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eability coefficient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27초

압밀시험중 직접투수시험에 의한 불교란 점토의 교란정도와 투수계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efficient of permeability due to disturbed level of clay by direct permeability test with consolidation test)

  • 김재영;김동현;소충섭;고전직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8-252
    • /
    • 2005
  • Compressibility and deformability of clays change greatly when the clays are subjected to disturbance. These tendencies have been studied. However, the effect of the disturbance on the permeability that consists of consolidation properties has not yet been studied.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permeability and volume ratio under the different degree of disturbance are experimently obtain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 are less influenced if the disturbance is less depending on the kind of soils.

  • PDF

포항 점토 지반의 수평배수 압밀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 of Consolidation for Radial Drainage of Pohang배s Clay Ground)

  • 이송;전제성;김원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85-692
    • /
    • 2000
  • Vertical drain used improvement soft clay is made of not only decreasing construction time but also increasing the ground strength during some decades. As, it is applied to improvement soft clay with vertical drain, it is designed by the result that is caused by oedemeter test ignored anisotropic of the ground related to consolidation conditions. When we are expected consolidation condition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s soil of compaction and water permeability. Above all, anisotropic of the ground permeability show the results which differ between vertical and radial drainage. Recently, We study for radial consolidation coefficient and permeability coefficient that utilized Rowe Cell Consolidation and permeability tester but, it dont use well because of not only a supply lack also difficulty of test. The paper experimented with searching anisotropic of the ground so there are Rowe Cell test, standard consolidation tester and modified standard consolidation test that have pohang's soft clay ground. Therefore, we find anisotropic of the ground and a tester of easy use more than before. We made a comparison test result between the devised tester and Rowe Cell tester, Also, we learned average degree of consolidation for partial penetrating vertical drains. We were found relations as effective stress-void and effective stress-permeability coefficient through those tests.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Permeable Concrete Pavement for Practical Use in the Field

  • Kim, Seong-Soo;Jung, Ho-Seop;Moon, Ha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19권1E호
    • /
    • pp.17-23
    • /
    • 2007
  • In rainy weather, permeable concrete pavement has advantages such as good drainage, increased skid resistance, reduced splash and spray behind vehicles for improving the safety of driving vehicles as well as reduction of the traffic noise. It also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raffic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permeable concrete in accordance with maximum size of aggregate, sand percentage and unit cement content were investigated for practical use of permeable concrete pavement. Although the permeability standard for typical permeable asphalt-concrete pavement is $1{\times}10^{-2}cm/sec$, the researchers determined that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the permeable concrete should be set higher at $1{\times}10^{-1}cm/sec$. Then, the researchers measured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strength, void ratio, and continuous void ratio of the permeable concrete while varying maximum size of the aggregate, sand percentage, unit cement content for detailed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void ratio, continuous void ratio, and flexural strength were about 15%, 12%, and 5.0MPa, respectively, when the permeability of the concrete was set at $1{\times}10^{-1}cm/sec$. Given that the maximum size of aggregate was $10{\sim}13mm$, w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best mix design for permeable concrete was $0{\sim}20%$ of sand percentage and $380kg/m^3$ of unit cement content.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투기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emtnal Study on the Air Permeability Effect on Concrete Carbonation)

  • 권영진;김무한;강석표;유재강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77-284
    • /
    • 2001
  • 경화콘크리트는 골재와 시멘트 수화물에 의한 매트릭스 구조로 되어진 다공체이기 때문에 내부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공극을 갖으며, 공기투과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투기성능은 탄산가스의 침투.확산에 따른 중성화속도와 산소와 물의 침투에 따른 철근의 부식속도를 결정하게 되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중성화속도 및 투기성능은 표면 마감재 및 콘크리트의 함수율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물-시멘트비 및 마감재의 종류, 양생조건이 콘크리트의 중성화속도 및 투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양생조건에 따른 함수상태가 투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실험결과 중성화속도 및 투기성은 물-시멘트비, 마감재의 유무 및 종류, 양생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콘크리트의 투기계수는 중성화속도계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중성화속도를 평가함에 있어서 투기계수를 요인으로 추정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 현무암 석분슬러지를 포함한 시멘트 혼합체의 투수특성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Cement Mixtures with Powdered Sludge of Basalt in Jeju Island)

  • 이양규;윤중만;송영석;김기영;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59-16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내에서 발생되는 현무암 석분슬러지를 차수용 재료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현무암 석분슬러지, 시멘트 및 모래 혹은 플라이애쉬(fly ash)를 교반하여 각 혼합비별 투수계수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플라이애쉬가 포함된 시멘트 혼합체의 경우 플라이애쉬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멘트 혼합체의 투수계수는 증가하며, 시멘트 혼합체를 차수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플라이애쉬 함량이 약 8%이하로 적용되어야 한다. 한편 모래가 포함된 시멘트 혼합체의 경우 모래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멘트 혼합체의 투수계수는 증가하며, 시멘트 혼합체를 차수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모래의 함량이 약 40%이하로 적용되어야 한다. 플라이애쉬 혹은 모래가 혼합된 석분슬러지 시멘트 혼합체를 서로 비교한 결과 차수재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플라이애쉬를 혼합하는 것 보다는 모래를 혼합하는 것이 더 유리함을 알 수 있다.

