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rmacist Remuner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건강보험 약국 급여비 분석과 약국 유형화 연구 (Variations in Pharmacy Payment of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a New Taxonomy of Community Pharmacies)

  • 정채림;최상은;이화영;김진이
    • 약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63-69
    • /
    • 2013
  •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pharmacy remuneration levels stratified by the number of prescriptions dispensing and the type of nearby medical facilities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database, and to classify community pharmac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Claims data of all community pharmacies were extracted from the Korean NHI database from January 1 to June 30, 2010. A total of 14,985 pharmacies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The remuneration amounts per pharmacist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prescription dispensing, and varied by the type of nearby medical facilities where more than 90% of prescriptions dispensed at the pharmacy are issued from. We classified pharmacies 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cription dispensing and the type of nearby medical facilities; (1) pharmacies with equal to or less than 200 prescriptions per month per pharmacist, (2) pharmacies near a general hospital, (3) pharmacies near a regular hospital, (4) pharmacies near a clinic, (5) pharmacies near multi clinics, and (6) pharmacies that do not belong to the above types. Compared to pharmacies near a clinic or multi clinics, pharmacies near a general hospital showed a lower number of prescription dispensing per pharmacist, but the income from dispensing fees was higher (p<0.05). The new taxonomy of community pharmacies can be a useful basis for further policy development in pharmacy remuneration system.

국외 약사서비스 지불보상체계 현황 : 일본,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the Reimbursement for Pharmacist-provided Health Care Services in Japa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 박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12-728
    • /
    • 2022
  • 세계적으로 노인인구 급증으로 병용약물이 늘어나고,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질병 상태의 해소를 위한 약물사용이 늘어나고 있어, 약물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 약사의 전문지식에 대한 기대 및 요구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지난 2009년부터 기존 4년 교육이 아닌 6년제로 약학대학의 학제를 개편하였으며, 고도화된 약료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준비된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국민건강보험 급여체계는 여전히 전통적 약사의 역할인 조제를 중심으로 산정되어, 약사가 제공하거나 제공 가능한 서비스와, 실제로 지급되는 보상급여 간 극심한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료서비스 지불보상제도의 국제적 동향을 비교분석하여, 현행 한국의 지불보상체계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한국과 일본, 영국 및 미국의 약사서비스 지불보상정책 및 관련 문헌을 검토한 결과, 일본, 영국 및 미국의 시스템은 환자중심의 약료서비스에 대해 제도적으로 구체적이고 다양한 지불수단을 마련하여 보상하고 있으나, 한국의 약국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조제관련 행위만 보상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국내 약료서비스의 발전을 구조적으로 저해하는 결과를 낳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안전한 약물사용을 위한 환자중심 약료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국내 지불보상체계가 인정하는 약료서비스의 범위를 확대하고 관련 서비스의 종류를 다양화하여 국내 약사급여제도를 개선시켜나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