2명이었고 중간 나이는 16세였다. 자기공명영상 상 12명은 송과체에, 각각 1명에서 안상, 시상, 대뇌기저핵에 원발성 종괴가 있었고 3명에서 다발성 종괴가 있었다. 6명은 뇌실 내 전이 소견이 보였고 3명은 뇌척추액검사 상 종양 세포가 관찰되었고 2명에서는 척수 자기공명영상에서 전이 소견이 있었다. 종양지표검사 상 1명에서 $\beta-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수치가 44 mlU/mL로 상승되어 있었다. 항암치료 후 5명은 완전 관해, 12명은 부분 관해를 보였고, 1명은 반응이 없었다. 현재 중앙 추적 기간 20개월로 17명은 무병 상태로 관찰되고 있고 1명은 bleomycin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폐의 부작용으로 사망하였다. 사망한 환자를 제외한 다른 환자들은 방사선치료 후 모두 완전 관해 상태이다. 6명에서 백혈구 감소로 인한 감염이 발생하였으며 $3\~4$도의 혈액학적 부작용이 11명에서 발생하였다. 방사선조사 중 두개척수조사를 받은 5명의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환자에서는 2도 이상의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서울대학교병원에서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는 기존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높은 관해율을 보이고 있고 항암치료로 인한 치료 중이나 치료 후의 부작용의 정도와 빈도는 다른 보고와 비슷하였다. 방사선이나 항암치료로 인한 만성 부작용에 대해서는 좀더 관찰이 필요하며 이 결과가 나온 후에 두개내 배아종에서 가장 적절한 치료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숱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