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needle gall midg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9초

솔잎혹파리가 소나무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I) - 충영형성률(虫癭形成率)의 변동(變動) -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on the Growth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I) - Changes in Gall Formation Rate -)

  • 박기남;현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0-26
    • /
    • 1983
  • 솔잎혹파리로 인(因)한 소나무의 충루형성율변동양상(蟲瘻形成率變動樣相)을 1977년(年)부터 1982년(年)까지 6개년간(個年間) 충청남도(忠淸南道) 서해안(西海岸)을 위시(爲始)하여 전국(全國)에서 조사(調査)하였다. 1) 지역별(地域別)로 충루율(蟲瘻率)의 증가속도(增加速度)를 양세대간(兩世代間)의 충루율(忠瘻率)의 회귀방정식(回歸方程式)으로 비교(比較)한 바 솔잎혹파리밀도(密度)가 증가중(增加中)에 있는 선단지(先端地)에서는 북향임지(北向林地) ; Y=11.2+1.15X (r=0.833) 남향임지(南向林地) ; Y=14.3+0.82X (r=0.739)로 증가(增加)하고 있었으며 후방지역(後方地域)에서는 북향임지(北向林地) ; Y=7.3+0.46X (r=0.478), 남향임지(南向林地) ; Y=11.4+0.19X (r=0.086)로 밀도(密度)가 감소(減少)되고 있었다. 2) 솔잎혹파리는 새로운 지역(地域)으로 침입(侵入)하였을 때 약(約) 6세대(世代) 동안 충루율(蟲瘻率)이 증가(增加)하고 그후 급격(急激)하게 감소(減少)하는 양상(樣相)을 보이며 이같은 충루율(蟲瘻率)의 변동과정(變動科程)은 약(約) 12세대(世代)에 걸쳐 일어난다.

  • PDF

강원도(江原道) 배양군(裴陽郡) 소나무림 내의 딱정벌레 상(相) - 솔잎혹파리의 피해(被害)와 관련(關連)하여 - (Ground Beetle Fauna in Pinus densiflora Forests in Yangyang-gun, Kangwon Province,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Outbreaks of the Pine Needl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 ;김종국;이찬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632-642
    • /
    • 2001
  • 강원도 양양군에서 소나무 단순림 5개소(個所)와 침엽수(針葉樹)와 관엽수(關葉樹)가 혼효(混淆)되어 있는 천연림(天然林) 내(內)의 지표동물, 특히 딱정벌레(Carabidae)를 대상으로 조사, 비교하였다. 소나무림 내에 서식하는 딱정벌레상(相)은 장소별 차이가 적게 나타났으며 토양동물군집(土讓動物群集)의 생물다양도(生物多樣度)도 낮았다. 딱정벌레 가운데 Synuchus 속(屬)의 종개체수(種個體數)는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의 피해솔(被害率)이 높은 장소 일 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 나타났으며, 이 속(屬)에 속하는 종류(種類)는 솔잎혹파리를 섭식하는 주요한 보식자(補食者)로 파악되었다. 또한 침 활엽수가 혼효된 천연림(天然林)에 비하여 소나무림에는 상위(上位) 분류군(分類群)에 속하는 산림동물의 종수(種數) 및 딱정벌레과(科)의 속수(屬數) 종수(種數)가 모두 적었고, 특히 비상능력(飛翔能力)이 없는 대형 딱정벌레류의 대부분은 천연림(天然林)에서만 채집되었다. 따라서 해발고(海拔高)가 낮은 지역에 조성된 소나무림에서는 이전(以前)에 산림파괴(山林破壞)로 손실된 많은 종(種)이 아직도 회부(回復)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기생봉사육용(寄生蜂飼育用) 솔잎혹파리 유충채집(幼蟲採集)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Collection Method of Arboreal Parasite Larvae for the Biological Control against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정상배;김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334-341
    • /
    • 1997
  • 솔잎혹파리 유충(幼蟲)은 대부분(大部分) 강우시(降雨時)에 낙하(落下)하는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이용(利用), 추기(秋期)의 자연낙하기(自然落下期) 동안 피해임지내(被害林地內)의 수관상부(樹冠上部)에 분수장치(噴水裝置)를 설치(設置)하고 강수량별(降水量別), 강수시기별(降水時期別) 및 강수시각별(降水時刻別)로 인공강수(人工降水)를 실시(實施)하여 인공강수(人工降水)가 솔잎혹파리 유충낙하(幼蟲落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분석검토(分析檢討),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새로운 천적사육용(天敵飼育用) 솔잎혹파리 유충채집법(幼蟲採集法)을 개발(開發)코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솔잎혹파리 천적사육용(天敵飼育用) 유충채집법(幼蟲採集法)은 매우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유충채집(幼蟲採集)에 필요(必要)한 적정강수량(適正降水量)은 5.3-9.4mm, 이때에 소요(所要)된 살수량(撒水量) 및 살수시간(撒水時間)은 각각(各各) $8,000-16,000{\ell}$와 180-360분(分) 이었다. 2.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효과적(效果的)인 유충채집시기(幼蟲採集時期)는 중부지방(中部地方) 소나무림(林)의 경우 11월(月) 초순(初旬)부터 중순(中旬)까지 약(約) 20일간(日間)이며 이 기간(期間)에 낙하(落下)한 유충수(幼蟲數)는 전체(全體) 낙하수(落下數)의 93.4%였다. 3. 하루중에 있어서의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낙하(幼蟲落下)는 강수시각(降水時刻)에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4.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幼蟲)의 채집시기별(採集時期別) 천적기생율(天敵寄生率)은 11월(月)의 것이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며 12월(月) 채집분(採集分)은 다소 떨어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 유충채집적지(幼蟲採集跡地)의 1년후(年後)의 밀도변동(密度變動)은 채집전(採集前)과 비교(比較)하여 약(約) 34%의 밀도감소효과(密度減少效果)가 있었다. 6.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채집방법(幼蟲採集方法)은 현행방법(現行方法)인 충영채집법(蟲癭採集法)에 비(比)하여 약(約) 14-50%의 채집비용(採集費用)(경제적(經濟的)) 절감효과(節減效果)가 있었다.

