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llinus sp.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차가버섯과 근연속간 유연관계분석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Genus Inonotus and its Related Genera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 김성윤;이재윤;김기영;박재민;김문옥;이태호;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2-157
    • /
    • 2004
  • 국내에 유통 중인 약용버섯의 분류체계 확립과 차가버섯 근연속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해 이들 버섯의 ITS 부위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약용버섯으로 주로 시판되고 있는 국내유통균주는 총 6개의 속(Phellinus, Inonotus, Sparassis, Fomes, Ganoderma, Hericium)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 기존에 잘 알려진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과 최근 들어 수입양이 급증하고 있는 차가버섯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명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으로 유통 중인 15개 제품 중 중국에서 수입되어진 한 균주(59번)가 P. pini로 확인되었으며 일본에서 수입되어진 균주(51, 52번)가 P. baumii와 P. linteus와 유사종 혹은 동일종으로 확인되었다.

Phellinus SP.의 액체배양에 의한 세포외 색소물질의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 Extracellular Pigment through the Submerged Cultivation of Phellinus Sp.)

  • 이동기;이철원;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23-30
    • /
    • 2008
  • An extracellular pigment production of three Phellinus sp. (Phellinus 421, P. linteus and P. hartigil) through submerged cultivation was investigated. The maximum brown pigment from culture broth was obtained from the precipitate by addition of 10% 1M HCI solution. This precipitate showed absorption characteristics with ${\lambda}_{max}$ of 360nm. The maximum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igment obtained at optimum medium and culture condition was 3.54 ($A_{360}$). The precipitate was fractionated by Sephadex G-75 gel chromatography, and the isolated brown pigment contained a large amount of polyphenol and the small amounts of sugar and protein. The brown pigment fraction was stable in temperature range of $30{\sim}60^{\circ}C$, pH range of $4{\sim}6$, sugar addition ranges of $1{\sim}5%$ and salt addition concentration of 3 molarity.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brown pigment by TBA method was better than that of vitamin E (${\alpha}$-tocopherol).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wo Strains of Phellinus sp.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Analysis

  • Shin, Kwang-Soo
    • Mycobiology
    • /
    • 제39권4호
    • /
    • pp.299-300
    • /
    • 2011
  • Two species of cultivated Phellinus sp. were identified as P. baumii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 analysis. The fruit bodies of the examined strains were similar to those of naturally occurring strains, having a bracket-like form, yellow-to-orange color, and poroid hymenial surfaces. The DNA sequences of ITS region of both strains showed a homology of 99% with ITS1 to ITS2 sequences of P. (Inonotus) baumii strain PB0806.

상황버섯 추출물이 정상 마우스와 cyclophosphamide로 처리된 마우스의 체액성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on the Humoral Immune Respons in Normal and Cyclophosphamide-treated Mice)

  • 표명윤;현수미;양기숙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9권3호
    • /
    • pp.194-200
    • /
    • 2001
  • Phellinus linteus (PL)-hot water extract (PL-W) or- methanol extract (PL-M) was orally administered alone (single dose of 400, 800, 1600 mg/kg; 800 mg/kg/day for 5 days) or with cyclophosphamide (CY, 20 mg/kg, i.p.) to female ICR mice. Within PL alone-treated group, WBC and plaque forming cells (PFC) to SRBC were slightly and significantly enhanced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relative thymus and spleen weights, WBC and PFC numbe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CY, whereas those values were markedly increased by the concomitant treatment of CY and PL when compared with CY administration alone. To assess the effects of PL and/or CY on the mitogen response of splenocytes io LPS, mouse splenocytes were stimulated with or without LPS in the presence of various concentration of PL and/or CY in vitro and splenocytes proliferation (SP) was measured by MTT assay. PL alone increased both SP and LPS- stimulated SP. Moreover, SP and LPS-induced SP suppressed by the treatment of CY alone were significantly restored by PL-treatment. These activities were higher by PL-M than by PL-W,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L was able to increase humoral immunity and to inhibit immunotoxicity induced by CY.

  • PDF

Identification of Some Phellinus spp.

  • Shin, Kwang-Soo
    • Mycobiology
    • /
    • 제29권4호
    • /
    • pp.190-193
    • /
    • 2001
  • Four strains of Phellinus spp. was identified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region of rDNA sequence analysi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idiocarps of all strains were effused-reflexed and hymenial surface was poroid. Hyphal system was dimitic and basidiospore was globose to ellipsoid. The amplification of ITS regions produced a DNA fragment of 500 to 780 by in all strains examined. The determined sequences were analyzed for the reconstruction of phylogenetic tree. From these results, Phellinus sp. KM-1, KM-2, and KM-4 was identified as P. hartigii, P. baumii, and P. linteus, respectively.

