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factors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초

여름철 남해도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단기 변화 (Short-term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Summer Around Namhae Island of Korea)

  • 임월애;강창근;김숙양;이삼근;김학균;정익교
    • ALGAE
    • /
    • 제18권1호
    • /
    • pp.49-58
    • /
    • 2003
  • The short-term dynamics of the summer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in coastal waters around Namhae Island,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study was based on a comprehensive survey constituting 39 collections from 13 stations on July 18-22, August 1-2, 14-16 and 27-30, respectively. The community structure was analysed using cluster analysis and important environmental correlates of the assemblage structure were identified with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Water temperature, salinity, NO₂, NO₃, NH₄, PO₄, chlorophyll a and transparency were measured as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Variations of salinity and concentrations of NO₃ and chlorophyll a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o warmer water temperature, concentrations of NO₂, NO₄and PO₄ decreased at the beginning of August. And transparency was deeper and water column became very unstable after the middle of August. A wide taxonomic diversity was encountered during the survey, including a total of 121 taxa which was composed of 72 diatoms, 48 dinoflagellates and 1 euglenoid species.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4 distinct groups, indicating rapid changes of the community in the short course of this survey. These phytoplankton groups also showed distinctive dispersion patterns in 2-dimensional canonical space, indicating distinct groupings for stations at each survey. Dominant taxa of diatoms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spp., Leptocylindrus danicus, Leptocylindrus mediteraneus, Skeletonema costanum, and Pseudo-nitzschia pungen) clustered in region of CCA space corresponding to stations surveyed at the middle of July. Dominant taxa of dinoflagellates were tightly associated with stations surveyed at the middle (Karenia breve) and e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Polykrikos schwartzii) of August. The CCA also showed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NO₂, NH₄ and PO₄, suggesting that gradients in physical and nutrient conditions affect short-term changes in phytoplankton composition.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의한 국내외산 녹차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Various Green Tea by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 오상룡;이상효;신동화;정동효;손태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84-291
    • /
    • 1988
  • 국내외산 녹차 15종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과 기호도를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여 녹차의 품질영향인자를 검토하였다. 녹차의 이화학적 특성치중 탄닌, 카페인, 유리아미노함량산은 국산녹차가 외국산 녹차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클로로필함량은 일본산 녹차가 가장 높았다. 침출액의 색깔에 대한 기호도는 일본산 녹차가 가장 우수하였고 맛에 대한 기호도는 국산 볶은차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화학적 분석치와 관능평점과의 관계를 중회귀분석한 결과, 녹차의 종합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녹차중의 카페인, 클로로필 b, 총유리아미노산함량 및 침출액의 L값 이었으며 이들 특성치에 의하여 산출한 회귀방정식은 녹차의 기호도를 89%의 신뢰도를 가지고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근적외 분광분석법을 응용한 사과의 비파괴 품질 측정 가능성 조사 (Possibility of the Nondestructive Quality Evaluation of Apples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 손미령;권영길;이경희;박우철;조래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53-159
    • /
    • 1998
  • 국내산 후지 사과의 주요 내부 품질 요인인 당도, 수분 함량, 경도 및 산 함량을 근적외 분광분석법에 의해 동시에 신속, 정확하게 비파괴 측정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굴절당도계에 의한 당도, 동결 건조법에 의한 수분 함량, texture analyzer에 의한 경도 및 알칼리 적정법에 의해 얻어진 산 함량 데이터와 근적외 영역의 흡광도 데이터 사이에 각각 중회귀분석을 행한 결과, 당도, 수분 함량, 경도 및 산 함량의 측정 오차(SEP)는 각각 $0.50^{\circ}Brix,\;0.64%,\;0.14kg/cm^2$ 및 0.07%이었다. 이로서 근적외 분광 분석법을 응용하여 사과의 당도와 수분 함량은 비파괴적으로 신속, 정확하게 측정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나, 경도와 산 함량의 측정 정확도는 다소 낮은 편이었다.

