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oxide value

검색결과 761건 처리시간 0.028초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단백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항산화 활성 (Enzymatic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tein Hydrolysates from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 이효선;류희정;송현지;이승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164-1170
    • /
    • 2017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4%(w/v)의 기질용액으로 제조한 후, 기질 대비 단백질 가수분해효소(alcalase, bromelain, flavourzyme, neutrase, bromelain, papain)를 각각 1%(w/w) 첨가하여 24시간 가수분해시킨 단백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으며, 각 효소별 가수분해물의 특성과 가수분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24시간째의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SPS-PAGE를 진행하였고, 시간에 따른 가수분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TNBS assay를 실시하였다. SDS-PAGE 결과 alcalase 단백 가수분해물이 10 kDa 이상의 대부분의 단백질을 분해시켰으며, flavourzyme 효소는 10 kDa 이하의 펩타이드를 분해시켜 available amino group 함량이 9.99 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vailable amino group의 농도가 높게 나타난 alcalase(9.35 mg/mL), flavourzyme(9.99 mg/mL), neutrase(7.60 mg/mL) 단백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막을 통해 분자량이 3 kDa 이하로 분리한 후 동결건조하였으며, 동결 건조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효소별 단백가수분해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RC_{50}$값은 neutrase $131.43{\mu}g/mL$, flavourzyme $149.28{\mu}g/mL$, alcalase $151.99{\mu}g/mL$로 neutrase 단백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P<0.05),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alcalase $34.59{\mu}g/mL$, neutrase $42.49{\mu}g/mL$, flavourzyme $44.34{\mu}g/mL$ 순으로 alcalase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P<0.05).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alcalase 단백가수분해물의 $RC_{50}$값이 $46.31{\mu}g/mL$, neutrase $58.16{\mu}g/mL$, flavourzyme $59.30{\mu}g/mL$로 alcalase 가수분해물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P<0.05). 상기 3가지 항산화 실험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저분자 펩타이드 생산 효율이 52.91%로 가장 높았던 alcalase 단백가수분해물(3 kDa 이하)을 이용해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6일 동안 $100{\sim}800{\mu}g/mL$의 농도에서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항산화능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단백질 소재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이용하여 단백가수분해물의 제조 특성 및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들은 향후 식용곤충을 활용한 새로운 기능성 식품 및 소재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소금과 간장 양념이 고등어 구이의 지질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 and Soysauce Condiment on Lipid Oxidation in Broil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 류승희;이영순;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30-1035
    • /
    • 2002
  • MRPs에 의한 생선의 저장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고등어를 대조군, 소금구이군, 간장구이군으로 나누어 조리한 뒤 냉장온도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 conjugated diene 함량, malonaldehyde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고등어의 과산화물가는 $7.20{\pm}1.10\;meq/kg\;lipid$였으며 조리 직후 소금구이 군에서 과산화물의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저장 기간동안에도 대조군과 유사하게 과산화물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간장구이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과산화물가가 낮아 항산화효과가 인정되었다. Conjugated diene함량은 대조군의 경우 저장 12일 동안 거의 변화 없이 매우 안정하였고 소금구이군의 경우 저장동안 CDA가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간장구이군의 경우 저장 3일, 9일째에는 대조군 및 소금구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conjugated diene 함량이 낮아졌다. 생고등어의 malonaldehyde 함량은 조리과정동안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조리방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기간에 따른 malonaldehyde 함량은 대조군과 간장구이군의 경우 저장동안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소금구이군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TBARs 값이 증가하였고 저장 9일과 12일째에는 대조군 및 간장구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산화가 진행되었다. 고등어를 조리한 뒤 세 군 모두에서 지방산 조성의 변화가 일어났으며 대조군의 경우 SFA, MUFA, PUFA가 37.54%, 29.55%, 32.9%로 단일불포화지방산이 파괴되었으나 저장 10일동안 지방산 조성 변화는 크지 않았다. 소금구이군의 경우 PUFA의 함량은 27.45%로 생고등어와 비교하여 감소하였고 SFA는 41.69%로 증가하였다. 저장 10일째에는 PUFA/SFA가 0.57으로 급격하게 감소되었고 n-3계 지방산의 함량도 20.63%로 초기의 25.53%와 비교해 상당량 분해되었음을 나타내었다. 간장구이군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른 PUPA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히 저장 10일째 PUFA 함량이 실험군 중 가장 높았고 PUFA/SFA의 비율도 높았으며 n-3/n-6 비율도 가장 높아 간장이 고등어 지방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막았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조리방법에 따른 고등어 저장성에 있어서 소금구이는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에 반해 간장구이는 산화를 억제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조리방법으로 여겨진다.

