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wedg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8초

The effect of lateral wedge on postural sway in Parkinson's disease

  • Yoon, Ji-Yeon;Park, Jinse;Park, Kang Min;Ha, Sam Yeol;Kim, Sung Eun;Shin, Kyong Jin;Kim, Si Eun;Jo, Geunyeol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0권1호
    • /
    • pp.31-35
    • /
    • 2018
  • Background: Although postural instability is one of the major symptoms of Parkinson's disease (PD), dopaminergic treatment is ineffective for treating postural instability. Recent reports have shown that somatosensory deficit is associated with postural instability, and that somatosensory input improved postural in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teral wedges for quiet standing postural control in people with P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stood on a force plate under two conditions (wedge and no wedge) with or without having their eyes open or closed. The center of pressure (COP) range and velocity were analyzed using a two-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range and velocity of COP in the anterioposterior and mediolateral (ML) directio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atients stood on the lateral wedge with their eyes closed (p < 0.05). The range in ML direction and velocity in both directions of CO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ir eyes were open (p < 0.05). Conclusions: Regardless of vision, standing on lateral wedges improved postural sway in people with PD.

밀착성 외측 쐐기 스트랩 깔창이 내반슬 골관절염 환자의 대퇴경골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morotibial Angle of a Contact Lateral-Wedged Insole with Strapping in Patients with Varus Deformity Osteoarthritis of the Knee)

  • 이상용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0
    • /
    • 2006
  • The purpose are to assess the efficacy of a contact lateral-wedged insole with strapping on the femorotibial angle in patients with varus deformity osteoarthritis of the knee after treatment period. 25 out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OA) were randomized to be treated with a contact lateral-wedge insole with strapping. Standing radiographs were used to analyze the femorotibial angle for each subject. The result of repeated two-way ANOVA's reveled that a contact lateral-wedged insole with strapping produce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femorotibial angle between groups after treatment period (P<0.05). and repeated one-way ANOVA's reveled that it produce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femorotibial angle between experimental groups after treatment period (P<0.05). We suggest that these results may be beneficial for manufacturing foot orthotic devices, such as wedged insoles, to control medial and later compartment forces in the knee varus-valgus deformity.

  • PDF

유방암 환자에서 가상 쐐기모양 보상체의 선량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ose Distribution using Virtual Wedge in Breast Cancer)

  • 윤상모;김성규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1호
    • /
    • pp.7-12
    • /
    • 2007
  •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치료에서 유방의 모양에 따른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두께의 차이 때문에 적절한 선량분포를 얻기 위해서는 쐐기모양 보상체가 필수적으로 이용된다. 유방보존절제술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들을 방사선치료 할 때 일반적으로 비껴방향 치료방법으로 치료를 한다 비껴방향 치료방법에서 중심 쪽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치료하는 빔에서는 쐐기모양 보상체에 빔이 일차적으로 부딪칠 때 저에너지의 방사선이 발생하여 피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때 피부에 조사되는 저 에너지 방사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상 쐐기모양 보상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이 보유하고 있는 Eclipse 치료계획장치에는 가상 쐐기모양 보상체로 치료계획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저자들은 본원이 갖고 있는 실제 쐐기모양 보상체 15도, 30도, 45도, 60도와 가상 쐐기모양 보상체 15도, 30도, 45도, 60도의 선량분포 특성을 비교하여 유방암 환자에서 가상 쐐기모양 보상체의 임상 적용 타당성을 살펴본 결과 치료면적 $10{\times}10cm$의 대칭도의 비교에서 쐐기의 각도에 따른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치료면적의 크기에 따른 각각의 쐐기 각도에 대한 투과율의 특성에서 대칭도의 비교는 거의 선형적으로 변함을 볼 수 있어 가상 쐐기의 임상적용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방암 방사선치료에서 Field-in-Field (FIF) 기법의 조사면 주변 선량 분석 (Evaluation of Surface Dose for Field-in-Field (FIF) Technique in Breast Radiotherapy)

