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cosatellit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Development of HAUSAT-1 Picosatellite Communication Subsystem as a Test Bed for Small Satellite Technology

  • Moon, Byoung-Young;Kim, Young-Hyun;Chang, Young-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6-18
    • /
    • 2004
  • This paper addresses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the HAUSAT-l (Hankuk Aviation University SA'Tellite-D communication subsystem, which is a next generation picosatellite, developed by SSRL (Space System Research Lab.) of Hankuk Aviation University. The communication subsystem generally consumes the majority of power and volume for picosatellites, and thus its design is critical to the overall satellite and mission plans. The HAUSAT-l designs are implemented by using the 145.84 MHz for uplink and 435.84 MHz for downlink frequency bands. The simulation and test results of the homemade radio and the TNC (Terminal Node Controller) integrated on the HAUSAT - I , a picosatellite scheduled to launch on September 2004 by Russian launch vehicle "Dnepr", are presented for EM, QM and FM, respectively.

저비용/저전력의 초소형위성 전력계의 개발 (Development of Low-Cost and Low-Power Picosatellite Electrical Power Subsystem)

  • 박제홍;김영현;문병영;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5-116
    • /
    • 2004
  • 초소형위성의 설계는 무게, 체적, 전력 및 표면적 등의 제한조건으로 인하여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임무기간 동안 위성의 각 모듈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는 효율적인 저가의 피코위성 HAUSAT-1 전력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전지판, 배터리, 전력조절 및 분배유닛의 설계 및 해석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설계된 시스템의 개발이 실제 하드웨어로 구현이 가능하도록 개발비용과 성능을 고려한 부품의 선정, 제작 및 시험결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운영 모드별 에너지 평형 해석 (Energy Balance Analysis) 을 통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보여주고, 전력계의 가능 및 환경시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전력시스템 설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초소형위성용 단일보드 탑재컴퓨터의 개발 (Development of Single Board Computer (SBC) for Nano/Pico Small Satellites)

  • 김영현;문병영;이보라;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01-110
    • /
    • 2004
  • 2004년 9월 러시아 발사체 "디네플"에 의해 발사 예정인 초소형위성 HAUSAT-1의 비행 모델 개발이 완료되어 초소형위성 전개기 P-POD (Poly Picosatellite Orbital Deployer) 에 장착하기 위해 미국으로 이송할 예정이다. HAUSAT-1 위성개발을 통하여 설계, 제작 및 시험을 한 단일보드 탑재컴퓨터는 다른 초소형위성의 탑재컴퓨터와는 다른 고성능의 특성을 갖고 있다. 다기능의 컨트롤러와 SPI 와 1-Wire와 같은 최근의 접속기술을 사용하여 하니스의 단순화와 시스템의 크기 및 질량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우주방사환경에 의한 장애 발생에 대처하도록 장애복구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HAUSAT-1의 비행 모델용 탑재컴퓨터는 현재 모든 가능시험과 환경시험을 마친 상태이며, 본 논문에서는 이들 성능/기능시험 결과와 랜덤진동시험 및 열진공시험 결과를 논의한다.

초소형위성 HAUSAT-1의 기계시스템 설계 및 개발 (Mechanical System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HAUSAT-1 Picosatellite)

  • 황기룡;민명일;문병영;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03-113
    • /
    • 2004
  • 위성은 조립 및 시험 완료 후 운반 및 발사 순간부터 임무 궤도로 진입할 때까지 발사체에 의한 정하중, 동하중 및 충격하중을 겪게 되며, 임무궤도에서 열진공, 복사 및 미세중력 환경하에 놓이게 되어 위성의 설계, 제작, 조립 및 시험 시 이들 발사환경과 우주환경을 고려하여 개발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HAUSAT-1 피코위성의 구조 열해석과 설계 결과를 논의하고, 발사 과정과 우주에서 겪게 되는 환경을 모사한 발사환경 및 우주환경시험의 결과를 논의한다. HAUSAT-1 위성의 기계시스템은 인증 수준의 진동시험과 열진공시험 후에도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 Conceptual Design of HAUSAT-1(CubeSat) Satellite

  • Kim, Joon-Tae;Kim, Young-Suk;Seo, Seung-Won;Kim, Young-Hyun;Chang, Young-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3권1호
    • /
    • pp.61-73
    • /
    • 2002
  • This paper addresses the conceptual design results of the HAUSAT-1 (Hankuk Aviation University SATellite-1), developed by Space System Research Lab. of Hankuk Aviation Univ., which is a new generation picosatellite. This project has been funded by Korean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space core technology. This is the first attempt at the level of university in Korea to develop the satellite weighing less than 1kg and accelerates opportunities with low construction, low launch cost space experiment platforms. The purpose of the HAUSAT-1 project is to offer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great opportunitie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design process of satellite development as a team member. Its mission objectives are to track its position by the GPS receiver system, to deploy the thin film solar cell panel to generate extra power, and to measure plasma density and temperature with the plasma sensor. The HAUSAT-1 will orbit at the altitude of 650 km with 65 degree inclination angle with 12 months of design mission life. It is planned to be launched on November 2003 by Russian launch vehicle "Dnepr".

