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ological effects

검색결과 3,954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 자생 황금 추출물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면역 기능 및 장내 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Domestic Skullcap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on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Broiler Chicken)

  • 권혁신;김재영;김지숙;이보근;이소연;이완섭;안병기;김은집;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51-35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황금 추출물의 수준별 급여가 육계에서 성장 성적, 항체 생성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일령 Ross 육계 수평아리 750수를 실험동물로 공시하여 각 처리구별 150수, 반복 당 30수씩을 체중이 유사하도록 완전임의 배치하였고, 항생제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기초사료에 황금 추출물을 0.1, 0.3 또는 0.5% 수준으로 각각 첨가하여 전체 5개 처리구에 5반복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기간 중의 사료 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을 평가하였고, 조직의 상대적 중량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조사하였다. 생독백신 접종 이후의 체액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맹장 내용물 내의 균총을 평가하였다. 황금 추출물 0.1% 및 0.3% 첨가구의 종료 시 체중과 증체량은 (-)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거나(P<0.05)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금 추출물의 첨가급여로 인한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함량 및 HDL-C/total-C 비율에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NDV 항체가와 IBV 항체가는 대조구에 비해 황금 추출물 추출물을 급여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거나(P<0.05),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금 추출물 첨가구에서 coli form 박테리아 수가 (-) 대조구에 비해 0.3% 및 0.5%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거나(P<0.05),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황금 추출물의 첨가급여는 성장 개선 및 생리활성의 부여 측면에서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농약(農藥)이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 - 토양세균(土壤細菌)Flora의 구성변화(構成變化)에 대하여 - (Effects of Pesticides on Soil Microflora -Changes of the Composition of Soil Bacterial Flora-)

  • 양창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1-226
    • /
    • 1985
  • 밭토양(土壤)에서 살충제(殺蟲劑) Hexachlorocyclohexane(HCH) 및 살균제(殺菌劑) Tetrachloroisophthalonitrile(TPN)의 연용(連用)이 토양세균(土壤細菌) flora의 구성(構成)을 어떻게 변화(變化)시키는가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HCH 및 TPN을 년(年)1회(回) 2년간(年間) 연용(連用)한 각실험구(各實驗區) 그리고 대조구(對照區)로서 농약(農藥) 무처리구(無處理區)로부터 단리(單離)한 세균세포(細菌細胞)의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觀察)과 생리적(生理的) 시험(試驗)을 하였다. 그리고 이 형태적(形態的) 및 생리적(生理的) 결과(結果)에 기초(基礎)한 Cowan & Steel의 제(弟)1차(次) 감별기준(鑑別基準)에 따라 이들 단리균주(單離菌株)를 Grouping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희석평판법(稀釋平板法)에 의한 알부민 한천배지상(寒天培地上)에 형성(形成)된 micro-colony를 육즙한천배지(肉汁寒天培地)에 이식배양(移植培養)하여 순수분리(純粹分離)하는 과정(過程)에서 많은 세균(細菌)이 사멸(死滅)하였는데 대조구(對照區)에서 30%, HCH구(區)에서 44%, TPN구(區)에서 51%의 사멸률(死滅率)을 각각 보였다. 이는 이들 농약(農藥)의 연용(連用)에 의하여 사멸(死滅)하기 쉬운 즉(卽)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이 복잡(複雜)한 세균군(細菌群)이 토양(土壤)중에 집적(集績)되었음을 시사(示唆)한다. 2. 전단리균주(全單離菌株)에 대한 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은 대조구(對照區)에서 37%, HCH구(區)에서 37%, TPN구(區)에서 75%를 각각 나타내어 TPN은 그람음성세균군(陰性細菌群)을 토양(土壤)중에 우점(優占)시켰다. 3. 각실험구(各實驗區)로부터 단리(單離)된 균주(菌株)에 대한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觀察)과 생리적(生理的) 시험결과(試驗結果)로부터 HCH와 TPN은 서로 다른 pattern으로 토양세균(土壤細菌) flora의 구성(構成)을 변화(變化)시켰다. 4. 전단리균주(全單離菌株)에 대한 포자형성세균(胞子形成細菌)은 대조구(對照區)에서 77%, HCH구(區)에서 40%, TPN구(區)에서 0%를 각각 나타내어 농약처리구(農藥處理區)에서 포여형성세균군(胞予形成細菌群)이 저하(低下)되었고, 특(特)히 TPN구(區)에서는 포자형성균(胞子形成菌)이 전(全)혀 분리(分離)되지 않았다. 5. HCH 혹은 TPN의 살포(撒布)에 의하여 Group I(Bacillus)에 유별(類別)되는 포자형성세균군(胞子形成細菌群)이 감소(減少)된 반면(反面)에 그람음성(陰性)의 포자비형성세균군(胞子非形成細菌群)이 증가(增加)되어, HCH 및 TPN은 토양세균(土壤細菌) flora의 구성(構成)을 현저(顯著)하게 변화(變化)시켰다.