  • 조일훈;김대홍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851-85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종속조사면 병합 (Field-in-Field, FIF) 방식을 이용하여 유방암 방사선 치료에서 조사면 주변 표면선량 감소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사선 조사를 위해 선형가속기를 사용했으며, 조사면 주변 선량은 유리 선량계로 측정하였다. SSD는 90 cm, 조사면은 10 × 10 cm2, X-선 에너지는 각각 6 MV와 10 MV를 사용했다. FIF 방식의 표면선량과 비교를 위해 금속쐐기(Physical Wedge, PW)와 동적쐐기(Dynamic Wedge, DW) 방식에서 선량을 측정하였다. PW와 DW 방식에서 각각 15°와 30°의 쐐기 각도를 사용하였다. 표면선량은 조사면 중심부에서 각각 1 cm, 3 cm, 5 cm 지점에서 측정하였다. 표면선량 분석 결과 FIF는 P W와 DW와 비교하여 치료 빔의 에너지, 쐐기 각도, 선량 측정 위치에 관계없이 모두 낮은 표면선량 값을 보였다. FIF는 유방암 치료에서 조사면 주변부 선량을 낮출 수 있으므로 표적에 균등한 선량 분포 획득뿐 만 아니라 방사선 빔에 의한 2차 장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체와 유전체가 복합된 쇄기에 의한 E-편파된 전자파의 회절, I: 물리광학해 (E-polarized electromagnetic diffraction by a composite wedge, I: physical optics solution)

  • 김세윤;김상욱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2A권8호
    • /
    • pp.39-46
    • /
    • 1995
  • A complete form of physical optics solution to the E-polarized diffraction by a composite of conducting and dielectric wedges is obtained by sum ov geometrical optics solution and edge-diffracted field. The diffraction coefficients of the edge-diffracted field are expressed in series of cotangent functions. The electric field patterns of the physical optics solution are plotted in figures.

  • PDF

변조된 입사파의 쐐기에 의한 산란 (Nonlinear Diffraction of Incident Waves with Side-band Disturbances by a Thin Wedge)

  • 지원식;최항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5-53
    • /
    • 1991
  • 본 논문에서는 변조된 입사파의 쐐기에 의한 비선형 산란을 해석하였다. 쐐기의 목이 작다고 가정하여 포물형 근사를 도입하여 문제를 단순화시켰다. 이 문제에는 척도가 서로 다른 시간 및 공간 변수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척도 전개기법을 이용하였다. 비선형 산란파의 전개식은 일종의 3차 Schrodinger 방정식으로 기술할 수 있음을 밝혔는 데, 이 식에는 군속도로 진행하는 선형시간전개항, 선형측면분산항 그리고 3차 비선형항이 포함되어 있다. 유한차분법을 사용하여 수행 한 수치 계산의 결과에 의하면 산란파는 비선형항이 클 수록 그리고 변조비가 작을 수록 불안정해지며, 초기에 형성되는 스템파는 곧 여러 개의 파성분으로 분리되어 시간에 따라 변동한다. 전반적으로 보아 산란파의 전개에는 비선형항이 지배적인 인자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PDF

금속쐐기와 기능강화동적쐐기의 조사야 주변부 선량 비교 (A Comparison of Peripheral Doses Scattered from a Physical Wedge and an Enhanced Dynamic Wedge)

  • 박종민;김희정;민제순;이제희;박찬일;예성준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3호
    • /
    • pp.107-117
    • /
    • 2007
  • 방사선 방호의 측면에서 기능강화동적쐐기가 금속쐐기에 비하여 가지는 이점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쐐기에서 산란되는 조사야 주변부 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2D Array를 사용하였고 장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값과 치료계획장치에서 계산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15^{\circ},\;30^{\circ},\;45^{\circ},\;60^{\circ}$의 금속쐐기와 기능강화동적쐐기를 사용하였을 때에 선원표면간거리를 80 cm에서 90 cm로 변화시키며 조사야 주변부의 선량백분율을 측정하였다. 광자선의 에너지는 6 MV와 15 MV를 사용하였다. 측정은 0.5 cm 깊이에서 조사야 경계로부터 1 cm부터 5 cm까지 1 cm 간격으로 이루어졌다. 열형광선량계를 사용하여 절대 선량을 측정하였다. 2D Arra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경우, 기능강화동적쐐기를 사용하였을 때의 조사야 주변부 선량백분율($1.4%{\sim}11.9%$)이 금속쐐기를 사용하였을 때($2.5%{\sim}12.4%$)에 비하여 낮았다. 15 MV의 에너지를 사용했을 경우에 6 MV의 에너지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조사야 주변부 평균 선량백분율이 2.9% 높았다. 선원표면간거리가 80 cm일 경우에 90 cm일 경우보다 선량백분율의 차이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쐐기의 Heel 방향의 선량백분율이 Toe방향의 선량백분율보다 평균적으로 0.9% 낮았다.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한 절대 선량 측정에서도 2D Array를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와 합치하는 결과가 나왔다. 기능강화동적쐐기는 임상에서 조사야 주변부의 정상조직에 불필요하게 산란되어 전달되는 선량을 감소시켜준다. 이러한 이점은 쐐기의 각도가 증가하고 선원표면간거리가 감소할수록 더욱 부각된다.