패류 건제품의 저장 중 지질산화 (Lipid Oxidation in Dried Shellfish during the Storage)

  • 조호성;조태용;이강호;이남걸;주동식;김경업;이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94-598
    • /
    • 1998
  • 패류 건제품의 지질산화는 주로 단백질과의 상호반응에 의해 변색, 산패취 등을 일으키며 또한 산화로 인해 hydroperoxide나 불포화 aldehyde 등과 같은 독성물질을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건제품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지질과 단백질의 반응에 의한 품질저하는 상품가치의 저하는 물론 영양가 손실 등을 야기한다. 본 실험에서는 이들 패류 건제품의 저장온도 ($4{\pm}2^{\circ}C$$25{\pm}2^{\circ}C$)에 따른 지질산화 경향을 지질산화생성물과 단백질 등의 amino 화합물과의 반응정도를 조사하였다. 산가의 변화는 홍합이나 바지락 모두 $2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4^{\circ}C$에서 저장한 것보다 높았으며 또한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바지락이 홍합보다 다소 높았다. 그러나 생성된 유리지방산은 저장 60일까지 증가한 후 거의 변화가 없었다. 과산화물가는 $25^{\circ}C$ 저장구의 경우 홍합 및 바지락이 각각 저장 60일과 3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나, $4^{\circ}C$ 저장구에서는 120일간의 저장기간 중 과산화물이 분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축적되었다. TBA가와 카르보닐가는 홍합의 경우 $4^{\circ}C$ 저장구가 저장 30일경에만 $25^{\circ}C$ 저장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을 뿐 그 이후는$25^{\circ}C$ 저장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바지락도 $4^{\circ}C$ 저장구가 $25^{\circ}C$ 저장구보다 다소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아미노질소의 함량은 두 제품모두 저장 6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25^{\circ}C$ 저장시료가 $4^{\circ}C$ 저장시료보다 감소폭이 컸다. 형광강도는 $25^{\circ}C$ 저장시료가 $4^{\circ}C$ 저장시료보다 그리고 바지락이 홍합보다 높았으며, 저장 60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고려인삼(高麗人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 비교연구(比較硏究) (Studies on the Anti-aging Action of Korean Ginseng (I) Comparative Study of Red and White Ginsengs on Anti-aging Action)

  • 최진호;오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3-335
    • /
    • 1983
  • 홍삼(紅蔘)과 백삼(白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 의한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80% ethanol extract 및 수포화(水飽和)부탄올로 이행(移行)한 saponin을 시료(試料)로 하여 in vitro 및 in vivo 실험(實驗)을 통하여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비교(比較)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電子供與能)(EDA), TBA value 및 peroxide value에 의한 과산화지질생성억제작용(過酸化脂質生成抑制作用), superoxide dismutase 및 peroxidase의 활성측정(活性測定)등으로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홍삼(紅蔘)은 장기간(長期間)에 걸친 연속투여(連續投與)에서 백삼(白蔘)보다 과산화지질생성억제작용(過酸化脂質生成抑制作用). superoxide dismutase 및 peroxidase의 활성(活性)을 유의성(有意性)있게 증가(增加)하였다. 생체내실험(生體內實驗)에서 홍삼(紅蔘)이 백삼(白蔘)보다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이 현저한 것은 증삼(蒸參) 및 가공처리중(加工處理中) saponin pattern의 변화(變化)에 기인(起因)하며 백삼(白蔘)의 PT/PD ratio가 0.401인데 반(反)해 홍삼(紅蔘)의 PT/PD ratio가 0.561로서 triol saponin이 증가(增加)되었기 때문이다.

  • PDF

Dexmedetomidine attenuates H2O2-induced cell death in human osteoblasts

  • Yoon, Ji-Young;Park, Jeong-Hoon;Kim, Eun-Jung;Park, Bong-Soo;Yoon, Ji-Uk;Shin, Sang-Wook;Kim, Do-Wa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6권4호
    • /
    • pp.295-302
    • /
    • 2016
  • Background: Reactive oxygen species play critical roles in homeostasis and cell signaling. Dexmedetomidine, a specific agonist of the ${\alpha}2$-adrenoceptor, has been commonly used for sedation, and it has been reported to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dexmedetomidine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the mechanism of $H_2O_2$-induced cell death in normal human fetal osteoblast (hFOB) cells. Methods: Cel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cells were incubated in normoxia without dexmedetomidine, hydrogen peroxide ($H_2O_2$) group-cells were exposed to $H_2O_2$ ($200{\mu}M$) for 2 h, and Dex/$H_2O_2$ group-cells were pretreated with dexmedetomidine ($5{\mu}M$) for 2 h then exposed to $H_2O_2$ ($200{\mu}M$) for 2 h.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were evaluated. Osteoblast maturation was determined by assaying bone nodular mineralization. Expression levels of bone-related protein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Results: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_2O_2$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is effect was improved by dexmedetomidine. The Hoechst 33342 and Annexin-V FITC/PI staining revealed that dexmedetomidine effectively decreased $H_2O_2$-induced hFOB cell apoptosis. Dexmedetomidine enhanced the mineralization of hFOB cells when compared to the $H_2O_2$ group. In western blot analysis, bone-related protein was increased in the Dex/$H_2O_2$ group. Conclusions: We demonstrated the potential therapeutic value of dexmedetomidine in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by inhibiting apoptosis and enhancing osteoblast activity. Additionally, the current investigation could be evidence to support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dexmedetomidine in vitro.