  • PDF

Phylogenetic Analysis of Phellinus linteus and Related Species Comparing the Sequences of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 Lee, Jae-Dong;Kim, Gi-Young;Park, Joung-Eon;Park, Hyung-Sik;Nam, Byung-Hyouk;An, Won-Gun;Lee, Tae-H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26-134
    • /
    • 2001
  • The phylogenetic tree displayed the presence of five groups in the Phellinus genus, which were distinguished based on their morphology. Most of the p. linteus appeared a cluster which was highly significant with the exception of P. linteus KACC 500122 and KACC 500411. They formed the sister taxa of P 1inteus where P. baumii, Phellinus sp. MPNU 7003, MPNU 7007, and MPNU 7010 had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lso, P. nigricans IMSNU 32024 and P. pini var, carniformans IMSNU 32031 were grouped in the same cluster with P. igniarius KCTC 6227, KCTC 6228, and P. chrysoloma KCTC 6225 extracted from the Gen-Bank database. P. torulosus IMSNU 32028 and Phellinus sp. MPNU 7011 formed a closed group, however, these species had a distant taxa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Phellinus species.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of ribosomal DNA (rDNA) including the 5.85 rDNA were determined from 24 strains of the Phellinus genus in order to analyze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 These fungi were divided into two basic groups based on their ITS length, however, this grouping was different from that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lthough various ITS sequences were ambiguously aligned, conserved sites were also identified. Accordingly, a neighbor-joining tree was constructed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 data of the conserved sites of the ITS regions and the 5.8S rDNA.

  • PDF

반응표면방법에 의한 Phellinus sp. 고체배양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Solid Culture of Phellinus sp.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강태수;강안석;손형락;강미선;임양이;이신영;정성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265-274
    • /
    • 1998
  • 목질진흙버섯(Phellinus sp.) 자실체의 인공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마련의 일환으로 자실체로부터 순수분리한 상황속의 한 균주를 이용하여 참나무 (Quercus aliena), 뽕나무(Morus alba) 및 오리나무(Alnus japonica)의 3종 톱밥기질에 따른 균사생육의 최적조건을 반응표면분석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균사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3종의 독립변수(쌀겨첨가량, 배지의 초기 pH 및 수분함량)와 그 최적값을 검토한 결과, 쌀겨첨가량은 3종의 톱밥배지 모두에서 약 30%(w/w) 첨가시에 가장 좋았으며, 수분함량은 $65{\sim}70%(w/v)$ 범위 에서 좋았다. 배지의 초기 pH는 참나무와 뽕나무에서는 $pH\;5{\sim}6$, 오리나무 톱밥배지의 경우는 pH 6에서 가장 좋았다. 균사의 생육온도는 모든 톱밥배지에서 $25{\sim}3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좋았으나, 톱밥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균사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쌀겨첨가량$(X_1)$, 배지의 초기 $pH(X_2)$ 및 수분함량 $(X_3)$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고, 균사의 생육길이를 독립변수(Y)로 하여 반응 표면분석한 결과, 참나무 톱밥의 경우, 쌀겨첨가량 31.01%(w/w), 배지의 PH 5.31, 그리고 수분함량 69.03%(w/v)에서 얻어졌으며, 이때 기대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8.32cm이었다. 특히, 쌀겨 첨가량$(X_1)$과 수분함량$(X_3)$)의 회귀계수가 높아, 이 변수들이 균사생육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뽕나무 톱밥배지의 경우, 쌀겨첨가량, 배지의 초기 pH 및 수분함량의 정상점은 각각 28.77%(w/w), 5.28및 69.8%(w/v)로, 예측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7.60 cm이었다. 오리나무 톱밥 배지의 정상점은 쌀겨첨가량 28.74%(w/w), 배지의 pH 6.04및 수분함량 66.96%(w/v)으로, 이때, 예상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5.38cm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목질진흙버섯의 균사 생육과 독립변수들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높았고, 쌀겨첨가량과 배지의 초기 pH가 수분함량보다 균사생육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목질진흙버섯의 균사 생육을 위한 최적의 톱밥 수종은 참나무(Quercus aliena)>뽕나무(Morus alba)>오리나무(Alnus japonica)의 순이었다.