  • PDF

양파껍질추출물의 섭취가 남성 흡연자의 혈행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nion Peel Extracts on Blood Circulation in Male Smokers)

  • 이혜진;이경혜;차용준;박은주;신민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790-179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혈전생성을 촉진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 흡연하는 30세 이상 60세 이하의 건강한 남성 92명(위약 캡슐군 43명, OPE캡슐군 49명)을 대상으로 양파껍질 추출물(OPE)의 섭취가 항혈전 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위약-대조군 연구디자인을 통해 OPE를 캡슐 형태로 제조하여 10주간 하루 2회 2캡슐씩 10주간 제공하였다(하루 섭취분량 내 100 mg quercetin 함유). OPE캡슐군과 위약캡슐군 각각의 평균 연령은 $46.1{\pm}7.1$세, $42.4{\pm}8.2$세로 전체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44.4{\pm}7.8$세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의 하루 흡연량은 위약 캡슐군과 OPE캡슐군에서 모두 하루 '20~29개피'의 담배를 피우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과 비만도는 과체중 범위에 속하고 있었으며, 두 군간 임상시험 전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액학 및 생화학적 지표 특성중 HB, RBC, WBC, MCH, RDW, PDW는 임상시험 전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혈소판 수는 두 그룹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p<0.01), 총 철결합 능(위약캡슐군 p<0.001, OPE캡슐군 p<0.001)과 불포화 철결합 능(위약캡슐군 p<0.001, OPE캡슐군 p<0.01)은 두 그룹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항혈전 지표에서는 OPE캡슐군에서 10주 후 prothrombin time(PT)(p<0.01)과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p<0.001) 모두 유의적으로 연장되었다. aPTT는 BMI, 체지방 %, 허리둘레와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PT의 경우 BMI(r=-0.321, p<0.01), 체지방 %(r=-0.375, p<0.001), 허리둘레(r=-0.318, p<0.01)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OPE캡슐의 섭취는 항혈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비록 본 연구대상자들이 일부 사무직 위주의 흡연자이고 10주간의 짧은 기간이었다는 단점이 있지만, 별도의 식생활 변화없이 본 시료 섭취만으로 혈액응고시간을 유의적으로 지연시켰다는 점에서 폐기되는 양파껍질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보다 폭넓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임상시험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주 사망원인인 과도한 혈전형성으로 인한 혈관계 질환의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REK2-채널 과발현 세포주에서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in TREK2-channel overexpressing cell line)

  • 김양미;김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27-135
    • /
    • 2016
  • Two-pore 도메인 포타슘 채널(two-pore domain $K^+$ channel, K2P channel)은 세포내 pH, 생리 활성 지질, 신경 전달 물질과 같은 생리학적 자극의 표적이며 안정막전압(resting membrane potential)을 설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유형의 K2P 채널들은 세포 사멸 및 종양 형성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K2P 채널 중 TREK2 채널의 길항제는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TREK2 채널을 과발현시킨 HEK293 세포(HEKT2)에서 플라보노이드에 의해 TREK2 채널이 억제되는지 그리고 HEKT2 세포의 증식이 플라보노이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기생리학적 전류는 단일 채널 patch clamp 방법을 사용하여 기록하였고 세포 증식은 XTT 에세이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EKT2 세포에서 전기생리학적 TREK2 채널 활성도는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및 케르세틴과 같은 플라보노이드에 의해 각각 $91.5{\pm}13.1%$(n=5), $82.2{\pm}13.7%$(n=5)까지 억제되었다. 반면, EGCG 유사체인 에피카테킨(EC)는 TREK2 단일 채널 활성도에 현저한 억제 효과는 없었다. 또한 HEKT2 세포에서 세포 증식이 EGCG에 의해 $69.4{\pm}14.0%$(n=4)까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로부터 EGCG와 케르세틴이 TREK2 채널 억제제임을 처음으로 확인하였고, EGCG만 HEKT2 세포의 증식을 감소시킨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EGCG 및 케르세틴이 TREK2 채널을 억제함으로써 막전압의 변화 유도와 세포 증식에 필요한 세포내 신호 변화의 시작을 트리거하는데 일차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동계 Plastic house내 고추(Capsicum annuum L.) 육묘시 온도와 광도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 I. 다중피복 고추육묘 시설내의 온도 및 광환경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of Red Pepper(Capsicum annuum L.) in Plastic House During Winter. I. Fluctuations of Temperature and Light Environment in the Multilayered Plastic House Grown Red Pepper)