Effect of fermented blueberry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volatile molecule profiles of emulsion-type sausag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Zhou, Hengyue;Zhuang, Xinbo;Zhou, Changyu;Ding, Daming;Li, Chunbao;Bai, Yun;Zhou, Guangh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5호
    • /
    • pp.812-824
    • /
    • 2020
  • Objectiv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assess the effect of fermented blueberry (FB; 2%, 4%, and 6%)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volatile molecule profiles of emulsion-type sausage stored at 4℃ for 28 days. Method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B was determined throug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gainst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hydroxyl radicals. Four formulations of sausage treatments with different FB levels (0%, 2%, 4%, 6%) were prepared, then peroxide value (POVs),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protein carbonyls and thiol groups were measured. The aroma profiles of sausages for each treatment was also determined. Results: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icated that FB had greater scavenging ability than ascorbic acid against DPPH and hydroxyl radicals. Sausages with FB significantly retarded increases in POVs and TBARS, as well as in the content of protein carbonyls during all storage days (p<0.05). Particularly, 4% and 6% FB-treated sausages had better oxidation inhibition effects. However, FB accelerated the reduction in thiol groups (p<0.05). Additionally, FB inhibits the excessive formation of aldehyde compounds; for example, hexanal, which may cause rancid flavors, decreased from 58.25% to 19.41%. FB also created 6 alcohols (i.e.,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and phenylethyl alcohol), 5 ester compounds (i.e., ethyl acetate, ethyl lactate, and ethyl hexanoate) and 3-hydroxy-2-butanone in the sausages that contribute to sausage flavor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aroma profiles of sausages with and without FB are easily identified. Conclusion: The addition of FB c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lipid and protein oxidation and improve oxidative stability for storage. Also, adding FB could inhibit rancid flavors and contribute to sausage flavors.

산화(酸化)된 pellet에 의(依)한 틸라피아의 Ceroid증(症)과 비타민 E, C의 예방효과(豫防效果) (Ceroidosis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due to the Oxidized Pellet and the Preventive Effect of Vitamin E and C addition)

  • 조문규;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9-77
    • /
    • 1990
  • 시판(市販)되는 배합사료(配合飼料)를 장기간(長期間) 보관(保管)하거나 직사광선(直射光線)을 쪼이면 산화(酸化)되어 과산화물질(過酸化物質)을 많이 함유(含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산화(酸化)된 pellet을 틸라피아에 먹이면 내장(內臟)에 ceroid가 침착(沈着)되므로 대사장해(代謝障害)를 일으켜 어류(魚類)의 성장(成長)이 나빠지고 체색(體色)이 검어지면서 서서히 폐사(斃死)한다. 본(本) 논문(論文)은 산화사료(酸化飼料)를 먹임으로 인하여 양식(養殖) 틸라피아에서 발생(發生)하는 ceroid증(症)의 예방(豫防) 효과(效果)를 밝히기 위(爲)하여 비타민 C와 E를 첨가(添加)한 산화사료(酸化飼料)와 비첨가사료(非添加飼料)를 투여(投與)한 다음 그 결과(結果)를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으로 관찰(觀察)할 것이다. 실험(實驗)에는 1990년(年) 9월(月)부터 동년(同年) 11월(月) 27일(日)까지 67일가(日間) 실험실(實驗室)에서 체중(體重)이 100g인 80마리의 실험어(實驗魚)를 사용(使用)하였으며, 각각 농도(濃度)를 다르게 비타민 C, E를 산화사료(酸化飼料)에 첨가하여 사육(飼育)했다. 각(各) 장기(臟器)의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차이(差異)를 알기 위(爲)해 장기별(臟器別)로 조직(組織) 표본(標本)을 제작(製作)하여 관찰(觀察)해 본 결과(結果), 비타민 C와 E를 각각 1.0mg/g diet, 2.01U/g diet 이상(以上) 첨가(添加)한 산화사료(酸化飼料) 투여(投與) 실험구(實驗區)는 비타민 비첨가(非添加) 산화사료(酸化飼料) 투여(投與) 실험구(實驗區)에 비(比)하여 간장(肝臟), 비장(脾臟), 신장(腎臟) 등(等)의 내장(內臟)에 심착(沈着)된 ceroid의 양(量)이 현저(顯著)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macrophage의 출현율(出現率)도 적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부터, 틸라피아의 사육시(飼育時) 먹이로 주는 pellet은 산화(酸化) 정도(程度)에 따라서 비타민 C와 E의 양(量)을 적절(適切)히 혼합첨가(混合添加)하여 투여(投與)하면 산화사료(酸化飼料)의 섭취(攝取)로 인한 ceroid증(症)의 예방(豫防) 효과(效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로부터 산화 환원반응을 이용한 고순도 알파 알루미나의 제조 (Preparation of High Purity α-Alumina from Aluminum Black Dross by Redox Reaction)

