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lange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1초

Hyperbaric oxyge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 crush injury of the hand: a case report

  • Neto, Pedro Henry;Ribeiro, Zamara Brandao;Pinho, Adriano Bastos;Almeida, Carlos Henrique Rodrigues de;Maranhao, Carlos Alberto de Albuquerque;Goncalves, Joaquim da Cunha Campos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5권3호
    • /
    • pp.209-214
    • /
    • 2022
  • We describe a case of hyperbaric oxygen therapy (HBOt) as an adjunct to treatment of a crush injury to the hand. A 34-year-old male paramedic was involved in a motor vehicle accident and admitted for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He sustained a crush injury to his right hand and presented with significant muscle damage, including multiple fractures and dislocations, an avulsion injury of the flexor tendons, and amputation of the distal phalanx of the little finger. He underwent reconstructive surgery and received HBOt over the following days. In the following 2 months, he lost the distal and middle phalanges of the little finger and recovered hand function. Posttraumatic compartment syndrome responds well to HBOt, which reduces edema and contributes to angiogenesis, as well as promoting the cascade of healing events. High-energy trauma causes massive cell destruction, and the blood supply is usually not sufficient to meet the oxygen demands of viable tissues. Hyperbaric oxygenation by diffusion through interstitial and cellular fluids increases tissue oxygenation to levels sufficient for the host's responses to injury to work and helps control the delayed inflammatory reaction. HBOt used as an adjunct to surgical treatment resulted in early healing and rehabilitation, accelerating functional recovery. The results suggest that adjunctive HBOt can be beneficial for the treatment of crush injuries of the hand, resulting in better functional outcomes and helping to avoid unnecessary amputations.

유기수은 노출로 인한 흰쥐 태자골격성장 지연에 대한 마늘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Korean Garlic Juice against the Toxicity of Methyl Mercuric Chloride (MMC) in Relation to Fetal Ossification in Pregnant Fischer-344 Rats)

  • 이진헌;박경렬;김대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1-169
    • /
    • 2008
  • This study evaluates the protective effects of Korean garlic juice against the toxicity of methyl mercuric chloride (MMC) in relation to fetal ossification in pregnant Fischer 344 rats. This study has as its basis, both theory and data that neutral amino acids in garlic juice have protective effects against mercury poisoning. Pregnant rats were dosed in various combination with 20 mg MMC/kg body wt. and 0.5 or 1.0 garlic juice/kg body wt. on the 7th day of gestation. Fetuses were extracted from the dams on 20th day of gestation, and the fetal bones were stained and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Fetal body weights, body lengths, and head length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s much as 23.5%, 21.3%, 15.5% respectively in 20 mg/wt kg methyl mercuric chloride groups (p<0.05). But in the garlic treated groups, they were almost similar to the controls. 2. The ossification cente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s much as 35.1% in pelvic phalanges, 53.5% in pectoral phalanges, 74.1% in ternebrae, 76.2% in tail in 20 mg/wt kg methyl mercuric chloride groups (p<0.05). But in the garlic treated groups, the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s much as $81.2{\sim}88.7%$ and $94.8{\sim}98.9%$ of controls. 3. The ossified pectoral girdl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s much as 66.6% in clavicle, and in other areas $74.2{\sim}87.4%$ in the 20 mg/wt kg methyl mercuric chloride groups (p<0.05). But in the garlic treated groups, the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s much as $81.2{\sim}88.7%$ and $94.8{\sim}98.9%$ of the controls. 4. The ossified pelvic girdl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s much as 57.1% and 56.1% in two ischium, $67.2{\sim}81.7%$ in metacarpals in the 20 mg/wt kg methyl mercuric chloride groups (p<0.05). But in the garlic treated groups, the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s much as $67.0{\sim}85.6%$ and $90.1{\sim}98.7%$ of the controls. 5. The ossified terenebrae were unchanged or significantly decreased; 0.0% in 5th, 54.1% in 1st, 83.9% in 2nd, 75.0% in 3rd, 72.7% in 4th, 79.8% in 6th of 20 mg/wt kg methyl mercuric chloride groups (p<0.05). But in the garlic treated groups, the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s much as $29.5{\sim}55.1%$ and $54.5{\sim}84.0%$ of the controls. 6. The ossified rib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s much as $8.3{\sim}18.0%$ in 20 mg/wt kg methyl mercuric chloride groups (p<0.05). But in the garlic treated groups, the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s much as $87.1{\sim}93.5%$ and $96.3{\sim}99.7%$ of the controls. In conclusion, Korean garlic juice significantly protected against the toxicity of MMC in relation to the fetal ossification in pregnant rats.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아의 증례 보고 (CLEIDOCRANIAL DYSPLASIA : CASE REPORT)