  • PDF

유기물 생흡착 현상에 관한 기초연구 (Characteristics of Carbon Source Biosorption)

  • 이동훈;이두진;김승진;정진욱;배우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29
    • /
    • 2006
  • Biosorption technology was used to remove hazardous materials from wastewater, herbicide, heavy metals, and radioactive compounds, based on binding capacities of various biological materials. Biosorption process can be explained by two steps; the first step is that target contaminants is in contact with microorganisms and the second is that the adsorbed target contaminants is infiltrated with inner cell through metabolically mediated or physico-chemical pathways of uptake. Until recently, no information is available to explain the definitive mechanism of biosor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biosorption capabilities of organic matters using activated sludge and to investigate affecting factors upon biosorption. Over 49% of organic matter could be removed by positive biosorption reaction under anoxic condition within 10 minutes. The biosorption capacities were constant at around 50 mg-COD/mg-MLSS for all batch experiments. As starvation time increased under aerobic or anaerobic conditions, biosorption capacity increased since higher stressed microorganisms by starvation was more brisk. Starvation stress of microorganisms was higher at aerobic condition than anaerobic one. As temperature increased or easily biodegradable carbon sources were used, biosorption capacities increased. Consequently, biosorption can be estimated by biological -adsorbed capability of the bacterial cell-wall and we can achieve the cost-effective and non -residual denitrification with applying biosorption to the bio-reduction of nitrate.

Effec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n a Nutrient-Chlorophyll Relationship in Korean Reservoirs

  • Hwang, Soon-Jin;Jeon, Ji-Hong;Ham, Jong-Hwa;Kim, Ho-Sub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64-73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effec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oth watershed and reservoir on nutrient-chlorophyll relationship in Korean reservoirs. Simple linear models were developed with published data in Korea including 415 reservoirs and 11 multi-purpose dam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reservoirs and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of models were analyzed. Theoretical residence time in Korean reservoirs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ratio of TA/ST (drainage area + surface area / storage volume) in the logarithmic function. As a result of monthly nutrients-chlorophyll-a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Chl-a-TP relationship appeared during May~July. The high Chl-a yields per total phosphorus appeared during this time (R$\^$2/=0.51, p<0.001, N= 1088). Chlorophyll-a demonstrated much stronger relationship with TP. than TN. Seasonal algal-nutrient coupling were closely related with N:P ratio in the reservoir water, and it was, in turn, dependent on the monsoon climatic condition (precipi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nd high N:P ratio, a major limiting factor of algal growth appeared to be phosphorus during this time. Unlikely TA/ST ratio, DA/SA ratio (drainage area f surface area) was likely to influence directly on the nutrient-Chl-a relationship, indicating that if storage volume and inflowing water volume were the same, algal biomass could be developed more in reservoirs with large surface area. Thus, DA/SA ratio seemed to be an important factor to affect the development of algal biomass in Korean reservoirs. With low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TP-Chl-a relationship, our findings indicated not only nutrient (phosphorus) but also other physical factors, such as DA/SA ratio, may affect algal biomass development in Korean reservoirs, where actual residence time appears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reservoir surface area rather than storage volume.

인천 H항 표층 퇴적물의 오염도 평가 (Estimation of Pollution Degree of Surface Sediment from Incheon H Wharf)

  • 김정호;남세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4-5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03월에 인천 H항의 5개 정점(S1~S5)에서 채취된 표층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COD, AVS, IL 및 중금속(Cd, Cu, Ni, Pb, Zn, Cr, Hg)을 분석하여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입도분석, 비표면적분석, XRD 및 XRF 분석을 통하여 채취된 퇴적물 시료 모두 거의 동일한 산화물과 광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기준으로 COD, AVS 및 IL 세 항목의 총점에 대한 오염도는 S2, S3, S5 지점은 2등급으로 S1, S4 지점은 3등급으로 평가되었다. 중금속 오염의 경우 Cd, Ni, Pb은 USEPA 기준으로 중간오염에 해당하였고, Cu, Zn 및 Cr은 심한오염으로 분류되었다. 농집지수를 이용한 오염도 평가결과 Cd가 Class 3으로 평가되었고, 농축계수를 이용한 평가결과 모든 지점에서 Cd, Pb, Zn의 경우 1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농축계수는 S4지점이 3.1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저 퇴적토 내 유기성 메탄 회수를 위한 가스하이드레이트 치환기법 연구 (A Study on Gas Hydrate Replacement Method for Organic Methane Recovery in Ocean Sediment)

