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plankton Kumgang River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6초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관한 연구 (Standing Crops of Freshwater Phytoplankton in Kumgang River, Korea)

  • 이석구;부성민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47-353
    • /
    • 2000
  •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를 알기 위하여 현도, 마암, 장암, 나포에서 1998년 10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매월 1회 채수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현도에서 7월에 $39.5{\times}10^3cells ml^{-1}, 마암에서 7월에 112.1{\times}10^3cells ml^{-1}, 장암에서 7월에 125.5{\times}10^3cells ml^{-1}, 나포에서 8월에 288.6{\times}10^3cells ml^{-1}로 최대였으며, 현도와 마암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5.0{\times}10^3Cells ml^{-1}이하였고, 나포에서는 5.0{\times}10^3Cells ml^{-1}$ 이상이었으며, 장암은 그 중간이었다. 각 조사 정점의 현존량은 마암이 현도보다 3배 이상 높았고, 장암이 마암보다 1.3배, 나포는 장암보다 2.1배 높아서, 중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현존량 조사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봄부터 초여름까지는 장암의 현존량이 최대였고, 다른 계절에는 나포에서 가장 높았다. 현존량의 시공 분포 변화는 중심형의 소형 규조류 Cyclotella spp.와 Stephanodiscus spp. 및 사상 규조류 Aulacoseira spp.의 번무에 기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