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lacca dioic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열대 관상식물, Erythrina caffra와 Phytolacca dioica을 가해하는 점박이응애를 방제하기 위한 칠레이리응애의 적용 가능성 (A preliminary study on the biological control of Tetranychus urticae in Erythrina caffra, Phytolacca dioica by Phytoseiulus persimilis Anthias-Henriot (Acarina: Tetranychidae, Phytoseiidae) in green house)

  • 함은혜;이준석;이봉우;안태현;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55-158
    • /
    • 2014
  • 주로 식물원내 온실 환경에서 관리되는 열대 관상수 2종(Erythrina caffra와 Phytolacca dioica)에 발생한 점박이응애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서 칠레이리응애를 국부적으로 방사 처리하여 점박이응애의 밀도억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방제실험은 국립수목원내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내 온실에서 진행하였으며 대상 식물에 최초로 점박이응애의 발생이 확인된 후 바로 수목당 200개체의 칠레이리응애를 방사한 후 매 2주 간격으로 점박이응애의 엽당 밀도 변화를 기록, 관찰하였다. 조사결과 방사 후 2주차 조사 시 가장 높은 밀도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8주차 이후에는 대상 식물내에서 점박이응애를 확인할 수 없었다. 실험 시설의 특성상 대조구를 설치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으나 방사 후 14일 내에 Erythrina caffra는 최초 조사 밀도 대비 10% 수준으로, Phytolacca dioica는 50%수준이하로 밀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부적인 처리를 통한 식물원내 생물적방제 처리는 식물원내 국부적인 점박이응애의 방제에 있어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Purification and enzymatic properties of a peroxidase from leaves of Phytolacca dioica L. (Ombú tree)

  • Guida, Vincenzo;Criscuolo, Giovanna;Tamburino, Rachele;Malorni, Livia;Parente, Augusto;Maro, Antimo Di
    • BMB Reports
    • /
    • 제44권1호
    • /
    • pp.64-69
    • /
    • 2011
  • A peroxidase (PD-cP; 0.47 mg/100 g leaves) was purified from autumn leaves of Phytolacca dioica L. and characterized. PD-cP was obtained by acid precipitation followed by gel-filtration and 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 Amino acid composition and N-terminal sequence of PD-cP up to residue 15 were similar to that of Spinacia oleracea (N-terminal pairwise comparison showing four amino acid differences). PD-cP showed a molecular mass of approx. 36 kDa by SDS-PAGE, pH and temperature optima at 3.0 and $50.0^{\circ}C$, respectively and seasonal variation. The Michaelis-Menten constant ($K_M$) for $H_2O_2$ was 5.27 mM, and the velocity maximum ($V_{max}$) $1.31\;nmol\;min^{-1}$, while the enzyme turnover was $0.148\;s^{-1}$. Finally, the presence of $Ca^{2+}$ and $Mg^{2+}$ enhanced the PD-cP activity, with $Mg^{2+}$ 1.4-fold more effective than $C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