  • 박영옥;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2-380
    • /
    • 2004
  • 쇄골두개 이형성증은 골격과 치아 이상을 동반하는 선천성 질환으로서 다수의 조직과 장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배엽성 기능장애이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에서 일반적인 골격 결함은 두개 봉합과 천문의 지연 폐쇄, wormian bone, clavicle aplasia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장골, 지골, 척추, 골반 등의 전체 골격 뿐 아니라 근육, 중앙 신경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구강내 특징으로 유치의 만기잔존, 다수의 과잉치, 미맹출된 영구치, 낭 형성 등이 나타난다. 그러나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아의 경우 정신적 및 신체적으로 특별한 이상을 나타내지 않아 스스로 질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의 결과유치 탈락 후 영구치의 미맹출로 인하여 저작 및 심리적인 문제가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쇄골두개 이형성증은 조기진단이 필요하며, 적절한 시기에 과잉치 제거 및 영구치 맹출을 유도하는 치료를 시행하여 저작기능의 회복 뿐 아니라 환자의 안모도 개선시킬 수 있어야 한다.

  • PDF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아의 구강내 증상과 치료 전략 (ORAL MENIFESTATION AND TREATMENT STRATEGIES IN CLEIDOCRANIAL DYSPLASIA)

  • 박희숙;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56-463
    • /
    • 2009
  • 쇄골두개 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은 안면, 두개골, 쇄골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는 증후군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거나 유전적 요인 없이 돌연변이에 의해 야기된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의 일반적 소견은 두개 봉합과 천문의 지연 폐쇄, 편측이나 양측성으로 쇄골의 형성 장애, 상대적으로 커진 이마에 의해 상악골이 함몰된 것처럼 보이는 안면 형태가 특징적이다. 구강내 소견으로는 유치의 만기 잔존, 그로 인한 영구치의 맹출 지연을 보이며 방사선 사진 상에서 매복된 다수의 과잉치가 존재한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은 정신적 및 신체적으로 특별한 이상을 나타내지 않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아 영구치의 미맹출로 인하여 저작 및 심리적인 문제가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기 진단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유치 발치 및 과잉치 제거 후 교정적 처치로 영구치의 맹출을 유도하여 저작 기능의 회복뿐 아니라 환자의 안모도 개선시켜야 한다. 본 증례는 영구치 맹출 장애와 전치부 반대교합을 주소로 내원하여 쇄골두개 이형성증으로 진단받은 환아들의 구강내 증상과 치아 맹출 유도법을 통하여 치아를 맹출시킬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골화성 근염에 대한 고찰 (Review of Myositis Ossificans)

  • 배성수;박래준;한동욱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2호
    • /
    • pp.255-265
    • /
    • 2000
  • 정상적인 골 조직에서의 성장과는 달리 연부조직에 2차적으로 비정상적인 골 조직이 신생되면서 골화되는 현상을 골화성 근염 또는 화골성 근염이라고 하며, 연부조직에 생긴 골은 가장 안쪽에는 어떤 원인에 의해서 생긴 출혈 또는 괴사 조직의 주위를 섬유모세포가 둘러싸서 생긴 층이 있고, 그 다음으로 골모세포(osteoblasts)로 형성된 미성숙 골조직 충이 있으며, 마지막 주위의 결합조직과 명확한 경계를 이루는 성숙한 골 소주로 구성된 층이 있다. 골화성 근염은 그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혈류의 정체로 인한 저산소증, 비정상적인 칼슘 대사, 미세한 외상의 반복 및 심한 외상, 장기간 고정, 유전적인 원인 등으로 각기 다른 양상의 골화성 근염을 형성할 수 있다. 골화성 근염이라는 단어는 1868년에 Von Dusch에 의해 처음 사용되어 명확한 구분 없이 연부조직에 생긴 비정상 골조직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골화성 근염이라 할지라도 발생 원인과 조직 변화 및 상태 등을 고려한다면 첫째로 선천성 기형과 전신이환을 동반하는 진행성 골화성 근염, 둘째로 신경근과 만성질병, 사지마비, 소아마비, 화상. 다발성 관염 . 파상풍을 가진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골화성 근염인 이소성 골화증, 새 번째로 연부조직의 심한 손상 또는 반복적인 손상, 골절, 탈구, 열상 외과적 절개에 대한 부차적인 반응으로 나타나는 외상성 골화성 근염. 네 번째로 위의 세 가지 원인이 아닌 원인으로 발생하는 비외상성 골화성 근염으로 분명히 구분할 수 있다. 때문에 단순히 골화성 근염이란 단어로 연부조직에 생긴 비정상적인 골을 통칭하기보다는 지금까지 언급한 내용을 고려해 보다 구체적인 질환명 즉 골화성 근염이 진행성인지. 이소성인지. 외상성인지. 비외상성인지를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수지골의 유육종증 (Sarcoid Dactylitis)