  • 정순주;이범선;권용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6-118
    • /
    • 1994
  • 동계 무가온 다중피복 plastic house내 고추육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광도 및 지온의 변화를 노지와 시설내 피복별로 조사 분석하여 고추의 적정 육묘생장 환경과 실제 무가온 다중피복 plastic house내의 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코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월 20일부터 2월 25일 까지 P. E.필름으로 4중피복된 턴널내에서도 최저온도는 대부분 5$^{\circ}C$를 보여 고추의 냉해온도에 대한 노출을 피할 수 없었고 이 기간에 최고온도는 대부분 33$^{\circ}C$를 보였으며 극값은 42$^{\circ}C$를 보여 다소간 환기의 필요도 인정되었다. 2. 피복이 증가할수록 온도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 노지는 5-1$0^{\circ}C$를 보인 반면 피복내에는 16-38$^{\circ}C$의 일교차를 보였다. 3. 저온기에 다중피복에 의한 보온효과는 뚜렷하였으나 4중피복하에서도 12$^{\circ}C$이하의 온도출현이 많아서 고추 시설내 육묘시 냉해피해 가능성이 상존하며, 3$0^{\circ}C$이상의 고온출현회수도 200회 이상이었다. 4. 광도에 있어서도 피복이 증가할수록 광도는 감소하였고 온도증가는 크게 광의존성이었으며, 최저광도는 피복에 관계없이 고추의 광보상점 이하를 보여주었다. 5. 12월 20일부터 2월 중순까지 기온은 오전 10시 이후에야 고추의 생육한계온도인 10-12$^{\circ}C$이상이 되었고, 오후 4시 이후에는 기온은 12$^{\circ}C$이상이 되어도 광도가 급격히 낮아 고추유묘의 광합성 및 생장에 제한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6. 시설내 최저지온은 동계 4중피복내에서도 1$0^{\circ}C$내외로서 고추생장에는 생리적 피해온도 범위에 속하였다. 7. 광주지방에 45년간 온도자료를 보면 노지 최저온도의 극값은 1월 5일에 -19.4$^{\circ}C$를 기록하였으며 대부분 장기자료로부터 얻은 평균에서 $\pm$5$^{\circ}C$의 편차를 보였다.

  • PDF

$PGE_2$$PGF_{2{\alpha}}$가 삼투성 용혈 및 적혈구막 $Ca^{++}$결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GE_2$ and $PGF_{2{\alpha}}$ on the Osmotic Fragility and Membrane $Ca^{++}$ Binding in Human Erythrocytes)