  • 신동현;박대원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4호
    • /
    • pp.5-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압력, 전해질, 유기물 등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 지역의 물리화학적 인자가 치환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가스 주입 시 초기 압력이 높을수록 초반 반응속도는 향상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환효율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였다. 전해질과 유기물 등의 경우 가스하이드레이트 해리 후 재생성 과정에서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실제 유기성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부존된 퇴적토를 활용한 추가 연구를 통해 국내 해저 지질특성에 적용 가능한 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궁극적으로 향후 동해 울릉 분지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매장 지역 현장 적용을 통해서 유기성 자원인 메탄을 회수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Quantification of Karanjin, Tannin and Trypsin Inhibitors in Raw and Detoxified Expeller and Solvent Extracted Karanj (Pongamia glabra) Cake

  • Panda, A.K.;Sastry, V.R.B.;Kumar, A.;Saha, S.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2호
    • /
    • pp.1776-1783
    • /
    • 2006
  • Despite being a rich source of protein (28-34%), karanj (Pongamia glabra) cake is found to be bitter in taste and toxic in nature owing to the presence of flavonoid (karanjin), tannin and trypsin inhibitor, thereby restricting its safe inclusion in poultry rations. Feeding of karanj cake at higher levels (>10%) adversely affected the growth performance of poultry due to the presence of these toxic factors. Therefore, efforts were made to detoxify karanj cake by various physico-chemical methods such as dry heat, water washing, pressure cooking, alkali and acid treatments and microbiological treatment with Sacchraromyces cerevisiae (strain S-49). The level of residual karanjin in raw and variously processed cake was quantifi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annin and trypsin inhibitor was quantified by titrametric and colorimetric methods, respectively. The karanjin, tannin and trypsin inhibitor levels in such solvent and expeller pressed karanj cake were 0.132, 3.766 and 6.550 and 0.324, 3.172 and 8.513%, respectively. Pressure-cooking of solvent extracted karanj cake (SKC) substantially reduced the karanjin content at a cake:water ratio of 1:0.5 with 30-minute cooking. Among chemical methods, 1.5% (w/w) NaOH was very effective in reducing the karanjin content. $Ca(OH)_2$ treatment was also equally effective in karanjin reduction, but at a higher concentration of 3.0% (w/w). A similar trend was noticed with respect to treatment of expeller pressed karanj cake (EKC). Pressure cooking of EKC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karanjin level of the cake. Among chemical methods alkali treatment [2% (w/w) NaOH] substantially reduced the karanjin levels of the cake. Other methods such as water washing, dry heat, HCl, glacial acetic acid, urea-ammoniation, combined acid and alkali, and microbiological treatments marginally reduced the karanjin concentration of SKC and EKC. Treatment of both SKC and EKC with 1.5% and 2.0% NaOH (w/w)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reducing the tannin content.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detoxification, dry heat, pressure cooking and microbiological treatment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substantially effective in reducing the trypsin inhibitor activity in both SKC and EKC. Based on reduction in karanjin, in addition to tannin and trypsin inhibitor activity, detoxification of SKC with either 1.5% NaOH or 3% $Ca(OH)_2$, w/w) and with 2% NaOH were more effective. Despite the effectiveness of pressure cooking in reducing the karanjin content, it could not be recommended for detoxification because of the practical difficulties in adopting the technology as well as for economic considerations.

안동·임하호 주요 유입지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및 군집안정성 분석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and Stability in Major Inflow Streams of Lake Andong and Lake Imha)

  • 유혁;이미진;서을원;이종은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20-328
    • /
    • 2016
  • 안동호와 임하호 주요 유입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및 군집안정성을 파악하고자,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안동호 유입수계는 다양한 미소서식처가 조성되어 있고, 하상구조 또한 상대적으로 임하호 유입수계보다 다양하게 조성되어 있어 유수성 및 정수성 환경을 선호하는 분류군이 다수 출현하였다. 안동호는 깔따구류, 꼬마줄날도래 등 특정 종의 개체수 증가로 인해, 임하호에 비해 높은 우점도 및 낮은 다양도를 보였으며, 섭식기능군은 비교적 주워먹는무리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강우 등 환경요인에 의해 썰어먹는무리의 종수가 및 개체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은 모든 지점에서 붙는무리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군집안정성 분석 결과 안동호는 상대적 저항력과 회복력이 뛰어난 특성군 I 그룹에 속하는 종들의 출현율이 61.3%로 임하호 59.1%보다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 저항력과 회복력이 약하고 비교적 수환경이 안정적인 곳에서 서식하는 특성군 III 그룹에 속하는 종들의 출현율은 안동호에서 15.1%로, 임하호(20.5%)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화학적 수질 분석 결과, 수온이 낮을수록 용존산소량은 높게 나타났고, pH와 전기전도도는 토양수분의 염류이온농도가 높아져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차 조사시 강우에 의해 유입된 점 및 비점오염원의 영향으로 BOD와 SS는 감소, COD, T-P는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전기전도도 및 T-N이 종수 및 개체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하천 인근 유역의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과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생생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활하수와 유기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질화세균의 계절적인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Nitrifying Bacteria in Agricultural Reservoir)