  • PDF

솔잎혹파리 피해림지(被害林地)에서의 고사목(枯死木)과 생존목(生存木)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Dead and Live Trees infested by Pine Needle Gall Midge, Thecondiplosis japonensis (Diptera : Cecidomyiidae))

  • 정영진;박영석;김철수;전태수;이범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56-259
    • /
    • 2000
  • 솔잎혹파리 피해 극심지인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인구리의 소나무 임지에서 고사목과 생존목을 대상으로 흉고직경, 수고, 지하고, 수관고, 수관폭, 수관상태 등의 임목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으며 판별분석법을 이용하여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고사목과 생존목간에 흉고직경 및 수고는 차이가 없었으나 수관고는 생존목에서 395.88cm로 고사목의 347.25cm 보다 컸으며, 수관상태 역시 단목의 피해위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관폭은 고사목에서는 평균 121.04cm인데 비해 생존목은 182.44cm로서 생존목이 컸으며, 수관단면적과 수관부피는 생존목이 각각 $2.82m^2$, $4.45m^2$, 고사목은 $1.30m^2$, $1.78m^2$로 생존목이 2배 이상 컸다. 생존목과 고사목의 단목 특성을 이용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관단면적, 지하고에 대한 수관고 비율, 수관상태, 수관단면적에 대한 수관부피의 비율, 수관폭에 대한 수관고의 비율 등이 중요인자로 나타났으며, 판별분석 모델의 예측효율은 86.7%였다.

  • PDF

솔잎혹파리 확산지역에서 솔잎혹파리와 기생봉의 상호작용 (Interactions between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Diptera: Cecidomyiidae), and its Parasitoids in Newly Invaded Areas)

