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hrase Structure Grammar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djunct Roles and External Predication

  • Kim,Yong-Beom
    • Language and Information
    • /
    • v.2 no.1
    • /
    • pp.157-176
    • /
    • 1998
  • This paper claims that beneficiary adjuncts are best analyzed as involving external predication in a version of grammatical framework called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This paper also claims that verbal catefories need to include the attribute INDEX among their semantic components in order to account for the external predication proposed in this paper. This paper distinguishes between recipient and beneficiary reles and assumes that the former is a semantic argument of a verb-type relation and that the latter is an adjunct which makes a semantic contribution as a modifier. This approach achives a unified analysis of modification phenomena of nominal and verbal categories and it can also accomodate Parson's(1990) idea that a verbal category denotes a set of events, not just an event.

  • PDF

통합지식표현에 의한 자연언어처리기법 : 한글 구 구조문법

  • Jeong, Hui-Seong
    • ETRI Journal
    • /
    • v.11 no.1
    • /
    • pp.59-74
    • /
    • 1989
  • 컴퓨터에 의한 종래의 자연언어처리에서는 보통 생성과 인식과정에서 서로 다른 지식 표현과 프로그램을 쓰고, 음운처리, 형태처리, 통어처리, 의미처리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통례이다. 이것을 분할접근법(devide and conguer approach)이라 부른다. 분할접근법은 인간의 언어처리에 있어서의 생성, 인식간의 체계적 관계를 포착하지 못할 뿐 아니라 공학적으로도 갖가지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논문은 인간의 언어 생성과 인식과정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동일 심적 프로그램이 생성과정과 인식과정을 동시에 제어하고 있다는 가설에 선다. 이 가설을 취하는 것은 생성과 인식의 프로그램과 문법을 각각 통합하고 음운처리, 형태처리, 통어처리, 의미처리를 동시에 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통합접근법(unifying approach)이라 부른다. 통합 접근법은 예를 들어 구 구조문법 (Pharase Structure Grammar)과 단일화 (unification)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구 구조 문법을 이용하여 음운정보, 형태정보, 구문정보, 의미정보를 동일의 구조중에 표현할 수 있고 그 위에 이들의 정보표현을 모두 단일화에 의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단일화는 입출력의 방향을 제한하지 않으므로 생성.인식 양쪽의 문법을 얻을 수 있다. 또 단일화되는 패턴에 충족 가능한 조건을 부여함에 따라 패턴에 다양한 정보를 갖게 할 수 있으므로 처리상의 일반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처리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통합접근법을 도입한 한글기술문법 : KPSG(Korean Phrase Structure Grammer)의 선진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 PDF

Korean Learners' Interpretation of English Locative PPs with Manner of Motion Verbs

  • Kim, Jung-Tae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 /
    • v.16 no.1
    • /
    • pp.41-59
    • /
    • 2009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Korean learners' knowledge on the range of possible interpretations of English locative PPs with manner of motion verbs, and considers whether learners can arrive at a superset L2 grammar on the basis of positive L2 input. Unlike Korean, some English locative PPs occurring with manner of motion verbs (such as in John jumped on the bed) are ambiguous as they can be interpreted as either directional or locational. Thirty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three distinct groups (Advanced EFL-only group; Intermediate-EFL-only group; and ESL-experienced group)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al study, along with a control group of nine native speakers of English.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 Korean learners, overall, tended to interpret English locative PPs as only locational, failing to recognize the ambiguity between the directional and locational readings in the target structure; 2) For the learners who experienced only the EFL context, even highly proficient learners, as well as intermediate level learners, failed to acknowledge the ambiguity; 3) The learners who experienced the ESL context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could identify the target reading to some extent, although they still could not reach the native-like competence. From these results, it is argued that robustness of positive evidence, not simply its availability, is critical in the acquisition of the superset L2 targets like the present one.

  • PDF

Korean Probabilistic Syntactic Model using Head Co-occurrence (중심어 간의 공기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확률 구문분석 모델)

  • Lee, Kong-Joo;Kim, Jae-H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6
    • /
    • pp.809-816
    • /
    • 2002
  • Since a natural language has inherently structural ambiguities, one of the difficulties of parsing is resolving the structural ambiguities. Recently, a probabilistic approach to tackle this disambiguation problem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it has some attractions such as automatic learning, wide-coverage, and robustness. In this paper, we focus on Korean probabilistic parsing model using head co-occurrence. We are apt to meet the data sparseness problem when we're using head co-occurrence because it is lexical. Therefore, how to handle this problem is more important than others. To lighten the problem, we have used the restricted and simplified phrase-structure grammar and back-off model as smoothing. The proposed model has showed that the accuracy is about 84%.