  • PDF

Phellinus sp.의 분리 및 균사체의 액체배양 (Isolation and Mycelial Cultivation Submerged of Phellinus sp.)

  • 강태수;이동기;이신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57-267
    • /
    • 1997
  • 강원도 양양군 일원 야산의 뽕나무에서 자생하고 있는 상황버섯 형태의 자실체를 채집하고, 그 자실체로부터 Phellnus속의 한 균주를 분리동정하였으며, 액체배양에 의하여 분리 균사체의 대량생산을 위한 배양조건, 배지조성 및 배양장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실체는 표면이 검으며 거칠고, 갓의 안쪽은 황갈색으로 평평하였으며, 자실층이 두터웠고(5-7 cm), 말굽형으로 조직이 매우 단단하여 전형적인 상황버섯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 조직 일부를 water agar에 이식하여 순수분리한 결과, 분리된 균사체는 황갈색으로, PDA 평판배지에서 자갈색의 색소를 분비하였으며, 균사는 clamp connection을 형성하지 않았고, 많은 branch가 있었다. 또 laccase, tyrosinase 및 peroxidase activity를 가지고 있어, 본 균주는 Phellinus속의 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플라스크 배양에서 균사체 생성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은 접종비 5%(v/v), 배지액량 70 mL, 교반속도 150rpm, 초기 pH 6, 배양온도 $30^{\circ}C$ 및 배양기간은 8일이었다. 또,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최적 배지조성은 glucose 12.12 g/L, sucrose 12.12 g/L, yeast extract 11.15 g/L, malt extract 11.15 g/L, $KH_2PO_4$ 0.855 g/L 및 $CaCl_2$ 0.855 g/L 이었으며, 배양 4일 및 8일 후 균사체량은 각각 1.95 및 9.89 g/L 이었고, 최대 비생육속도 $0.020\;hr^{-1}$, 생산성은 1.25 g/L/day이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3종의 배양장치를 사용한 결과, 3 L air-lift fermentor에서 통기량 2.5 vvm으로 4일간 배양하였을 때, 약 7.5g/L의 균사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최대 비증식속도는 $0.033\;hr^{-1}$, 생산성은 1.9g/L/day로, 같은 기간내 플라스크 배양시 보다 각각 1.7 및 4.2배가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Ribosomal 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부위의 염기서열분석에 의한 Phellinus속의 계통분석에 관한 연구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enus Phellinus by Comparing the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5.8S Ribosomal DNA)

  • 정지원;김기영;하명규;이태호;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24-131
    • /
    • 1999
  • 본 실험은 진흙버섯류 7종 15균주에 대한 5.85 rDNA와 ITS 부위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종간 및 종내의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5.8S rDNA와 ITS 부위를 증폭하고자 18S rDNA의 3'말단 부위와 28S rDNA의 5'말단 부위에 두 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증폭을 행하였다. 5.8S rDNA와 ITS 부위를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 본 실험에 공시된 Phellinus속의 제균종은 크게 4개의 cluster를 형성하였다. 첫 번째 cluster는 Phellinus hartigii IMSNU 32041, Phellinus robustus IMSNU 32068로 이루어졌고, 두 번째 cluster는 Phellinus linteus KCTC 6190, IMSNU 31014, DGUM 25003, DGUM 25004, Phellinus sp. DGUM 25007, Namsan No. 1과 Phellinus weirianus IMSNU 32021, 세 번째 cluster는 Phellinus laevigatus KCTC 6229, KCTC 6230과 Phellinus igniarius KCTC 6227, KCTC 6228로 이루어졌으며, Phellinus chrysoloma KCTC 6225와 KCTC 6226이 마지막 cluster를 형성하였다. 결과적으로 ITS 염기서열의 결과만으로 볼 때 Phellinus linteus와 Phellinus weirianus는 명확하게 종 단위의 개념을 정립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정확한 분류를 위해 생리학적, 분자생물학적 인 분류방법이 첨가되어야 하며, type strain에 대한 ITS 염기서얼도 결정되어야 한다. Phellinus속의 균들에서는 ITS2부위에 비해 ITS1부위의 변이율이 높았다. ITS 염기서열은 종 구분에 유용한 도구이며, 다른 균종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Phellinus linteus와 Phellinus weirianus에서만 ITS1 부위에서 특이적인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