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ics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27초

식용대두유에 대한 Phenolics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some Phenolics on Soybean Oil)

  • 조미자;권태봉;오성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1호
    • /
    • pp.37-43
    • /
    • 1989
  • 식용대두유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항산화제로서 phenolics의 항산화 효과를 mild한 조건 (67ml $O_{2}/min$, $50^{\circ}C$) 하에서 active oxygen method로 측정하였다. phenolics의 항산화 효과는 OH group의 수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ferulic acid(101.5%), quinalizarin(126.7%), sesamol(149.1%), alizarin(230.7%), fisetin(355.2%), purpurogallin(360.8%) 순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control에 비하여 각각 1.5,26.7,49.1,130.7,255.2,260.8% 증가하였다. 금속이온을 첨가할 경우 역시 항 산화효과를 나타내었으나 ferulic acid, alizarin, quinalizarin의 경우는 그 효과가 적었다. 본 실험과 같이 mild한 산화조건하에서 NMR 분석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으나 UV와 IR 분석법은 적당치 않았다.

  • PDF

산딸나무(Cornus kousa)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ornus kousa Fruit)

  • 이은호;이선호;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317-323
    • /
    • 2015
  • 산딸나무 열매로부터 phenolic compounds를 추출 후 생리활성을 검정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산딸나무 열매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물과 4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각각 7.04, 4.47 mg/g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50-200{\mu}g/mL$로 조절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84, 86%였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decolorization은 $100{\mu}g/mL$ phenolics 농도의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84%, 95%였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93와 1.82 PF로 측정되었으며, TBARs값은 $1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69%, ethanol 추출물에서 89%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34, 60%로 측정되었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29, 87%의 높은 효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만 19%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Collagenase 저해능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이 각각 53, 77%의 높은 저해력을 나타내어 주름개선효과가 높았다. 염증억제효과로서 hyaluronida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 농도의 물 추출물에서 34%의 염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산딸나무 열매추출물은 항산화, 통풍억제, 당분해 억제, 주름개선효과, 염증억제 등의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취(Aster scaber)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Aster scaber extracts)

  • 이은호;박혜진;김나현;홍은진;박미정;이선호;김명욱;안봉전;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93-401
    • /
    • 2016
  • 참취로부터 phenolic compounds를 추출 후 항산화 효과, 건강 기능성 식품 및 미용식품 활성을 검정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참취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성 물질은 물과 6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각각 11.1 mg/g, 4.18 mg/g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50{\sim}200{\mu}g/mL$로 조절하여 DPPH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87%, 91%였고, ABTS radical decolorization도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99%, 99%였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87 PF와 2.22 PF로 측정되었으며, TBARs값은 $50{\mu}g/mL$ phenolics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95%, ethanol 추출물에서 97%를 나타내었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능은 물 추출물에서 50.8%, ethanol 추출물에서 69.4%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은 $50{\mu}g/mL$ phenolics농도에서 91%, ethanol 추출물은 $200{\mu}g/mL$ phenolics농도에서 80%의 높은 효능을 보였다. ${\alpha}$-Amyl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24%, 89%로 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효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47%, 25%의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능 측정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46%, 14%로 물 추출물에서 주름 개선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참취 추출물은 항산화 고혈압억제, 통풍억제, 당분해억제,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등의 건강 기능성 식품 및 미용식품 활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Comparison of Antioxidant Potentials in Methanolic Extracts from Soybean and Rice Fermented with Monascus sp.

  • Pyo, Young-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51-456
    • /
    • 2007
  • The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ybean and rice fermented with Monascus sp. were investigated. M. pilosus IFO 480 and M. anka IFO 478 were screened as a suitable strain to promo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in soybean- and rice- fermentation. The methanol extracts from soybean and rice after fermenting for 20 days at $30^{\circ}C$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ntioxidant capacities expressed as radical (ABTS and DPPH) scavenging assay and peroxidation inhibition (%) by thiocyanate method and increased (p<0.01) by a 2.6 to 3.1-fold compared with those of the unfermented products. The average antioxidant potentials of Monascus-fermented soybean extracts (MFSE) were significantly (p<0.01) stronger than Monascus-fermented rice extracts (MFRE). A linear correlations betwee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FSE and the total phenolics content (r=0.84) and total flavonoids content (r=0.81) were observ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FSE exhibited stronger (p<0.01)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p<0.05) of phenolics than MFRE.

Investigation of Phenolic, Flavonoid, and Vitamin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Kim, Ji-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263-270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enolic, flavonoid, and vitamin constituents in the main root, root hair, and leaf of ginseng. The total individu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leaf, followed by the main root and root hair. Ferulic acid and m-coumaric acid were found to be the major phenolics in the main root and root hair, while p-coumaric acid and m-coumaric acid were the major phenolics in the leaf. Catechin was the major flavonoid component in the main root and root hair, while catechin and kaempferol were the major flavonoid components in the leaf. Pantothenic acid was detected in the highest quantity in the non-leaf parts of ginseng, followed by thiamine and cobalamin. Linolenic acid and menadione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all parts of ginseng.

