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blastic seed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설앵초의 종자 휴면과 발아특성 (Dormancy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lpine Modest Primrose (Primula modesta var. hannasanensis T.Yamaz.) Seeds)

  • 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2-377
    • /
    • 2017
  • 본 연구는 설앵초의 종 보존과 활용성 증대를 위해 종자를 이용한 대량 번식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종자는 2011년 제주도 일대에서 채종하여 정선한 다음 $4{\pm}1.0^{\circ}C$에서 건조 상태로 저장하면서 연구에 사용하였다. 종자의 크기는 $0.44{\pm}0.07{\times}0.61{\pm}0.04mm$, 1,000립중은 $51.78{\pm}0.021mg$이었으며, 미세종자로 분류되었다. 설앵초 종자의 휴면특성은 생리적 휴면(physiological dormancy)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종자는 광조건에서 발아가 되는 광발아성 종자로, 적정온도는 $20^{\circ}C$로 나타났다. $GA_3$는 조자의 휴면타파 및 발아력 향상에 크게 효과가 있었는데, 농도가 높아줄수록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GA_3$ 200~500 mg/L 처리구에서 발아율 및 발아세가 90% 이상으로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

Identification of Molecular Markers for Photoblastism in Weedy Rice

  • Lee, Hyun-Sook;Ahn, Sang-Nag;Sasaki, Kazuhiro;Chung, Nam-Jin;Choi, Kwan-Sam;Sato, Tadashi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4-150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ap gene/QTL for photoblastism in a weedy rice (photoblastic rice: PBR) using DNA markers. Light-induced effect on germination of seeds was compared among three accessions (Oryza sativa L.), PBR, Milyang 23 and Ilpum. Results showed that PBR seeds started to show photoblastism during seed development, different from Ilpum and Milyang 23. Frequency distribution of germination in the F4 lines from crosses between Ilpum and PBR and, Milyang 23 and PBR revealed bimodal distributions suggesting that photoblastism was controlled by a few genes. Bulked segregant analysis using $F_4$ populations derived from the above two crosses was conducted to identify gene/QTL for photoblastism. Two QTL were identified on chromosomes 1 and 12 explaining 11.2 and 12.8% of the phenotypic variance, respectively. Two QTL were further mapped between two SSR markers, RM8260 and RM246 on chromosome 1, and between RM270 and 1103 on chromosome 12. It is noteworthy that two QTL for photoblastism were colocalized with the QTL for seed dormancy reported in the previous QTL studies. The clustering of two genes for photoblastism and dormancy possibly indicates that these regions constitute rice phytochrome gene clusters related to germination. Because PBR has a low degree of dormancy, a pleiotropic effect of a single gene controlling dormancy and photoblastism can be ruled out. The linked markers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positional cloning of the gene.

봉래꼬리풀의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온도 조건과 화학적 처리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Conditions and Chemical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f 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diamantiacum (Nakai) T.Yamaz.)

  • 김동학;김영은;조승주;이종원;김상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81-389
    • /
    • 2023
  • 산림청 지정 희귀·특산식물 봉래꼬리풀(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diamantiacum (Nakai) T.Yamaz.)을 대상으로 광조건, 온도와 전처리에 따른 발아 특성을 조사하였다. 광조건에 따른 발아실험결과, 봉래꼬리풀은 암조건에서 전혀 발아하지 않는 광발아성 종자로 판단되었다. 봉래꼬리풀의 최적 발아온도는 최종 발아율과 발아세를 고려하여 20-25℃임을 확인하였다. 봉래꼬리풀 종자의 발아율 향상을 위해 생장조절제 3종(IAA, GA3, kinetin)과 무기염류 2종(KNO3, KCl)을 전처리하였다. 생장조절제 IAA와 kinetin은 봉래꼬리풀 종자의 발아율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GA3는 농도와 관계없이 최종 발아율과 발아세를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시켰고, 특히 20℃에서 500 mg·L-1 이상 처리한 것은 무처리구에 비해 4배 이상 효과적이었다. 무기염류 KNO3과 KCl는 저농도에서 봉래꼬리풀 종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고농도(각40 mM, 300 mM) 이상에서는 발아율과 발아세를 무처리구에 비해 1.5배 이상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원용 자생식물로 활용 가치가 있는 봉래꼬리풀의 대량증식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