  • 연동수;강두희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7권2호
    • /
    • pp.135-142
    • /
    • 1983
  • $PGE_2$$PGF_{2{\alpha}}$가 용혈 및 적혈구막 절편에서 $Ca^{++}$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GF_{2{\alpha}}$$PGE_2$와 같이 적혈구막 삼투성 취약성을 증가시키는데 대조군에서는 NaCl농도 1/18 M 용액에서 완전히 용혈되었으나 $PGE_2$$PGF_{2{\alpha}}$$10^{11}M$ 이상 포함될 경우 NaCl농도 $1/16{\sim}1/17\;M$ 에서 100 % 용혈이 일어났다. 2) 동일한 적혈구 부유액을 사용할 때 NaCl농도 1/15 M 용액에서 대조군은 $44.2{\pm}4.3%$가 용혈되나 $PGE_2$$PGF_{2{\alpha}}$$10^{11}M$농도로 포함되었을 때 용혈은 각기 $73.6{\pm}8.4%$$68.7{\pm}6.4%$로 대조군에 비하여 의의있게 증가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더 이상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3) $PGE_2$$PGF_{2{\alpha}}$에 의해 증가된 용혈은 어느 $Ca^{++}$농도에서도 대조군보다 항상 일정한 정도로 증가되어 있다. 4) 적혈구막 절편에서의 $Ca^{++}$결합은 대조군이나 $PGE_2$$PGF_{2{\alpha}}$처치군 모두 incubation용액내 $Ca^{++}$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곡선적으로 증가하여 $Ca^{++}$농도 5 mM에서 포화된다. 그러나 같은 농도의 $Ca^{++}$에서 비교할 때 적혈구막의 $Ca^{++}$결합은 $PGE_2$$PGF_{2{\alpha}}$ 존재시 대조군에 비하여 의의있게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GE_2$$PGF_{2{\alpha}}$가 적혈구막의 삼투성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기전은 $Ca^{++}$과는 독립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 PDF

포도당 처리로 유도된 뇌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눈개승마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xtract against hyperglycemic-induced neurotoxicity)

  • 박수빈;이욱;강진용;김종민;박선경;박상현;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68-67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의 in vitro 산화방지활성 및 고당(intensive glucose)과 과산화수소($H_2O_2$)로 야기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뇌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와 더불어 알파글루코사이드가수분해효소 및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HPLC를 이용하여 주요 물질을 분석하였다.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thylacetate fraction from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FAD)은 매우 우수한 총 페놀화합물 함량(430.08 mg GAE/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511.72 mg RE/g)을 나타냈으며, 높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과 과산화지방질생성물의 억제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당(intensive glucose)과 과산화수소($H_2O_2$)로 야기된 뇌신경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이로 인한 뇌신경세포 사멸을 측정한 결과,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유의적인 뇌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다당류 분해 효소인 알파글루코사이드가수분해효소 억제효과 및 아세틸콜린 분해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터가수분해효소 억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혈당 상승 억제효과와 뇌신경전달물질의 세포 내 유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눈개승마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AD)의 주요 페놀성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HPLC분석을 한 결과 카페산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들을 고려할 때, 눈개승마는 고혈당 지연 또는 개선을 통한 고혈당 예방 소재로서의 가능성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뇌신경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고혈당에 의한 대사성 뇌신경질환 예방 소재로도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흰쥐의 적출 정관 수축성에 대한 ${\gamma}$-Aminobutyric Acid의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s of ${\gamma}$-Aminobutyric Acid on the Contractility of Isolated Rat Vas Deferens)

  • 안기영;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82-395
    • /
    • 1992
  • GABA는 중추신경계의 대표적인 신경전달 물질로서 $GABA_A$수용체 또는 $GABA_B$수용체에 작용하여 진정 작용, 항 불안 작용, 및 근이완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말초조직에도 GABA가 존재하며 신경조정인자 혹은 신경전달인자로서 작용한다는 보고가 있다. 정관에 대한 자율신경 지배는 아드레날린성, 콜린성과 비콜린성 비아드레날린성 신경섬유들이 분포하고 있으나, 종 혹은 부위에 따라 이들 구성요소들의 수축성에 대한기여도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흰쥐의 전립선 부위 정관의 기본장력 및 전기장 유발 수축에 대한 교감 신경성, 부교감 신경성 및 퓨린성 효현제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정관의 흥분성 약물 및 전기장 유발 수축에 미치는 GABA 및 GABA 관련 약물의 영향을 관찰함으로서 정관의 수축운동에 대한 GABA의 작용기전을 규명해 보고자 흰쥐(Sprague-Dawley)의 전립선 부위 정관 절편을 적출 근편 실조에 현수하고, 등척성 장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ABA, muscimol 및 baclofen은 전기장자극(0.2 Hz, 1 msec, 80 V) 유발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효력은 GABA, baclofen 그리고 muscimol 순이었다. 2. GABA의 억제작용은 $GABA_B$ 수용체 길항제인 DAVA에 의하여 길항되었으나, $GABA_A$ 수용체 길항제인 bicuculline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3. Baclofen의 억제작용은 DAVA에 의하여 길항되었으나 muscimol의 억제작용은 bicuculline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4. Norepinephrine과 ATP는 농도 의존적으로 정관의 수축력을 증가 시켰으나 acetylcholine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5. GABA, baclofen 및 muscimol은 정관의 기본 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GABA는 norepinephrine과 ATP 유발 수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6. 적출 정관을 20초간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ATP 수용체 탈감작제인 mATP를 전처치한 경우에는 FPC가 감소되었고, 신경원에서 catecholamine을 고갈시키는 reserpine을 전처치한 경우에는 STC가 감소되었다. 7. GABA는 mATP를 전처치한 군에서는 정관의 전기장 유발 수축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reserpine을 전처치한 군에서는 전기장 유발 수축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흰쥐정관의 전립선 부위에는 아드레날린성 신경전달기전과 퓨린성 신경전달기전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으며, GABA는 주로 신경원의 $GABA_B$ 수용체를 통하여 ATP의 유리를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atecholamines에 관(關)하여 -제4편(第四編) : 심실전동발생(心室顫動發生)에 있어서의 catecholamines의 의의(意義)- (Role of Catecholamines in Ventricular Fibrillation)