A Study on HAUSAT-1 Satellite Fault-Tolerant System Architecture Design

  • Kim, Young-Hyun;Chang, Young-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37-50
    • /
    • 2003
  • A next generation small satellite HAUSAT-1, the first picosatellite developed in Korea, is being developed as one of the international CubeSat program by Space System Research Lab. of Hankuk Aviation University. A fault-tolerant incremental design methodology has been addressed in this pape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ystem redundancy on reliability was in detail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fault-tolerant system. Four different system recovery levels are proposed for HAUSAT-1 fault-tolerant system optimization. As a result, the HAUSAT-1 fault-tolerant system architecture design and reliability analysis has acquired about 11% reliability improvement.

Mechanical Design, Analysis, and Environment test for TRIO-CINEMA

  • 이용석;김태연;유제건;진호;선종호;이동훈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67.2-67.2
    • /
    • 2012
  • 경희대학교와 UC Berkeley, Imperial College London은 우주관측을 위한 초소형 인공위성인 TRIO-CINEMA(TRIO-CINEMA) Project를 수행하고 있다. TRIO-CINEMA는 총 3기의 인공위성으로 경희대학교에서 2기의 위성을, UC Berkeley에서 1기의 위성을, Imperial College에서 3개의 자력계를 제작하고 있다. CINEMA는 Cubesat의 3U 규격으로 크기는 $100mm{\times}100mm{\times}340.5mm$이고 무게는 약 3 kg, 소비전력은 약 3 W이며, 지구 주변의 ENA측정을 위한 주 탑재체인 STEIN(SupraThermal Electrons, Ions, and Neutrals)과 자기장 측정을 위한 부 탑재체인 MAGIC(MAGnetometer from Imperial College)이 탑재되어 약 1년간 800 km 태양동주기 궤도에서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위성의 발사는 별도의 POD(Picosatellite Orbital Deployer)라는 Adaptor를 사용해 발사체에 탑재되는데, 발사환경에서 위성이 받을 모든 현상에 관하여 NX Nastran을 사용해 계산을 진행하였다. 계산 결과의 검증을 위해 위성의 Structure Model을 가지고 Random Vibration test를 수행해 위성의 고유 진동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위성이 궤도에서 운용 중 다양하게 받게 되는 열원에 따른 위성의 각 부분의 온도변화를 NX TMG program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의 검증을 위해 3월 Thermal Cycle test 및 Thermal Balance test를 수행할 예정이다. UC Berkeley에서 제작한 위성 1기는 제작완료 후 발사를 위해 발사장으로 배송을 완료하였고, 경희대학교에서 제작 중인 CINEMA 위성 2기는 2012년 후반기 러시아에서 Dnepr 로켓을 사용해 발사 예정이다.

  • PDF

Thermal Analysis of TRIO-CINEMA Mission

  • Yoo, Jae-Gun;Jin, Ho;Seon, Jong-Ho;Jeong, Yun-Hwang;Glaser, David;Lee, Dong-Hun;Lin, Robert P.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23-31
    • /
    • 2012
  • Thermal analysis and control design are prerequisite essential to design the satellite. In the space environment, it makes satellite survive from extreme hot and cold conditions. In recent years CubeSat mission is developed for many kinds of purpose. Triplet Ionospheric Observatory (TRIO)-CubeSat for Ion, Neutral, Electron, MAgnetic fields (CINEMA) is required to weigh less than 3 kg and operate on minimal 3 W power.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thermal analysis and control design for TRIO-CINEMA mission. For this thermal analysis, we made a thermal model of the CubeSat with finite element method and NX6.0 TMG software is used to simulate this analysis model. Based on this result, passive thermal control method has been applied to thermal design of CINEMA. In order to get the better conduction between solar panel and chassis, we choose aluminum 6061-T6 for the material property of standoff. We can increase the average temperature of top and bottom solar panels from $-70^{\circ}C$ to $-40^{\circ}C $ and decrease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magnetometer from $+93^{\circ}C$ to $-4^{\circ}C$ using black paint on the surface of the chassis, inside of top & bottom solar panels, and magnetometer.

큐브위성용 포고핀 기반 열선절단 분리장치의 열적 거동 분석 및 검증 (Numerical and Experimental Thermal Validation on Pogo-pin based Wire Cutting Mechanism for CubeSat Applications)

  • 손민영;채봉건;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4-102
    • /
    • 2023
  • 큐브위성용 태양전지판 분리장치는 열선 또는 저항소자의 발열로 나일론선을 절단하여 구조물의 구속을 해제하는 나일론선 절단방식 구속분리장치가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판 조립체의 발사하중을 고려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구속분리장치의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발사 이후 궤도 열환경에 대한 구속분리장치의 열적 검토 및 분석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발중인 큐브위성 STEP Cube Lab-II에 적용되는 나일론선 절단 기반 구속분리장치의 열적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위성이 POD (Picosatellite Orbital Deployer)에서 사출되고 태양전지판이 전개되기까지의 분리장치 온도 분포를 검토하여 분리장치의 허용온도 범위 내에서 안정적인 구속 분리가 될 수 있도록 분리장치에 대한 궤도 열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열해석 결과를 기반으로 열진공시험을 수행하여 분리장치의 설계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