Feature-based Korean Phrase Structure Grammar adjusting X-bar Theory (X-바 이론을 변형한 자질기반의 한국어 구구조 문법)

  • Park, So-Young;Hwang, Young-Sook;Chung, Hoo-Jung;Kwak, Yong-Jae;Rim, Hae-Chab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222-22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X-바 이론을 한국어에 적용하여 서로 다른 범주들간의 구조적 일반성을 파악하고, 한국어에 가능한 규칙만을 허용하여 불가능한 규칙을 배제시킬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가 비중심어간 어순이 자유롭고 기능어가 발달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중심어와 보충어 관계 중심의 기존 X-바 이론을 통사적 파생과 의미적 파생, 수식 및 하위범주의 관계를 중심으로 변형한다. 또한, 한국어의 빈번한 생략현상과 부분 자유 어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이진결합 중심의 CNF(Chomsky Normal Form)를 따른다. 제안하는 자질기반의 한국어 구구조 문법은 직관적이고 간단하면서도 대부분의 문장을 처리할 수 있을 만큼 표현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신문기사에서 454문장을 추출하여 실험한 결과, 약 97%의 문장에 대해 올바른 구문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A Design of Korean Language Parsing based on Subcategorization (하위범주화에 의한 한국어 파싱 설계)

  • Lee, Ho-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242-247
    • /
    • 2008
  • This paper discusses a design for Korean language parsing based on subcategorization. First, we discuss some important Korean grammar elements such as syntax category, josa, omi-conjugation, syntactic affix, dependent noun and also discuss subcategorization and expression patterns. Then, we show the basic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parsing process. The first stage scans the input sentence and processes article, noun phrase, numeral, josa, affix, dependent noun, adjective, omi-conjugation, adverb, auxiliary verb. The second stage deals with subcategorization patterns and expression patterns. The third stage processes the clauses and the fourth stage deals with SEA(Sentence Ending+Auxiliary).

  • PDF

한국어 합성 동사성 명사의 어휘구조와 다중 동사성명사 구문

  • 류병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1-144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Multiple Verbal Noun Construe-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 이론인 최근의 핵 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 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일본어의 유사한 현상을 분석한 Grimshaw & Mester (1988)의 격실현 양상에 관한 일반화를 기반으로 한국어 동사성명사구문의 논항실현 양상을 ‘논항전이’ (argument transfer)라는 이론적 장치를 이용해 형식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 동사성 합성명사의 논항구조를 만들기 위해 ‘논항합성’(argument composition)이라는 이론적 장치를 제안한다. 나아가서 다중 동사성 명사구문의 논항실현 과정에서 보이는 겹격표지 현상을 ‘격 복사’(case copying)를 제안해 동사성 명사의 격표지가 합성 명사에서 분리되어 문장단위에서 실현될 때 동일한 격을 복사해 실현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동과 능동 등 문법기능의 변화현상에서 하위범주화된 요소들의 격변화가 자의적이 아님을 실례를 들어 보여 주고자 한다. 일본어의 경동사 (light verbs)에 관한 분석 인 Grimshaw Meste, (1988) 이래 한국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문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Ryu (1993b), 채희락 (1996), Chae (1997) 등 참조). 한국어에서 ‘하다’와 동사성명사(verbal nouns)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사성명사구문’ (Verbal Noun Constructions)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하나의 동사성 명사가 ‘하다’나 ‘되다등 소위 문법기능을 바꾸는 ‘경동사’들과 결합하여 복합술어가 되는 문법적 현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와 비교해서 동사성 명사의 어근이 두 개 이상 결합하여 동사성명사들끼리 합성명사(compound nouns)를 이루고 그 동사성 합성명사가 문법기능의 변화를 바꾸는 ‘경동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복합술어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특히 이 지적은 핵심어주도 구절구조문법틀 내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합성 동사성명사의 논항구조와 동사성명사에 의해 하위범주화된 논항들의 문법적 실현양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