  • 이우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35
    • /
    • 1983
  • Although it has been well known that ventricular fibrillation is the most important complication during hypothermia, much investigation has failed to show the exact nature of the etiology of ventricular fibrillation. Recently, there has been considerabl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athetic activity and ventricular fibrillation under hypothermia. Cardiac muscle normally contains a certain amount of norepinephrine and the dramatic effect of this catecholamines on the cardiac muscle is well documented. It is, therefore, conceivable that cardiac catecholamines might exert an influence on the susceptibility of heart muscle to tachycardia,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arrhythmia, under hypothermia. Hypothermia itself is stress enough to increase tonus of sympatheticoadrenal system. The normal heart is supplied by an autonomic innervation and is subjected to action of circulating catecholamines which may be released from the heart. If the reaction of the heart associated with a variable amount of cardiac catecholamines is. permitted to occur in the induction of hypothermia, the action of this agent on the heart has not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direct effects of cooling. The studies presented in this paper were designed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cardio-physiological effects of reduced body tempera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le of catecholamines in ventricular fibrillation. Healthy cats, weighing about 3 kg, were anesthetized with pentobarbital(30 mg/kg) intraperitoneally. The trachea was intubated and the endotracheal tube was connected to a C.F. Palmer type A.C. respirator. Hypothermia was induced by immersing the cat into a ice water tub and the rate of body temperature lowering was $1^{\circ}C$ per 5 to 8 min. Esophageal temperature and ECG (Lead II) were simultaneously monitored. In some cases the blood pH and serum sodium and potassium were estimated before the experiment. After the experiment the animals were killed and the hearts were excised. The catecholamines content of the cardiac muscle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Shore and Olin (1958).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control animal the heart rate was slowed as the temperature fell and the average pulse rates of eight animals were read 94/min at $31^{\circ}C$, 70/min at $27^{\circ}C$ and 43/min at $23^{\circ}C$ if esophageal temperature. Ventricular fibrillation was occurred with no exception at a mean temperature of $20.3^{\circ}C(21-l9^{\circ}C)$. The electrocardiogram revealed abnormal P waves in each progressive cooling of the heart. there was, ultimately, a marked delay in the P-R interval, QRS complex and Q-T interval. Inversion of the T waves was characteristic of all animals. The catecholamines content of the heart muscle excised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ventricular fibrillation was about thirty percent lower than that of the pre-hypothermic heart, that is, $1.0\;{\mu}g/g$ wet weight compared to the prehypothermic value of $1.41\;{\mu}g/g$ wet weight. The changes of blood pH, serum sodium and potassium concentration were not remarkable. 2) By the adrenergic receptor blocking agent, DCI(2-3 mg/kg), given intramuscularly thirty minutes before hypothermia, ventricular fibrillation did not occur in one of five animals when their body temperature was reduced even to $16^{\circ}C$. These animals succumbed at that low temperature, and the changes of heart rate and loss of myocardial catecholamines after hypothermia were similar to those of normal animals. The actual effect of DCI preventing the ventricular fibrillation is not predictable. 3) Administration of reserpine(1 mg/kg, i.m.) 24 hours Prior to hypothermia disclosed reduced incidence of ventricular fibrillation, that is, six of the nine animals went into fibrillation at an average temperature of $19.6^{\circ}C$. By reserpine myocardial catecholamines content dropped to $0.045\;{\mu}g/g$ wet weight. 4) Bretylium pretreatment(20 mg/kg, i.m.), which blocks the release of catecholamines, Prevented the ventricular fibrillation under hypothermia in four of the eight cats. The pulse rate, however, was approximately the same as control and in some cases was rather slower. 5) Six cats treated with norepinephrine(2 mg/kg, i.m.) or DOPA(50 mg/kg) and tranylcypromine(10 mg/kg), which tab teen proved to caus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atecholamines content of the heart muscle, showed ventricular fibrillation in all animals under hypothermia at average temperature of $21.6^{\circ}C$ and the pulse rate increased remarkably as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Catecholamines content of cardiac muscle of these animals markedly decreased after hypothermia but higher than control animals. 6) The functional refractory periods of isolated rabbit atria, determined by the paired stimulus technique, was markedly shortened by administration of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isoproterenol. 7) Adrenergic beta-blocking agents, such as pronethalol, propranolol and sotalol(MJ-1999), inhibited completely the shortening of refractory period induced by norepinephrine. 8) Pretreatment with either phenoxftenbamine or phentolamine, an adrenergic alphatlocking agent, did not modify the decrease in refractory period induced by norepinephrine. From the above experiment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catecholami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ventricular fibrillation under hypothermia. The shortening of the refractorf period of cardiac muscle induced by catecholamines mar be considered as a partial factor in producing ventriculr fibrillaton and to be mediated by beta-adrenergic receptor.

