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lox paniculat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Oidium sp.에 의한 풀협죽도 흰가루병 발생 (Powdery Mildew on Phlox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0-52
    • /
    • 2003
  • 2002년 경남 하동군 청암면 풀협죽도에서 흰가루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과 줄기등 식물체 전부분에 발생을 하며 병든 잎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하고, 심하게 진전될 경우 잎이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말라죽었다. 병반부에 분생포자, 분생자병이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단상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무색, 단포였다. 크기는 $24{\sim}39{\times}12{\sim}23{\m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분생자병은 $2{\sim}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크기는 $112{\sim}225{\mu}m$었다. 부착기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병반부에서 자낭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본 병원균은 Oidium sp.에 의한 풀협죽도 흰가루병으로 동정되었으며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한국에서 흰가루병에 대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의 새로운 기주 (New Hosts of Ampelomyces quisqualis Hyperparasite to Powdery Mildew in Korea)

  • 이상엽;김용기;김홍기;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83-19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1994년부터 2004년까지 73 식물체의 흰가루병균으로부터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를 308 균주 분리하였다. 그중에서 A. quisqualis의 새로운 균기주(mycohost)와 식물기주(plant host)는 38 식물체에서 흰가루병균 8 속(Erysiphe, Sphaerotheca, Microsphaera, Phyllactinia, Podosphaera, Uncinula, Uncinuliella, Oidium) 13종이 발견되었다. A. quisqualis의 새로 발견된 기주는 어수리의 흰가루병균(Erysiphe heraclei), 꽃향유의 흰가루병균(E. hommae), 콩의 흰가루병균(E. glycines), 싸리의 흰가루병균(E. lespedezae), 모시물퉁이의 흰가루병균(E. pileae), 녹두의 흰가루병균(E. pisi), 토대황과 소리쟁이의 흰가루병균(E. polygoni), 쑥의 흰가루병균(Golovinomyce artemisiae), 삼잎국화의 흰가루병균(G. cichoracearum), 꼭두서니의 흰가루병균(G. rubiae), 쥐오줌풀, 가는잎왕고들빼기, 두메담배풀, 흰까실쑥부쟁이, 수세미오이, 씀바귀, 풀협죽도, 도깨비바늘과, 담쟁이덩굴의 흰가루병균(Oidium sp.), 갈참나무의 흰가루병균(Microsphaera alphitoides), 댕댕이덩굴의 흰가루병균(M. pseudolonicerae), 쥐똥나무의 흰가루병균(Podosphaera sp.), 딸기의 흰가루병균(Sphaerotheca aphanisi), 물봉선의 흰가루병균(S. balsaminae), 국수호박, 쥬키니호박, 단호박, 관상용호박, 곰취, 가지, 박, 참외, 깨풀, 코스모스와 참취의 흰가루병균(S. fusca), 찔레꽃의 흰가루병균(Uncinuliella simulans)과 배롱나무의 흰가루병균(Uncinula australiana)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