  • 신의섭;안응모;이수정;오오츠키 치카라;김윤종;조성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445-449
    • /
    • 2012
  •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dox reaction on preparation of high purity ${\alpha}$-alumina from selectively ground aluminum dross. Preparation procedure of the ${\alpha}$-alumina from the aluminum dross has four steps: i) selective crushing and grinding, ii) leaching process, iii) redox reaction, and iv) precipitation reaction under controlled pH. Aluminum dross supplied from a smelter was ground to separate metallic aluminum. After the separation, the recovered particles were treated with hydrochloric acid(HCl) to leach aluminum as aluminum chloride solution. Then, the aluminum chloride solution was applied to a redox reaction with hydrogen peroxide($H_2O_2$). The pH value of the solution was controlled by addition of ammonia to obtain aluminum hydroxide and to remove other impurities. Then, the obtained aluminum hydroxide was dried at $60^{\circ}C$ and heat-treated at $1300^{\circ}C$ to form ${\alpha}$-alumina. Aluminum dross was found to contain a complex mixture of aluminum metal, aluminum oxide, aluminum nitride, and spinel compounds. Regardless of introduction of the redox reaction, both of the sintered products are composed mainly of ${\alpha}$-alumina. There were fewer impurities in the solution subject to the redox reaction than there were in the solution that was not subject to the redox reaction. The impurities were precipitated by pH control with ammonia solution, and then removed. We can obtain aluminum hydroxide with high purity through control of pH after the redox reaction. Thus, pH control brings a synthesis of ${\alpha}$-alumina with fewer impurities after the redox reaction. Consequently, high purity ${\alpha}$-alumina from aluminum dross can be fabricated through the process by redox reaction.

볶음처리에 따른 치커리의 기능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ory Roots Induced by Roasting Processes)

  • 홍미정;이기동;김현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13-418
    • /
    • 1998
  • 한국산 치커리 뿌리의 식품학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볶음온도$(120{\sim}180^{\circ}C)$와 볶음시간($10{\sim}40$분)을 달리하면서 치커리차의 품질에 관련된 관능적 및 기능적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갈색도는 볶음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볶음조건별 치커리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볶음처리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면서, 무처리 대조구보다 각각 2배와 3.6배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치커리의 볶음처리에 따른 페놀성 성분의 함량과 과산화물가 측정에 의한 항산화성의 변화는 볶음온도 $160^{\circ}C$, 볶음시간 30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치커리차의 관능적 기호도는 볶음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고온에서 장시간 볶음시에는 기호도가 떨어져 볶음온도 $170^{\circ}C$, 볶음시간 30분 이상의 조건에서는 기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볶음조건에 따른 치커리차 물추출물의 기능적 특성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전자공여작용은 갈색도 및 페놀성 성분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치커리추출물의 항산화성과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갈색도 및 전자공여작용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생강 추출획분의 대두유 및 흰쥐 간 마이크로좀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Effect of Ginger Fractions for Inhibition of Soybean Oil and Rat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 백숙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65-369
    • /
    • 1995
  • 본 연구는 생강의 추출획분 즉, 핵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핵산-에테르획분(1 : 1, v/v)을 얻어서 각 획분에 존재하는 진저롤의 함량과 대두유 및 간 마이크로좀에서 지질과산화의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생강에서 핵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핵산-에테르획분(1 : 1, v/v)을 추출하여 HPLC를 사용하여 진저롤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각 49.50, 20.74, 21.43와 93.70%였다. 이 4가지의 추출획분을 대두유에 0.2%(w/w)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45$^{\circ}C$에서 저장하여서 상대적 항산화효과(RAE)를 본 결과 핵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핵산-에테르획분(1 : 1, v/v)이 각각 2.60, 2.33, 2.07, 2.75이었고, 0.02% 농도의 BHT첨가군은 RAE가 1.74였다. 각 획분의 흰쥐 간의 마이크로좀의 지질과산화 억제율은 핵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이 350 $\mu\textrm{g}$/$m\ell$의 반응액농도에서 각각 93, 92, 86%의 억제율을 나타냈고, 핵산-에테르획분(1 : 1, v/v)은 20 $\mu\textrm{g}$/$m\ell$의 낮은 반응액농도에서 89%의 억제율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