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se separation Inhibito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MTBE 및 상분리 억제제에 의한 가소홀의 상분리 억제 효과 (The Inhibition Effect of Phase Separation by addition of MTBE and Inhibitors in the Gasohol)

  • 이진휘;김미현;이진희;안문성;원진옥;한규성;서동호;이문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2-256
    • /
    • 2008
  • We investigated phase separation by add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TBE, to the mixtures of naphtha, ethanol and water. The phase separation temperatures of the Naphtha-Ethanol-Water solutions have dropped when the concentration of MTBE increases more. When adding IPA and IBA to the solutions of Gasoline-Ethanol and Gasoline base-Ethanol individually, IBA shows lower temperatures of phase separation than IPA, and it shows synergistic effect when mixtures of IPA and IBA is applied.

폐비닐로 개질된 아스팔트의 저장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rage Stability of Waste Vinyl-Modified Asphalt)

  • 김강산;홍영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3호
    • /
    • pp.191-198
    • /
    • 2008
  • 아스팔트 개질재로 쓰이고 있는 폴리에틸렌은 아스팔트와의 비중차와 비상용성으로 인하여 상분리가 일어난다고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분리를 억제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을 가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상분리 억제를 시도하였다. 폴리에틸렌 수지로는 폐비닐을 사용하였으며, 과산화물로는 디큐밀퍼옥사이드와 로로일퍼옥사이드를 사용하였다. 현미경상으로는 과산화물이 첨가되어 상분리가 억제되었다. 그러나 유변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아스팔트와 폴리에틸렌은(비록 폴리에틸렌이 가교된다 하더라도) 분자단위에서는 서로 섞일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계적 시험(인장강도, 마샬안정도, 동적안정도)에서는 매우 우수한 물성을 보여주어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기존의 슈퍼팔트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상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프법을 이용한 혈장 및 뇨 중 로바스타틴의 정량 (Quantitative Analysis of Lovastatin in Human Plasma and urine by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최혜진;김명민;최경업
    • 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73-479
    • /
    • 1998
  • Lovastatin (LOVA), a fungal metabolite isolated from cultures of Aspergillus terreus, is a competitive HMG-CoA reductase inhibitor used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hyper cholesterolemia, and has also been shown to suppress growth in a variety of non-glioma tumor cell lines. A sensitive reversed-phase high-perfonn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with ultraviolet (UV) absorbance detection has been developed to quantitate LOVA in human plasma and urine samples using liquid-liquid extraction procedure. Baseline separation of LOVA and internal standard, simvastatin was achieved on a Novapak $C_{18}$ analytical column with a mobile phase containing 0.025M $NaH_2PO_4$: CAN (35:65, v/v%), adjusted pH to 4.5. The flow rate was set at 1.5ml/min, and the column effluent was monitored by a UV detection at 238nm. The limit of quantification was determined to be 0.5${\mu}$g/ml while extraction efficiency of LOVA ranged from 73.4-82.9% at LOVA concentrations of 0.5 to 10${\mu}$g/ml. Good linearit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greater than 0.999 was obtained in the range of LOVA concentrations from 0.5 to 10${\mu}$g/ml. The accuracy and the precision were proven excellent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 and relative error (RE, %) of less than 4.2 and 4.0, respectively. Intraday precision, evaluated at five LOVA concentrations (0.5, 1, 2, 5, 10${\mu}$g/ml) and expressed as RSD ranged from 0-1.82% while the interday precision at the same concentrations ranged from 0.7-10.5%. The analytical method described was then successfully employed for the determination of LOVA concentrations in plasma samples obtained during a phase II clinical trial using high doses of LOVA (30-40mg/kg/day). This method could be further utilized for the ongoing pharmacolkinetic studies and therapeutic drug monitoring of the high-dose LOVA therapy in adenocarcinoma patients.

  • PDF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으로부터 발효 저해물질의 제거를 위해 에멀젼형 액막법의 적용 (Application of Emulsion Liquid Membrane to Removal of Fermentation Inhibitors from Simulated Hemicellulosic Hydrolysates)

  • 이상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457-462
    • /
    • 2015
  •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은 당은 물론 카르복시산, 푸란유도체 및 페놀화합물과 같은 여러 종류의 에탄올 발효 저해물질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저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분리 기술로서 에멀젼형 액막법이 적용되었다. 기본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은 당인 자일로스, 용매인 묽은 황산 수용액과 카르복시산인 초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푸란유도체인 푸르푸랄 또는 페놀화합물인 p-hydroxybenzoic acid(HBA)가 그 가수분해액에 추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모든 에멀젼형 액막계에서 약산인 초산과 HBA는 선택적으로 제거가 가능하였지만, 알데히드인 푸르푸랄은 상당히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기본 모사 가수분해액에 HBA가 추가된 에멀젼형 액막계에서 추출제로 tributyl phosphate를 사용하여 원료상에 있는 초산과 HBA를 99%까지 동시에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