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llospher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8초

한밭 수목원의 과일과 꽃으로부터 효모의 분리 (Yeasts Associated with Fruits and Blossoms Collected from Hanbat Arboretum, Daejeon, Korea)

  • 현세희;민진홍;김선아;이종수;김하근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8-182
    • /
    • 2014
  • 효모는 엽권의 중요한 서식자이지만, 효모의 분포와 역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한 형편이다. 2013년 봄과 가을에, 대전시 서구 만년동에 위치한 한밭 수목원에 식재되어 있는 각종 꽃과 과일로부터 효모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효모 집락을 PCR 방법에 의해 26S rDNA의 D1/D2 지역을 증폭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한 후, BLAST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효모를 동정하였다. 그 결과 29종의 꽃과 6종의 과일로부터, 14속 31종에 속하는 효모를 57균주를 분리하였다. 그 결과 봄과 가을, 계절에 따라서 같은 수목원에서 분리되는 효모 종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Plant Growth Substances Produced by Methylobacterium spp. and Their Effect on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L.) and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Growth

  • Ryu, Jeong-Hyun;Madhaiyan, Munusamy;Poonguzhali, Selvaraj;Yim, Woo-Jong;Indiragandhi, Pandiyan;Kim, Kyoung-A;Anandham, Rangasamy;Yun, Jong-Chul;Kim, Kye-Hoon;Sa, To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0호
    • /
    • pp.1622-1628
    • /
    • 2006
  • Bacteria from the Methylobacterium genus, called pink-pigmented facultative methylotrophic bacteria (PPFMs), are common inhabitants of plants, potentially dominating the phyllosphere population, and are also encountered in the rhizosphere, seeds, and other parts of plants, being versatile in nature. The consistent success of the Methylobacterium plant association relies on methylotrophy, the ability to utilize the one-carbon compound methanol emitted by plants. However, the efficiency of Methylobacterium in plant growth promotion could be better exploited and thus has attracted increasing interest in recent year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oculation effects of Methylobacterium sp. strains CBMB20 and CBMB 110 on seed imbibition to tomato and red pepper on the growth and accumulation of phytohormone levels under gnotobiotic conditions. Seeds treated with the Methylobacterium strain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oot length when compared with either the uninoculated control or Methylobacterium extorquens $miaA^-$ knockout mutanttreated seeds. Extracts of the plant samples were used for indole-3-acetic acid (IAA), trans-zeatin riboside (t-ZR), and dihydrozeatin riboside (DHZR) assays by immunoanalysis. The treatment with Methylobacterium sp. CBMB20 or CBMB 110 produc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accumulation of IAA and the cytokinins t-ZR and DHZR in the red pepper extracts, whereas no IAA was detected in the tomato extracts, although the cytokini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proved that the versatility of Methylobacterium as a plant-growth promoting bacteria could be better exploited.

공단지역 및 청정지역 식물 잎권의 잎표면세균 및 내산성세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Epiphytic Bacteria and Acid-Tolerant Bacteria on the Phyllosphere in the Industrial and Clean Areas)

  • 안종훈;방숙진;한남정;송왕영;황소영;이인수;박성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2-266
    • /
    • 1997
  • 산성강하물의 영향을 받는 대전공단지역과 영향을 받지 않는 청정지역인 대전 계족산 자연휴양림에서 자라는 밤나무(Castanea crenata)의 잎표면에서 서식하는 총세균수, 생존세균수, 종속영양세균수, 내산성세균수를 1996년 8월부터 1997년 8월까지 5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공단지역 잎표면 평균 총세균수, 생존세균수 및 종속영양세균수는 각각 $9.9{\times}10^5cell/cm^2$, $1.6{\times}10^6cell/cm^2$, $7.1{\times}10^3cfu/cm^2$로서 청정지역에 비하여 각각 1.5배, 2배, 2.6배 정도로 관찰되었다. MPN법으로 측정한 pH 5.6에서의 잎표면 내산성세균수는 공단지역 $3.3{\times}10^4$, 청정지역 $3.4{\times}10^4MPN/cm^2$로 거의 같았고, pH 4.0에서의 내산성세균수는 공단지역에서 $1.9{\times}10^{-1}MPN/cm^2$인 반면 청정지역세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pH 3.0에서의 내산성 잎표면세균수는 공단지역과 청정지역의 잎권 어느 곳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계절별 잎포면세균수의 분포는 대체로 잎이 나기 시작하여 크기가 가장 작은 5월에 최대를, 그리고 낙엽이 지는 11월에 최소를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공단지역의 대기오염물질의 침적이 주변의 식물 잎표면 세균수를 감소시키지는 않으며, 특히 산성강하물의 영향으로 내산성세균수가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Bacillus spp. 엽면살포에 의한 가로수 및 고추의 병 방제 (Disease Management in Road Trees and Pepper Plants by Foliar Application of Bacillus spp.)