  • 최인근;이신형;이소라;김제형;권영환;이승룡;이상엽;조재연;심재정;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6호
    • /
    • pp.1298-1304
    • /
    • 1998
  • The reports of sarcoidosis have increased in Korea since 1968. Osseous sarcoidosis is 3%-5% of sarcoidosis, but it is not reported upto date in Korea. So, we report a case of sarcoid dactylitis. A 47-year old woman who complained of painful swelling in her fingers was admitted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She had visited local clinics 3 years ago for chronic cough, multiple subcutaneous nodules and erythematous elevated regions on extensor sides of both extremities, and taken medicine under th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for 3 years. On admission her distal phalanges showed fusiform swelling, and multiple 1 cm-sized papules were found on the extensor area of extremities. The chest CT scan and the skin biopsy which had been performed in local clinics were reviewed to examine whether it was tuberculosis or not, but the results were compatible to sarcoidosis. So, under the impression of sarcoidosis chest CT and biopsy of hand lesions were performed again. And the patient was prescribed prednisolone 30 mg, and Hydroxychloroquine 400 mg per day, and then showed improvement of pain and skin lesions.

  • PDF

도플러 초음파 기기를 이용한 편측 부전마비성 뇌졸중 환자와 정상인의 말초 혈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eripheral Blood Flow in Post-Stroke Hemiparetic Patients and Normal Person with Doppler Ultrasonography)

  • 한덕진;방창호;세르게이 김;배영민;신새론;양충용;이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491-1496
    • /
    • 2009
  • Stroke is usually associated with the cerebral blood flow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However, studies concerning the effects of neurologic sysmptoms induced from stroke on the peripheral blood flow has not taken place sufficiently. To ascertain the feasibility of a blood flow meter adopting to use doppler ultrasonogrphy, under the prospect that hemiparesis induced from stroke may have effect on the peripheral blood flow, the peripheral blood flow velocity was observed. The control group made up of healthy people without any factors capable of effecting the peripheral blood flow velocity, and patient group which consist of hemiparetic people induced from stroke, were recruited. Volumes of recruitment are 21 persons in the patient group, and 29 persons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final numbers of people are 17 and 21 respectively because of the inconsistancy in the method of the test. The non-invasive method of Doppler effect of Ultrasound was used to measure the blood flow velocity. The blood flow velocity in the peripheral part of left and right fourth fingers:dorsal branches of proper palmar digital artery to dorsum of distal phalanges, was measured in the control group and patient group through Doppler Ultrasound. In comparison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patient group, the systolic blood flow velocity from the peripheral part of the upper extremity was lower in the patient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such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hemiparesis induces the reduction of the peripheral blood flow velocity in the systolic phase.

어린이 성장판 영상화를 위한 초음파와 X-선 방식의 비교 평가 (Comparison Between Ultrasonic and X-ray Methods for Imaging the Children′s Growth Plate)

  • 김상후;김형준;한은옥;한승무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51-55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진단 방법의 정확성이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고 있는 어린이의 성장 발육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성장 진단 방법은 X-ray 영상을 이용한 각 관절 부위의 성장판의 개폐 분석이다. 그러나 X-ray 방식은 성장 진단에서 요구되는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측정을 하지 못함과 동시에 방사선 노출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성장판 개폐 분석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종골의 초음파 광역 감쇄 영상을 이용한 프로파일 분석 및 성장판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7세~16세의 어린이 269명에 대해서 X-ray를 이용하여 무릎, 손가락, 종골에서의 성장판 영상을 얻었다. 또한 초음파 방식을 이용하여 종골의 성장판 영상을 얻었다. 각 관절에서의 성장판 개폐 유무 시기는 각 개인별로 측정 방법에 따라 조금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일치하였다. 또한. X-ray방식과 초음파 방식에 의한 성장판 영상을 비교한 결과 상호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성장판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도입된 초음파 프로파일 분석 알고리즘은 기존의 X-ray 영상 방식에 의한 성장판의 측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rodysostosis Associated with Symptomatic Cervical Spine Stenosis

