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ity congruenc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온라인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성이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Online Brand Loyalty and the Congruence between Online Brand Personality and Actual Self-Image)

  • 왕샤오우;이홍일;박철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9-284
    • /
    • 2010
  • 최근 온라인 브랜드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나 온라인 영역에서 브랜드 개성(Brand Personality)과 로열티(Brand Loyalty)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온라인 영역에서의 개성과 자아이미지(Self-Image) 그리고 로열티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절대차이모델(Absolute Difference Model)을 적용하여 온라인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성 지수를 도출하고, 온라인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개성의 진실, 최신, 유능성 차원이 온라인 브랜드 로열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브랜드의 로열티를 높이기 위해서 는 자아이미지와 브랜드 개성 차원이 일치하는 타겟집단의 선정과 브랜드 이미지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랜드 개성을 활용한 온라인 브랜드 차별화 전략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PDF

모 브랜드-일치성이 확장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Parent Brand-Congruity on the Attitude to Expanded Brand)

  • 강민정;황희중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77-89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pres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brand-self image congruence, parent brand -functional congruity, perceived fit between parent brand and extension product, and consumer's attitude toward extension product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for preceding concepts having a direct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brand extension, the study focuses on parent brand-self image congruence and parent brand-functional congruity. It also looks at the effect of parent brand-self image congruence and parent brand-functional congruity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extension product and identifies if the perceived fit between parent brand and extension product is a concept playing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 brand-self image congruence or parent brand-functional congruity and consumer's attitude toward brand extension produ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SPSS for Windows 18.0 and AMOS 18.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n,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obtained using SPSS for Windows 18.0 to measure reliability. In addition, the convergence and discriminative measures of the measured item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AMOS 18.0. Finally, we have validated a path model and a parameter model in which brand personality-self-matched attitude toward brand extension. Results -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mpact of parent brand-self image consistency and parent brand-functional consistency on the attitude of extended products was positive. Perceived fit between parent brand and extension products has been shown to play a role of intermediary between parent brand-self image congruence and consumer attitudes to extended products. However, perceived fit between parent brand and extension products did not play a role as intermediary between the parent brand-functional congruity and the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product. Finally, in relation t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 brand-congruity (self image/functionality) and attitudes to extended products. The effect of parent brand-functional coherency on attitudes toward extended products was found to be greater in groups with higher involvement than in those with lower involvement. Conclusions - Although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what variables mediated when parent brand-self image consistency and parent brand-functional coherency affect consumer attitude,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finding whether perceived fitness between the parent brand-congruity and the extension product is mediated.

사용자의 확장브랜드 수용과 모브랜드의 영향력: 사물인터넷을 중심으로 (How the Strength of Parent Brand Associations Influences the User Acceptance of Extended brand: Internet of Things Perspective)

  • 임현아;권혁준;최재원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9-65
    • /
    • 2018
  • 브랜드 확장 전략은 다양한 영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삼성과 샤오미 등 사물인터넷 분야의 기업들은 브랜드 확장 전략을 통해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샤오미를 중심으로 모브랜드의 브랜드 증거와 브랜드 개성, 부정적 요인이 확장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확장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브랜드 증거의 핵심 서비스와 자기 이미지 일치성,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주었으나, 브랜드 증거의 지각된 가격은 브랜드 신뢰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요인의 희소성은 확장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주었으나, 프라이버시 염려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샤오미의 확장 브랜드인 '스마트 홈' 시장의 기술적 혁신성이라는 특성이 소비자가 프라이버시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기반으로 확장 브랜드에서 모브랜드의 브랜드 증거, 브랜드 개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부정적 요인이 확장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브랜드 개성 효과: 트위터 상의 브랜드 개성 전달이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Brand Personality Effect: Communicating Brand Personality on Twitter and its Influence on Online Community Engagement)

  • 루스 안젤리 크루즈;이홍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1호
    • /
    • pp.67-101
    • /
    • 2014
  • 새로운 기술의 활용은 고객과의 관계를 맺기위한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을 변모시켜왔다. 새로운 기술 중에서 소셜 미디어는 기업들이 온라인 고객들에게 다가가기 위한 도구이며, 유명한 소셜 미디어 사이트 중의 하나는 마이크로 블로깅 플랫폼인 트위터이다. 매일 5억건이상의 트윗이 발생하기때문에 연구자들에게는 풍부한 데이터의 원천이며, 기업들에겐 매력적인 마케팅 채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트위터 활용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는 적절한 트위터 활용에 대한 이론적인 또는 실증적인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업들이 마케팅 채널로서의 트위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관여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Aaker의 브랜드 개성에 대한 연구에서 제시한 브랜드 개성 척도를 활용하여 트위터 메시지가 브랜드 개성을 띄고 있는지와 이에 따른 고객들의 참여와 반응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제품의 관여도에 따라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지도 분석하였다. 23개 브랜드의 8주간의 트위터 계정의 포스팅을 수집하였으며,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로 마케팅 연구에서 제시된 브랜드 개성의 개념이 소셜 미디어인 트위터에도 적용이 가능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는 오프라인 브랜드 개성과 온라인 브랜드 개성간의 일치여부와 소셜 미디어 브랜드 커뮤니티의 활성화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관여도에 따라 온라인/오프라인 브랜드 개성의 일치도가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소비자와 사업자의 인식 차이 연구 : 개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Perceptions on Consumer Complaint Behavior with Hateful Intentions: Based on the Personal and Social Factor)

  • 김혜진;이승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15-32
    • /
    • 2018
  • This study analyzes difference in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perceptions on 'consumer complaint behavior with hateful intentions' though the Co-orientation Model in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we seek to contribute to reducing the conflict between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in the service contact point by finding factors that affec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wo parties. This study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aking a look at the mutual orientation between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mutual perceptions have been found to match in agreement but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agreement (congruence), which indicates that the internal perceptions of both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do not match. The findings confirm that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consumer complaint behavior with hateful intentions and therefore raise a need for efforts and institutional devices for improvement. Second, the study has found that consumers' economic responsibility as part of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and front-line workers' perceptions on consumers' civic responsibility affect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and suggest a need for educating consumers about economic responsibility. Meanwhile, unlike consumers, front-line workers view consumers' complaint behavior with hateful intentions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raising a need for a transition of perspectives on complaint behavior with hateful int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