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Aggressio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The Impact of COVID-19 on Healthcare Services in Bangladesh: A Qualitative Study on Healthcare Providers' Perspectives

  • Sharmin Parveen;Md. Shahriar Mahbub;Nasreen Nahar;K. A. M. Morshed;Nourin Rahman;Ezzat Tanzila Evana;Nazia Islam;Abu Said Md. Juel Miah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7권4호
    • /
    • pp.356-369
    • /
    • 2024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ealthcare providers' experiences in manag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d its impact on healthcare services.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34 healthcare professionals across 15 districts in Bangladesh. Among the participants, 24 were health managers or administrators stationed at the district or upazila (sub-district) level, and 10 were clinicians providing care to patients with COVID-19. The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Bangla, audio-recorded, transcribed, and then translated into English. Data were analyzed thematically. Results: Most interviewees identified a range of issues within the health system. These included unpreparedness, challenges in segregating COVID-19 patients, maintaining isolation and home quarantine, a scarcity of intensive care unit beds, and ensuring continuity of service for non-COVID-19 patients. The limited availability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 shortage of human resources, and logistical challenges, such as obtaining COVID-19 tests, were frequently cited as barriers to managing the pandemic. Additionally, changes in the behavior of health service seekers, particularly increased aggression, were reported. The primary motivating factor for healthcare providers was the willingness to continue providing health services, rather than financial incentives. Conclusions: The COVID-19 pandemic presented a unique set of challenges for health systems, while also providing valuable lessons in managing a public health crisis. To effectively address future health crises, it is crucial to resolve a myriad of issues within the health system, including the inequitable distribution of human resources and logistical challenges.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Bullying Damage Experience of Adolescent)

  • 문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85-69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련하여 지난 20여년 간 국내에서 연구된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관련요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발요인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발요인군의 개인심리요인군과 학교생활요인군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발요인군 중 개인심리요인군의 하부요인인 공격성,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요인군인 학업스트레스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억제요인 전체효과크기와 억제요인군의 가정환경요인군, 개인심리요인군, 학교생활 요인군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억제요인군인 중 가정환경요인군의 하부요인인 긍정적부모양육태도와 부모지지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심리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친구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은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의 선행된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객관적 결과를 살피기 위한 수량적 통합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를 예방하고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운전행동 결정요인과 위험운전 행동요인이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에 미치는 메커니즘 분석을 통한 대책마련 연구: 교통법규위반자 및 교통사고야기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Preparing Measures for Reducing Aggressive Driving and Road Rage by Analysing Mechanism of How the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and Dangerous Driving Behavior Factors Affect Aggressive Driving and Road Rage: Targeting Traffic Law Violator and Assaulter of a Traffic Accident)

  • 김수진;정철수;장석용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28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는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의 발생 메커니즘을 운전행동 결정요인(대인분노와 공격성)과 위험운전 행동요인(난폭운전행동과 과속위험행동, 음주운전행동, 주의산만, 대처미숙)을 통해 분석하고, 예방 대책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도로교통공단 7개 지부에서 교통법규 위반자와 교통사고 야기자 3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결과를 통해 운전 중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의 심각성과 맞춤형 교육의 형태, 적정 시간, 교육내용 등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에 운전행동 결정요인과 위험운전 행동요인의 세부 항목 관련성 유무와 메커니즘을 Figure 3과 Table 8을 통해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난폭운전과 보복운전 대책의 우선순위와 가중치 등을 요인별, 항목별로 선정할 수 있다. 셋째, 난폭운전과 보복운전 메커니즘 분석모형을 통해 예방 대책을 Table 9 - Table 10과 같이 공통대책과 각 요인별 맞춤형 대책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정신과 간호실습 과정과 자기실현에 관한 연구 (Self. Actualization of College of Nursing Students Resulting from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 이광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9-40
    • /
    • 1976
  • This study attempted to measure personality changes in collegiate nursing students as a result of their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10 students in 8 colleges of nursing in Korea, 96 with psychiatric practice, 103 with other clinical practice and III withou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1. The self-actualization scores of nursing students resulting from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2. The self-actualization scores of nursing students resulting from other clinical nursing practice. 3. The difference between scores for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nd those without experience. 4. The relevance between self-actualization and sibling order. 5. The relevance between self- actualization and religion. 6. The coefficiently scores for students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The instrument used was the Personal Orientation Inventory (POI), developed by Shostrom. It provides a measure of values and behavior which are thought to be of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self- actualiza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Competence, Self Regard, and Nature of Man scales resulting from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ner Directed, Existentialist, Feeling Reactivity, Spontaneity, Nature of Man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scales resulting from other clinical nursing practice.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ner Directed, Feeling Reactivity, Spontaneity, Self- Regard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scales between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and those without practice.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Acceptance scale for both the eldest and the youngest siblings.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Competence, Inner Directed, Existentialist, Self-Acceptance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scales for middle and youngest siblings, 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istentialist scale between students with a religion and those without one. 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students without a religion in the Time Competence, Inner Directed, Self-Regard, Nature of Man,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scales after clinical practice. 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students, with a religion in the Inner Directed, Existentialist, Spontaneity, and Nature of Man scales after clinical practice. 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students in the Self- Actualizing value, Spontaneity, Nature of Man and Synergy scales according to whether their parents had a religion or not. 10. Before and after practice, significantly differe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Time Competence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scales : the Inner Directed and Existentialist scales ; the Self- Actualizing Value and the Feeling Reactivity, Spontaneity, Self-Regard and Nature of Man scales : the Feeling Reactivity and Acceptance of Aggression scales: the Spontaneity and the Self-Regard and Nature of Man scales; and between the Self-Regard and Nature of Man scales.

  • PDF

학령전기 아동의 심적 표상 : 부모에 대한 심적 표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MENTAL REPRESENTATION OF PRESCHOOL CHILDREN:ASSOCIATION WITH PARENTAL MENTAL REPRESENTATION)

  • 이경숙;이혜란;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21-33
    • /
    • 1999
  • 자기보고 능력이 부족하다고 알려진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는 외부관찰자의 보고에 의존하는 점이 많고 아동 자신의 내적인 경험, 생각, 감정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MacArthur Story-Stem Battery(MSSB)를 사용하여 정상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의 발달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만 3세부터 7세까지의 정상 아동 55명(남아 32명, 여아 23명)에서 MSSB, 언어평가(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지능평가를 시행하고 비디오로 녹화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서적인 갈등 상황을 설정한 놀이에서 아동들은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보상/죄의식, 처벌, 개인적 상해 등의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이 흔히 표현되었다. 2)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은 긍정적 표상, 훈육적 표상, 부정적 표상의 순으로 표현되었다. 3) MSSB 내용 주제요인 분석 결과,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공격성, 개인적 상해, 배제로 묶이는 공격적 주제, 애정, 제휴, 죄의식/보상으로 묶이는 친사회적 주제, 처벌과 불복종으로 묶이는 반항적 주제 세 가지로 나타났다. 4)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내용 주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표상은 친사회적 주제와(r=0.40), 부정적 표상은 공격적 주제와(r=0.52) 그리고 훈육적 표상은 반항적 주제와(r=0.75)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정서 반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정신적 표상과 불안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r=-0.43)를 보였다. 6) MSSB 내용 주제와 정서 반응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공격적 주제(r=0.28)와 반항적 주제(r=0.29)는 고통의 감정 반응과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사회적 주제는 근심(r=-0.29), 불안(r=-0.43)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정서적인 갈등을 야기하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흔히 보였으며 부모들은 자신들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표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격적 주제를 많이 보이는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과 부모에 대해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많이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