  • Ko, Jung-Min;Kwack, Kyu-Sung;Kim, Sang-Hyun;Kim, Hyon-Ju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7권2호
    • /
    • pp.145-150
    • /
    • 2010
  • 선단이골증(acrodysostosis)은 매우 드문 골격계 이형성 질환의 하나로, 말단골 이형성을 보이는 짧은 손가락과 발가락, 코뼈의 저형성 및 정신지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증례에서 저자들은 전형적인 임상 양상을 보이면서 신경 증상 및 징후와 경추관 협착을 동반한 선단이골증 16세 남아를 경험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환아는 양쪽 상지의 간헐적인 통증과 위약감을 호소하였으며 양팔을 높이 들어올리는 것이 불가능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신체 검진상 저신장을 보였으며 넓으면서도 낮은 콧등, 작고 위로 들려 올라간 코끝, 양쪽 눈의 안쪽 눈구석 주름 및 경한 양안격리증 등 특징적 안면 소견을 보였다. 신경심리검사상 중등도의 정신지체가 확인되었으며 청력검사상 양측의 신경성 난청 소견이 동반되어 있었다. 방사선학적 검사에서는, 원뿔 모양의 골단을 보이는 넓으면서도 짧은 중수골 및 지골, 양측 전와부의 마델룽 변형(Madelung deformity), 과형성된 첫 번째 중족골과 두꺼워진 두개골이 확인되었다. 뇌 및 척추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는 경추관 협착, 경추-연수 접합부의 압박을 동반한 편평두개저 및 소뇌 편도의 하방 이동 소견을 보였다. 선단이골증에서 동반되는 경추관 협착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6개월 후 추적 영상검사에서 진행되는 소견을 보이거나 증상이나 징후가 악화될 경우에는 수술적 갑압술을 실시할 계획이다. 본 증례는 선단이골증의 국내 보고로는 두 번째이나, 경추관 협착증의 증상 및 징후를 동반한 선단이골증의 첫 번째 보고이다. 선단이골증에서의 척추관 협착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하는 증상이며 심각한 합병증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특징적 임상 양상을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면 이러한 합병증에 대한 적절한 치료로서 치명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말단골의 이형성을 보이는 환자의 중요한 감별 질환 중 하나로 선단이골증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성장기 여아에서 첫째 및 셋째 수지 지절 변화와 초경시기 (The relationship between menarche and the ossification stages of the phalanx of the first and third finger)

  • 김경호;최광철;정길용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5-274
    • /
    • 2002
  • 성장기 환자의 발육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지표 중 수완부 골성숙도와 초경시기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수완부 골성숙도에서는 첫째와 셋째 수지의 변화가 비교적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수지 및 셋째 수지의 지절 변화와 초경 및 부정교합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성장기 여아 중 I급 부정교합자 29명, II급 부정교합자 27명, III급 부정교합자 27명을 대상으로 약 6개월 간격으로 모지척측 종자골 출현 전부터 수지 지절의 융합이 거의 이루어지는 시기까지 누년적으로 촬영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과 초경시기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에 따른 골성숙도의 차이는 없었다. 2. 부정교합에 따른 초경연령의 차이는 없었으며, 초경의 평균 연령은 $12.30\pm0.98$세였다. 3. 모지척측 종자골 출현은 $10.35\pm1.01$세, 첫째 수지의 원심부 지절에서 Capping단계는 $11.26\pm1.04$세, 융합시기는 $13.12\pm1.06$세이고 셋째 수지의 중간 지절의 capping은 $11.57\pm1.02$세, 융합은 $13.72\pm1.04$세에 일어났다. 4.초경은 첫째 수지 원심부 지절의 융합이 진행되는 시기와(P<0.001, r=0.82),셋째 수지 중간 지절의 융합이 시작되는 시기와(p<0.001, r=0.78) 비슷한 시기에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첫째 또는 셋째 수지 지절 변화만으로 성장기 여아에서의 발육상태를 평가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