  • 정준휘;류충민
    • 식물병연구
    • /
    • 제22권2호
    • /
    • pp.81-93
    • /
    • 2016
  • 식물생장촉진세균은 식물의 생장과 수확량을 촉진하고, 식물병에 대한 유도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 연구의 목적은 가로수와 고추의 엽면에 엽권정착 식물생장촉진세균을 처리하여, 식물생장촉진세균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였다. 수목의 엽권에서 내생포자 형성 세균 1,056개 균주를 분리하여, protease, chitinase, lipase를 포함한 효소활성과 진균병인 C. graminicola와 B. cinerea에 대한 길항작용을 측정하였다. 1차 선발된 bacilli 14개 균주를 고추의 잎에 살포하여 엽권정착능을 시험하였다. 5B6, 8D4, 8G12 단독처리와 그 혼합처리군을 고추 엽면에 살포하여 생장촉진, 수확량증진, 병방제 효과를 고추 포장에서 관찰하였다. 대량배양을 통하여 선발된 균주를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일대의 가로수에 살포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엽록소함량과 잎 두께가 증가하였다. 선발된 3개 균주를 수목에 엽면살포했을 때, 벚나무 진균성갈색무늬구멍병을 저해하였고 은행나무의 낙엽생성을 촉진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엽권정착세균의 엽면살포를 통하여 가로수와 고추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식물병을 방제하는 엽권정착세균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벼(Oryza sativa L.)의 잎 면으로부터의 IAA를 생성하는 Methylotrophic Bacteria의 분리 선별 및 특성 비교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AA Producing Methylotrophic Bacteria from Phyllosphere of Rice Cultivars(Oryza sativa L.))

  • 이규회;;김충우;이형석;;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5-244
    • /
    • 2004
  • 국내 3지역으로부터 수집한 19종의 벼 잎에 서식하는 methylo-trophlc bacteria의 군집성을 비교하였다. Methanol에 따른 특징적인 생장을 나타내는 분홍색 색소를 띤 19개의 균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이들 균체들은 Bergey의 방법에 따라 각각 생리, 생화학적 특성들을 조사 하였으며, 표현형들은 37가지의 특성들을 계통분석법을 통해 명찰히 구분하여, 최종 별개의 4군(cluster)으로 분리하였다. 대조균주인 M, extor벼둔 AM1과 M. fujisawaense KACC10744는 각각 IV군과 III군에 속해있다. I군에 속해있는 균체들은 nitrate의 환원을 근거로 하여 구분하였으며, 4개의 분리균주는 NaCl 0.5M 농도까지 염에 대한 내성을 보였다. I군과 III군의 균체들은 탄소원으로 methane을 이용하는 특성을 가졌으며, 4군의 대부분의 균체들은 탄소원으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를 이용하였다. L-tryptophan의 존재 하에 모든 균체들의 indole-3-acetlc aclu (IAA) 생성 실험에서는 선별균체 중 8균체만이 IAA를 생성하였다. 게다가 배지의 질소원은 IAA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질소원으로 $(NH_4)_2SO_4$를 이용하였을 때 IAA 생성은 최대 20-30배까지 증가하였으나 $KNO_3$, $NH_4NO_3$ 그리고 $NH_4$ CI을 질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IAA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선별된 methylo trophic bacteria를 뿌리에 접종한 결과 균체가 생성한 IAA 영향으로 식물체의 뿌리와 줄기의 길이 그리고 곁뿌리의 수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균주를 접종한 벼 종자의 초기 뿌리 생장은 균을 접종하지 않은 종자보다 평균 27-56% 증가하였다. 높은 농도의 IAA ($400{\mu}g\;mL^{-1}$)를 처리했을 때는 오히려 뿌리의 생장을 억제 시켰으나, $10-200{\mu}g\;mL^{-1}$ 농도의 IAA를 처리했을 때는 뿌리 생장을 촉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박테리아가 생산하는 IAA가 식물 뿌리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