  • 박영석;정여진;전태수;이범영;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01-307
    • /
    • 2001
  • 솔잎혹파리가 새로운 지역에 침입하여 극심한 피해를 일으킨 후 회복하는 과정에서 솔잎혹파리와 천적 기생봉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솔잎혹파리 확산 선단지 26개 지점에서 1975년부터 1997년까지 조사된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 기생봉 밀도 및 기생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솔잎혹파리 침입초기인 1975년의 충영형성율은 평균 34.8% 이었으나 1980년 이후 크게 감소하여 밀도가 안정화되었다. 기생봉의 기생율은 침입초기에는 1.9%로서 낮았으나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기생율이 증가하여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가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1990년대에는 12%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충영형성율과 기생봉 미도와의 관계는 초기에는 서로 상관성이 매우 낮았으나 솔잎혹파리의 침입후 약 10년 이후에는 충영형성율 증가에 따라 기생봉의 밀도도 점근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충영형성율에 따른 기생율도 초기에는 명확한 경향성이 없었지만 솔잎혹파리 침입 10년 후에는 보다 명확한 밀도역의존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솔잎혹파리와 기생봉의 상호작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침입 후 약 10년경부터 기주-기생자간의 전형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며, 기생봉의 밀도조절 능력은 솔잎혹파리 피해가 많은 발생초기에는 미약하지만 솔잎혹파리 밀도가 낮은 피해회복지역에서는 높은 밀도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PDF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품종(品種) 육성(育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2.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Pinus thunbergii의 침엽내(針葉內) monoterpene의 계절적변화(季節的變化) (Breeding of Varieties of Pines Resistant to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I) -Seasonal Variation of Needle Monoterpene Composition in Resistant Pinus thunbergii.-)

  • 김정석;홍성호;류장발;최철;김종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0
    • /
    • 1976
  •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Pinus thunbergii의 선발목(選拔木) 7~15개체(個體)와 피해목(被害木) 8~15개체(個體)에 대(對)하여 침엽내(針葉內) monoterpenes 조성(組成)을 1월(月)과 6월(月)에 각각(各各) 조사(調査)하고, 그리고 솔잎혹파리의 산란(産卵) 선택성(選擇性)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월중(月中)에 선발목(選拔木)이 증가(增加)하는 성분(成分)은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과 terpinolene이고, 감소(減少)하는 성분(成分)은 ${\alpha}$-pinene, camphene과 ${\beta}$-pinene이다. 그리고 6월(月)에 선발목(選拔木)이 증가(增加)하는 성분은 ${\alpha}$-pinene, camphene, limonene, ${\beta}$-phellandrene과 terpinolene이고, 감소(減少)하는 성분(成分)은 ${\beta}$-pinene과 myrcene이다. 2. 6월(月)에 선발목(選拔木)이 피해목(被害木)보다 limonene은 6.8%가 증가(增加)하고, ${\beta}$-pinene은 9.2%가 감소(減少)한다. 3. 선발목(選拔木)에도 피해목(被害木)에서와 같이 상당(相當)한 수(數)의 산란(産卵)을 하나 충영형성율(蟲癭形成率)은 대단(大端)히 저하(低下)한다. 이상(以上)을 요약(要約) 결론(結論)하면 본(本) 연구(硏究)로 Pinus thunbergii 침엽내(針葉內)의 monoterpene 중(中) limonene과 ${\beta}$-pinene의 양성분(兩成分)은 계절(季節)에 관계(關係)없이 내충성(耐蟲性) 검정(檢定)에 유효(有效)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분무장치(噴霧裝置)를 이용(利用)한 솔잎혹파리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Use of Sprinkler System for Control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정상배;김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11-321
    • /
    • 1994
  • 본(本) 연구(硏究)는 춘기(春期)에 솔잎혹파리 성충(成蟲)이 우화(羽化)하여 지상(地上)에서 교미후(交尾後) 소나무 신엽(新葉)에, 산란(産卵)하는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이용(利用), 성충우화기(成蟲羽化期)에 임분내(林分內) 또는 수관상부(樹冠上部)에 분무장치(噴霧裝置)를 설치(設置)하여 우화억제(羽化抑制)와 교미(交尾) 및 산란활동(産卵活動)을 교란(攪亂)시키므로서 농약사용(農藥使用)없이 솔잎혹파리 피해(被害)를 방지(防止)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실시(實施)되었으며 요약(要約)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솔잎혹파리 성충우화기간(成蟲羽化期間)에 있어서의 임지내(林地內) 주간(晝間) 분무처리(噴霧處理)는 토중월동유충(土中越冬幼蟲)의 밀도변동(密度變動)에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다. 2. 분무처리(噴霧處理)는 총(總) 우화기간(羽化期間) 및 우화(羽化) 개체수(個體數)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우화초기(羽化初期)에는 지연(遲延), 후기(後期)에는 촉진(促進)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으며 50% 우화일(羽化日)까지는 약(約) 7일간(日間)의 시차(時差)가 있었다. 3. 지상분무처리(地上噴霧處理)는 충영형성율(形成率) 감소(減少)에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으나 방제가(防除價) 45%로서 기대치(期待値)(85% 이상(以上)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며 분무(噴霧)의 엽면처리(葉面處理)는 평균(平均) 충영형성율(形成率) 2.6%로서 무처리구(無處理區)의 38.4%에 비교(比較)하여 높은 감소효과(減少效果)가 있었고 방제가(防除價)는 93.2%에 달(達)하였다. 4. 분무처리지(噴霧處理地)의 충영내(內) 좌충수(左蟲數) 조사(調査) 결과(結果), 지상처리(地上處理)는 좌충수(左蟲數) 감소(減少)에 전혀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으나 엽면처리(葉面處理)에서는 충영당(當) 평균(平均) 좌충수(左蟲數) 2.3마리로서 대조구(對照區)의 4.2마리에 비(比)하여 약(約) 45%의 감소효과(減少效果)가 있었다. 5. 분무처리(噴霧處理)는 솔잎혹파리 피해목(被害木)에 대(對)하여 15-18%의 신초생장(新梢生長) 증가(增加) 효과(效果)를 나타냈다. 6. 분무처리(噴霧處理)의 흡즙성(吸汁性) 해충(害蟲)에 대(對)한 밀도감소(密度減少) 효과(效果)는 지상처리(地上處理)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엽면처리(葉面處理)에서는 현저(顯著)한 밀도감소(密度減少)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