  • 이희순;이영옥
    • 생태와환경
    • /
    • 제35권3호통권99호
    • /
    • pp.152-159
    • /
    • 2002
  • 농업용 저수지로 축조된 문천지에서 질소순환에 관여하는 질화세균의 연중변화를 현장그대로의 세균상을 반영하는 FISH법으로 정량분석하였다. 아울러 질화세균군의 계절적인 변화와 이화학적인 환경요인과의 상관성을 규명해보기 위해 수온,pH,용존 유기물(DOC),chi-a등이 측정되었다. 총세균수는 정점 1에서 3월에 급격히 상승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점간의 큰 차이가 없이 $0.8{\sim}1.5{\times}10^6\;cells/ml$ 범위에서 변화하였고 eubacteria의 총세균수에 대한 비율는 $44.9{\sim}79.5%$, 질화세균이 eubacteria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0{\sim}7.4%$에 그쳤다. 암모니아산화세균은 큰 계절적인 변동이 없이 $1.1{\sim}3.0{\times}10^4\;cell/ml$범위에서 변화한 반면에 아질산산화세균은 정점에 관계없이 겨울철에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1.3{\sim}5.7{\times}10^4\;cells/ml$).또한 암모니아산화세균보다 아질산산화세균이 대체적으로 더 많은 개체수를 나타냈다. 아울러 이화학적인 환경요인 중, 수온은 총세균수와 양의 상관성 (r=0.355, p<0.05), 그리고 아질산산화세균과는 음의 상관성 (r= -0.416, p<0.05)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아질산산화세균은 pH와도 음의 상관성 (r= -0.568,p<0.01)을 나타냈다. 아울러 DOC는 총세균수(r = 0.586,p<0.000),  eubacteria (r = 0.448, p<0.01)와 긴밀한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천지에서는 수온, DOC 그리고 pH가 수계 세균군집구조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ISH법은 느리게 성장하는 질화세균군을 정량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기법으로 평가된다.기간동안 강우의 빈도 및 강도는 하천의 육수학적 현상 변화와 패턴에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며, 이는 동아시아몬순기후대에 속하는 하천들에서 유사하게 발생하는 하천의 중요한 특성으로 사료된다.다. 정화효율과 수리학적조건간의 상관계수($R^2$)는 수리학적 체류시간과 0.016-0.731,일처리유량과는 0.015-0.868을 나타내었으며, 시간당 정화량과 수리학적 조건간의 상관계수($R^2$)는 수리학적 체류시간과는 0.173-0.763,일처리유량과는 0.209-0.770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정화효율과 수리학적 부하조건간의 상관계수($R^2$)Tt 0.5 이상을 나타내는 각 수생식물 습지별 수질항목은 체류시간과 일처리유량에 대해각각 20%,정화속도와 수리학적 조건간의 상관계수는 체류시간에 대해 53%, 일처리유량에 대해73%가 0.5이상을 보이고 있어 시간당 정화량과 수리학적 조건간의 상관관계가 정화효율과의 상관관계보다 좀더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이것은 높은 수리학적 부하조건이 영양염류 등의 정화효율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비교적 낮은 농도의 영양염류를 가지고 있고, 많은 처리수량을 요구하는 부영양화된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높은 수리학적 부하조건에서 시간당 정화량을 늘리는 관리방법이 경제적이며, 이에 초점을 맞추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도로 검출되어 이를 고려한정수공정의 관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yr^{-1}$)의 71%가 감소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여름철 심층 산소 고갈이 야기되었고, 이 시기에 퇴적물로 용출된 인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이용될 수 있기때문에 퇴적물에 대한 관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rsity)지수는 2000년 7월에 2.22로 가장 높았으며, 생물량도 조사기간중 36,640 cells ${\cdot}\;mL^{-1}$로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