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Mobile Broadcasting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17초

A Study on Strong Minutiae Extraction for Secure and Rapid Fingerprint Authentication

  • Han, Ji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6권2호
    • /
    • pp.65-71
    • /
    • 2017
  • Fingerprints are increasingly used for user authentication in smal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s in personal devices to protect the user's fingerprint information while performing efficiently with a lightweight matching algorith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extract strong minutiae with unique numbers from fingerprint images. Strong minutiae are at all times obtained from fingerprint images, and can be useful for secure and rapid fingerprint authentication. The binary information of strong minutiae of a fingerprint can be transformed securely and can create cancelable fingerprint templates. Also the bit-strings of strong minutiae decrease computing time necessary for the matching procedure between two fingerprints due to the simplicity of bitwise operations. First, we enroll several fingerprints images of a finger. From these images we select a reference fingerprint and put a number on each minutia. Following this procedure, we search for mated-minutiae between the reference fingerprint and other fingerprints one by one. Finally we derive unique numbers of strong minutiae of the finger. In the experiment with the FVC2004 fingerprint database, we show that using the proposed method, strong minutiae can be extracted successfully.

전자파 환경의 전자기장 방출과 그 영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Electromagnetic Field Emission and Its Effect on Electromagnetic Environment)

  • 윤광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13-618
    • /
    • 2019
  • EMF (전자기장)는 지식 기반 정보 사회에서 살기위한 귀중한 자원 중 하나다. EMF는 우리의 삶을 쉽고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가전제품과 휴대 전화, 개인용 컴퓨터, 의료 기기 및 방송 타워 등의 정보 통신 기기에 사용된다. 그러나 EMF 노출과 관련된 생물학적 유해성은 전기 통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도 증가하고 있다. 인체에 대한 EMF 노출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오랫동안 수행되었지만 EMF 효과가 유해한 지 여부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생활주변의 각종 전자기기로부터 방출 되는 전자장과 그 영향에 대해서 고찰한다.

SAT를 이용한 정보흐름의 안전성 분석 (Security Analysis of Information Flow using SAT)

  • 김제민;고훈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253-261
    • /
    • 2016
  • PC 와 모바일 기기에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날수록 프로그램에서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 가능성은 매우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 정보흐름의 안전성 분석을 한 후에 개인정보의 유출이 없는 안전한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정보흐름의 안전성 분석은 프로그램 내에서 정보의 흐름이 안전한지 분석하는 방법으로 정보흐름이 안전하면 개인정보 유출이 없고 안전하지 않으면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AT 해결기를 활용하여 정보흐름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보안 수준이 설정된 변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제어와 정보흐름을 나타내는 명제 논리식으로 변환하고, SAT 해결기를 이용해 명제 논리식으로부터 만족가능성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된 결과를 통해 프로그램에서 정보흐름이 안전한지 알 수 있으며, 안전하지 않은 경우 반례를 생성하여 어느 부분에서 안전하지 않은 지 알 수 있다.

뉴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운동방식에 대한 고찰 -2008년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Various Types of Social Movement Through the New Media -Focusing on the 2008 Candle Rally-)

  • 이창호;배애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4권
    • /
    • pp.44-75
    • /
    • 2008
  • 연일 계속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는 뉴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운동방식이 동원되고 조직화된 양상을 띠었다. 즉 휴대전화와 인터넷, 와이브로, 인터넷카페를 빼놓고는 설명될 수 없을 정도로 뉴미디어가 시민들의 참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번 촛불문화제를 통해 드러난 다양한 사회운동에 주목, 운동의 효과와 의미를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실시간 인터넷중계 등 이번 촛불집회에서 주목을 끈 보도방식이 시민저널리즘 측면에서 어떤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했다. 이를 위해 사례분석과 인터뷰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사용했다. 사례분석은 이번 집회와 관련해 언론에 보도됐던 내용을 토대로 인터넷카페 등을 중심으로 진행했다. 인터뷰는 집회 현장을 실시간으로 중계해 주목을 끌었던 오마이TV, 칼라TV, 615TV 종사자들을 만나 진행했다. 이러한 진보매체 종사자들과 1인 미디어 운영자들은 실시간 방송의 이점으로 현장 상황을 아무런 가감 없이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꼽았다. 또한 주류 미디어와 달리 시민들의 목소리를 많이 담을 수 있다는 것도 이점이었다. 있는 그대로의 현장 모습을 대중들에게 전달하려는 진보적 대안매체와 1인 미디어들의 활약은 와이브로의 확산과 더불어 앞으로 더욱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실시간 운영체제에서 작업량 관찰에 기반한 저전력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w-Power Technique based on Monitoring Workload on Real-Time Operating Systems)

  • 조문행;정명조;김용희;이철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69-78
    • /
    • 2007
  • 오늘날의 내장형 이동 시스템은 MP3플레이어나 디지털 캠코더와 같이 하나의 기능만을 지원했던 단일 응용프로그램 시스템에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이 MPEG, W3플레이어, 전자사전,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게임, 통신 기능 등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디지털 컨버전스 기기로 변화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CPU 성능 향상과 메모리, 저장장치의 증가, LCD의 크기 증가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요구사항의 증가로 이어졌고, 이로 인해 단말기에서 소모하는 전력이 그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소모 전력의 증가에 따른 배터리 용량의 증가는 더딘 상황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소모 전력을 감축시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모 전력 감축 기법이 적용된 실시간 운영체제 UbiFOSTM을 ARM9계열의 MBA2440에 탑재하였다. 전력 감축 기법으로 시스템 작업량 관찰에 기반한 동적 전력 관리 기법과 장치 전력 관리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의 저전력 기법을 통해 작업량에 따라 24% 이상의 소모 전력 감축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얼굴 메이크업을 도와주는 지능형 스마트 거울 앱의설계 (Design of an Intellectual Smart Mirror Appication helping Face Makeup)

  • 오선진;이윤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497-502
    • /
    • 2022
  •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정보의 유통이나 공유 수단으로 텍스트보다는 비주얼 기반의 정보 전달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인터넷상의 유투브나 1인 방송 등을 통한 정보의 유통이 일상화되고 있다. 즉, 젊은 세대들은 대부분의 원하는 정보를 이러한 유통 과정을 거쳐 습득하게 되며 활용하는 상황이다. 또한, 많은 젊은 세대들은 자신을 개성있게 꾸미고 장식하는 데에 매우 과감하고 적극적이다. 얼굴 화장이나 헤어 스타일링 및 패션 연출에 있어 남녀구분 없이 적극적인 표현과 시도를 통해 개인의 개성을 거리낌이 없이 연출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얼굴 메이크업은 여자들은 물론이고 최근 남자들 사이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자신의 독특한 개성을 나타내기 위한 얼굴메이크업을 연출하기 위해 자신의 얼굴 모양, 헤어 컬러 및 스타일, 피부 톤, 패션 스타일과 의상 컬러 등과 잘 어울리는 얼굴 메이크업을 구현하도록 인터넷상의 유명한 전문 메이크업 아티스트 들의 유투브나 1인 방송 영상 중 관련영상을 효율적으로 검색하여 추천하고, 사용자의 평소 검색 패턴과 외모 특징들을 학습시켜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법을 도입하며, 추천된 영상을 통해 자세한 메이크업 과정을 실제 단계별로 수행하면서 메이크업 스킬을 습득하도록 하는 지능형 스마트 거울 앱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