  • PDF

개구리 피부에 있어서 Na 수송을 조절하는 Adrenoceptors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drenoceptors Involved in Regulation of Sodium Transport in Frog Skin)

  • 최봉규;김경근;김흥규;국영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4-33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개구리(Rana nigromaculata)의 피부에 있어서 전위차(PD), 단락전류(SCC) 및 total skin conductance(TSC)에 미치는 제종 adrenergic agonist 및 그 차단제의 영향을 관찰하여 개구리 피부에 adrenoceptors의 존재를 확인하고 Na 수송에 있어 그들의 역할을 구명코자 하였다. 1.Norepinephrine(NE, $6{\times}10^{-8}-6{\times}10^{-5}M$), phenylephrine($PE,5{\times}10^{-6}-5{\times}10^{-4}M$)의 PD 및 epinephrine(Epi, $5.5{\times}10^{-7}-5.5{\times}10^{-5}M$)의 PD 및 SCC 증가효과는 약물의 투여농도에 비례하였으며, Epi의 최대효과는 NE나 PE의 것보다 약하였다. 2. 이러한 PD 및 SCC의 증가효과는 alpha 1 adrenoceptor 차단체인 prazosin $2{\times}10^{-6}M$에 의해서 억제되었으며, 특히 Epi의 증가효과는 불가역성 alpha receptor 차단제인 phenoxybenzamine $3.3{\times}10^{-5}M$에 의하여 완전히 차단되며 대량의 Epi에 의해서는 PD 및 SCC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3. Beta adrenoceptor agonist인 isoproterenol$(5{\times}10^{-7}-5{\times}10^{-6}M)$에 의해 농도증가에 비례한 PD 및 SCC의 감소가 일어났으며, 이는 선택적 bete receptor 차단제인 propranolol $4{\times}10^{-6}M$에 의해 차단되었다. 또한 Epi의 PD 및 SCC 증가효과는 propranolol $4{\times}10M$에 의하여 강화됨을 볼 수 있었다. 4. Alpha 2 adrenoceptor agonist인 clonidine 및 guanabenz도 PD 및 SCC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효과는 alpha 2 receptor 차단제인 yohimbine에서 보다 Alpha 1 receptor 차단제인 prazosin에 의해 더 잘 억제되었다. 이상 실험의 결과 개구리 복부피부에도 포유동물에서와 같이 adrenergic alpha 및 beta receptor가 존재하며 alpha receptor는 PD 및 SCC의 증가를, beta receptor는 PD 및 SCC의 감소를 매개하여, 개구리 피부의 Na 수송에 있어 adrenergic system이 중요한 조절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기에 관여하는 alpha receptor는 다른 포유류에서와 같이 alpha 1 및 alpha 2 adrenoceptor로 구분할 수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