  • PDF

Comparison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the Deep Squat Exercise Using Various Tools

  • Park, Jun Hyeon;Lee, Jong Kyung;Park, Ji W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4권2호
    • /
    • pp.63-67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ssistance tools such as gym balls, wedges, and straps 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the increase in the range of motion made possible by the use of these tool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group capable of deep-squatting (PS) and the second finding it impossible or having difficulty in performing such squats (IS). Methods: Twenty-thre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measure the muscle activation of the rectus femoris (RF), vastus medialis (VM), and tibialis anterior (TA) muscles during deep squats, normal squats (NS), gym ball squats (GS), wedge squats (WS), and strap squats (SS). A motion analysis system was used to measure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during each of these exercise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F muscle activity between the possible squat (PS) and the impossible squat (IS) groups in the G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F and TA muscle activity between the groups in the WS. Both the PS group and the IS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A muscle activity depending on the tool use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s between the intervention methods using NS and those using the tools. Conclusion: In both groups, the muscle activity of the TA muscles was lower when GS, WS, and SS were performed compared to NS. In addition, compared to NS,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increased when the three tools were used. This study shows that the activity of the RF, VM, and TA muscles decreased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increased during deep squats for both the PS and IS groups when tools were used.

유방암 수술기법에 따른 방사선치료계획 기법의 선택 (Selection of radiation treatment plan technique at breast cancer operating technique)

  • 김정호;배석환;김기진;유세종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5-130
    • /
    • 2015
  • Techniques, using physical wedge filter and using dynamic wedge filter and FIF(Field in Field) and ISCT(Irregular Surface Compensating Technique),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progress of radiation therapy of breast cancer. Measurement of dose was done to judge the usefulness of technique using three cases, non tissue loss after breast conserving operating and tissue loss after breast conserving operating and mastectomy. Dose indexes of breast tissue, CI (Conformity Index), HI (Homogeneity Index) and QOC (Quality of Coverage), dose index of skin, or dose indexes of lung, volume of 50 percent dose and 20 percent dose were estimated and compared. Using dynamic wedge filter is useful plan at non tissue loss allowing for high dose of lung. FIF and ISCT are useful plan at tissue loss. ISCT is useful plan at mastectomy. Henceforth, we need to apply to valid plan and body type and thorax size.

선량계측인자에 따른 기능강화동적쐐기와 금속쐐기의 비교 (Comparison of Enhanced Dynamic Wedge with Physical Metal Wedge based on the Basic Dosimetric Parameters)

  • 이정우;홍세미;최경식;정진범;최보영;장홍석;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6권2호
    • /
    • pp.70-76
    • /
    • 2005
  • 기능강화동적쐐기는 쐐기 형태의 선량 분포를 만드는 방법과 선량 특성적인 면에서 금속쐐기와 상당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기능강화동적쐐기의 임상적용을 위해서는 금속쐐기와 다른 선량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커미셔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본 선량계측인자에 기초한 기능강화동적래기와 금속쐐기의 선량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선량 계측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심부선량분포, 조사면 주변 선량, 표면선량, 실효 쐐기인자, 쐐기의 선량측면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또한 열린 조사면과 금속쐐기와의 비교측정을 통해 기능강화동적쐐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능강화동적쐐기의 선량측면도 측정은 Chamber Array 24 (CP24)를 이용하였으며, Golden Segmented Treatment Table (Golden-577)로 구현한 치료 계획 장치의 계산 값과 비교하였다. 또한 실호쐐기인자 측정은 각각의 X, Y 콜리메이터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심부 선량 백분율측정에서 열린 조사면과 기능강화쐐기의 비교결과, $0.2\~0.5\%$ 이내로 일치하였고, 금속 쐐기인 경우 약 $2\%$의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조사면 주변선량측정에서는 금속쐐기가 약 $1\%$ 높았다. 표면선량 측정 결과, 금속쐐기가 약 $10\%$ 낮게 평가되었다 기능강화쐐기의 실효쐐기인자는 Y jaw가 커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X jaw에 따른 쐐기인자 의존도 측정에서는 X jaw에 따른 의존도는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비대칭 조사면의 쐐기 인자측정에서는 비대칭에 상관없이 Y jaw의 크기만 같으면 실효쐐기인자가 같았다. 선량측면도 측정에서는 CA24를 이용해 얻은 실측값과 Golden STT로 Cadplan에서 구현한 계산 값이 $1\%$이내로 일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강화동적쐐기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금속쐐기를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