소나무와 잣나무잎 정유성분의 생체학적 차이 (Biogenetic Differences in Essential Oil Constituents from the Leave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송홍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49-53
    • /
    • 1995
  • The terpenoids are one of the secondary metabolities in Pinus species and functioned the protection them from insects or/and fungus etc. Since Pinus koraiensis has not any damage by Pine needle gall midge but Pinus densiflora has great injury by them in South Korea. It may great helf to find these reasons to analize their monoterpenenoids and to compare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ir amounts. Terpenoids were analized by GC, GC/MS. Some biogenetic analysis of terpenoids also was elucidated. The seasonal variation of terpenoid was distinguished at March and August and/or September. Most of major component of monoterpenes were increased or decreased in these periods in Pinus koraiensis. Especially 3-carene wa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the period of physiological activity and the period of domain. The effect of infection by Pine needle gall midge was significant in Pinus densiflora for amount of monoterpene during the period of infection. The components of p-menthane series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was recognized a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the experiment. Biogenetic cooccurrance of pmenthane series also was recognized between 3-carene and terpinolene in Pinus koraiensis.

  • PDF

솔잎혹파리가 소나무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III) -직경생장저해(直徑生長沮害)-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on the Growth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III) -Radial Growth Impact-)

  • 박기남;현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48-53
    • /
    • 1984
  • 과거(過去)에 솔잎혹파리 피해(被害)를 받은 바 있는 충청남도(忠淸南道) 서천군(舒川郡) 비인(庇仁)과 피해(被害)를 받지 않은 충청남도(忠淸南道) 홍성군(洪城郡) 장곡(長谷) 자생(自生)하고 있는 13년생내외(年生內外) 소나무의 연륜(年輪)을 Duff와 Nolan(1953)의 방법(方法)으로 비교(比較)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전(健全)한 소나무연륜(年輪)의 사선계열(斜線系列)에서 하나의 생장(生長) Pattern이 발견(發見)된다. 그러나 수선계열(垂線系列)을 위시(爲始)한 각(各) 계열(系列)에서 나무가 성장(成長)함에 따라 연륜폭(年輪幅)이 점차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도 볼 수 있었다. 2) 솔잎혹파리로 인(因)한 연륜생장저해(年輪生長沮害)는 수간기부(樹幹基部)의 수평선계열(水平線系列)에서는 발견(發見)되지 않았으나 기타계열(其他系列)에서는 모두 쉽게 식별(識別)해낼 수 있었다. 3) 경미(輕微)한 피해(被害)를 받았을 때나 생장저해(生長沮害)가 발생(發生)하는 초년도(初年度)를 판단(判斷)하기 위하여는 사선계열(斜線系列)이 가장 유용(有用)할 것으로 고찰(考察)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