청미래덩굴 뿌리에서 추출한 순차분획물의 항균활성과 성분 분석 (Antimicrobial Activity and Composition of Extract from Smilax china Root)

  • 박인호;송종호;권혁동;이원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74-584
    • /
    • 1998
  • Antimicrobial activities, extraction yield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extract from the powder of vacuum dried Smilax china root on various solvents were investigat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A rhizogenes, A. tumefaciens, C. utilis, S. cerevisiae, B. megaterium, B. subtilis and E. coli were measured by disc diffusion method. Methanol, chloroform, ethylacetate and butanol extracts exhibited poten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 megaterium and B. subtilis. Also, methanol, ethylacetate and butanol extracts had the activities against A. rhizogenes, and chloroform and ethylacetate extracts against A. tumefacciens. The extraction yields were 13.10%, 8.71%, 2.73%, 0.83%, 0.54%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ir extracts we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s of solvents. The main chemical groups of ethylacetate, methanol, chloroform and butanol extracts were 45.99% phenolics, 36.10% acids, 29.13% phenolics and 18.96% phenolics, respectively.

  • PDF

Analyses of phenolics in cigarette smoke by GC-MS with the multiple ion selction technique

  • Park, Jeen-W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71-77
    • /
    • 1982
  • Improvements in the analytical methodology used in the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al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from cigarette smoke are described. For the direct analysis of crude samples, pyridine extraction and the glass capillary column GC was used for the separation of phenolics as trimethylsilyl derivativatives. The separations of cigarette smoke on Carbowax 20M and SE-54 wall coated open tubular columns are given. Improved methodology for the routine quantitation of the identified components using the computer-controlled multiple ion selection technique of MS presented. Considerations pertaining to routine analyses of a multitude of complex smoke samples are also discussed.

  • PDF

Antioxidant contents and activities of twelve varieties of vegetable sprouts

  • Park, Hyunjeong;Shin, Youngjae;Kim, Young-Jun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07-213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ctivities of twelve vegetable sprouts (broccoli, red radish, radish, mizuna, kale, taatsai, pak choi, Chinese cabbage, turnip, rapeseed, chicory, and alfalfa).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broccoli, red radish, and radish sprout were $25.36{\pm}0.13$, $25.26{\pm}1.80$, and $25.16{\pm}1.25mg$ CE/100 g FW, respectively,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ested vegetables. Radish sprouts ha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112.42 mg GAE/100 g FW), followed by red radish and broccoli sprouts. The main polyphenols in the vegetable sprouts were epicatechin and chlorogenic acid, but they varied across sprout varieties.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for the 12 vegetable sprouts was very high (r=0.926).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as also highly correlated with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자두와인 내 폴리페놀 화합물의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 (Antioxidant and Antiviral Activities of Polyphenolics in Plum Wine)

  • 강병태;권두한;최화정;김순희;박동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91-896
    • /
    • 2008
  • 피자두와 후무사로 만든 자두와인 내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총 페놀화합물은 피자두 와인 ($478.4{\pm}5.6\;mg/L$)이 후무사 와인 ($200.6{\pm}7.5\;mg/L$)보다 2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피자두 와인 ($202.4{\pm}7.5\;mg/L$)이 후무사 와인 ($64.4{\pm}6.8\;mg/L$)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자두와인 자체의 항산화 효과를 DPPH 전자공여능으로 비교분석하였을 때 정제된 페놀화합물보다 그 활성이 크게 낮았으나, ethyl acetate로 추출한 중성 페놀화합물과 산성 페놀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은 mg/mL의 농도에서 정제된 페놀화합물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특히, 중성페놀화합물의 경우, $100{\mu}g/mL$의 농도에서 64.5%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동일 농도의 정제된 페놀화합물(chlorogenic acid 15.5%, quercetin 24.6%)의 활성보다 3배 이상 높은 값이었다. vero cell에 돼지설사바이러스(PEDV)를 감염시켜 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분석한 결과 중성 페놀화합물이 저농도 ($10\;{\mu}g/mL$이하)에서 상용 항바이러스제인 ribavirin보다 세포독성효과 (CPE)를 더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류의 페놀화합물간에는 중성 페놀화합물이 산성 페놀화합물에 비해 최대 1.5배 정도 더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고농도 ($100\;{\mu}g/mL$)에서는 ribavirin이 페놀화합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나타나지 않아 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이 바이러스 특이적인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로부터 추출한 Phenolic Compounds의 미용 식품 활성 (Beauty Food Activities of Isolated Phenolic Compound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 조재범;이은호;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3-341
    • /
    • 2016
  • 본 연구는 물과 ethanol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 추출물이 미용 식품 소재로 사용 가능한 기능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Phenolic compounds는 물 추출물에서 3.29 mg/g, 50% ethanol 추출물에서 4.14 mg/g의 결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98.45%, 50% ethanol 추출물은 91.2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활성 측정 결과 $1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97.28%, 50% ethanol 추출물은 97.0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1.77 PF의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측정 결과 $1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은 94.77%와 95.64%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과 관련 있는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은 34.96%의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는 elastase 저해 활성과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만 78.90%와 61.3%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수렴 효과를 나타내는 astringent effect에서 $200{\mu}g/mL$ phenolic compounds 농도의 ethanol 추출물은 7.8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Hyaluronidase 저해 효과 측정 결과 물 추출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81.04%의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았을 때 번행초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과 미용 식품으로서의 기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