통기성을 갖는 막재료의 흡음특성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Membrane)

  • 정정호;김정중;김규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0-275
    • /
    • 2009
  •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membrane system which are used in stadiums and arenas were investigated. Theoretical studies on acoustic properties of single and double leaf permeable membrane conducted. Also, experimental studies on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combined membrane system that is composed of outer and inner membrane material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each membrane were investigated by experiments in reverberation chamber. 4 types of permeable membranes and a non-permeable membrane were used for experiments. Air space behind membrane material and tension on the membrane was varied.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of permeable membrane materials was confirmed. As increasing air space behind the membrane material,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was increased. In a resonance absorption frequency band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varied more dramatically.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were flat in mid and high frequency range and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was from 0,3 to 0,5. Also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was increased by the increment of surface density and air permeability of membrane. However, over the certain value of air permeability,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was decrease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design factors and method for the room acoustic design of dome-stadiums and large free-form buildings.

  • PDF

저소성 연약지반에서의 스미어 존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the Smear Zone by Vertical Drain of Low Plasticity on Soft Ground)

  • 강윤;백성철;김홍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7-33
    • /
    • 2007
  • 최근에 연약지반개량공사에서 연직배수공법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공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개량을 위한 배수재의 시공시에 지반 교란이 발생하여 스미어 존이라는 교란영역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스미어 존의 특징은 그 영역내의 투수계수가 감소하여, 설계시 예상하였던 압밀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는 점이다. 스미어 존의 수평압밀계수, 수평투수계수는 압밀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인자이다. 그러나 기존에 수행되는 설계방법에서 이러한 주요설계인자의 산정방법은 수직압밀계수에 의하여 수평압밀계수 및 수평투수계수를 경험적으로 유추하여 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산정된 수평투수계수, 수평압밀계수는 설계 특성상 불확실성에 대한 과대설계로 진행되어 시공성, 공사기간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에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저소성 지반을 대상으로 선정, 실험을 수행하여 저소성의 실트 및 점토지반에서의 스미어 존의 크기를 평가하였으며, 원지반의 압밀특성 및 물리적 특성과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여 설계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참오동나무의 열처리가 기체투과성, 흡음율과 음향투과손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Gas Permeability,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nd Sound Transmission Loss of Paulownia tomentosa Wood)

  • KANG, Chun-Won;JANG, Eun-Suk;JANG, Sang-Sik;Cho, Jae-Ik;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644-654
    • /
    • 2019
  • 참오동나무의 섬유방향기체투과성(gas permeability), 횡단방향 흡음율(sound absorption coefficient)과 음향투과손실(sound transmission loss)을 평가하고 열처리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참오동나무 원반을 100, 160, $200^{\circ}C$로 열처리하고 기체투과성, 흡음율, 음향투과손실을 각각 측정하여 무처리 원반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께 20 mm 참오동나무 원반의 섬유방향 기체투과성(specific permeability)은 무처리, 100, 160, $200^{\circ}C$ 열처리의 경우 각각 0.254, 0.279, 0.314, 0.452로 열처리에 의해 기체투과성이 약간 증가하였다. 두께 20 mm 무처리 참오동나무 원반의 50-6400 Hz 평균흡음율은 0.101이었으며 온도 100, 160, $200^{\circ}C$로 열처리한 목재의 50-6400 Hz 평균흡음율은 0.109, 0.096 그리고 0.106이었다. NRC (noise reduction coefficient) 는 각각 0.060, 0.067, 0.062 그리고 0.071 이었다. 두께 20 mm 무처리 참오동나무 원반의 50-6400 Hz 주파수범위에서 음향투과손실은 평균 36.93 dB이었다. 열처리에 의해 참오동나무 원반의 기체투과성과 흡음율은 열처리에 의해 그리고 열처리 온도 증가에 의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증가정도는 미미하였다.

재성형된 포항 이암풍화토의 투수에 관한 이방성 연구 (A Study on the Anisotropic Characteristics of Permeability of a Remolded Decomposed Mudstone Soil in Pohang)

  • 김영수;정성관;김대만;권용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5-17
    • /
    • 2003
  • 수직 및 수평방향 압밀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Rowe cell을 사용하여 재성형된 포항 이암풍화토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압밀과 투수특성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를 Oedometer 시험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간접투수계수는 9가지의 압밀계수 산정법에 의해 구하여진 압밀계수로부터 산정하였다. 수직배수인 경우 ${\sqrt{t}}$ 법과 hyperbolic 방법에 의한 간접투수계수가 비교적 직접투수계수와 잘 일치하였고, 수평배수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모든 방법에서 과대평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직 및 수평방향 직접투수계수에 의한 이암풍화토의 투수에 대한 이방성 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압밀하중에서 평균 약 13정도의 이방성을 보였다.

  • PDF

이암풍화토의 횡방향압밀 및 투수특성 (A Study on the Horizontal Consolidation and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Decomposed Mudstone Soil in Pohang)

  • 김영수;김기영;백영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1-42
    • /
    • 2000
  • 압밀과 투수는 흙의 중요한 공학적 특성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점토에 대한 압밀 및 투수계수는 표준압밀시험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에 의해 구해지고 있다. 그러나 표준압밀시험은 시료의 포화문제, 간극수압의 측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횡방향 압밀시험을 수행 할 수 없어 그나마 정확한 횡방향 압밀계수를 산정할 수 없다. 그리고 압밀계수를 구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해석방법인 Taylor방법과 Casagrande 방법은 2차압밀이 불분명하고 초기 직선부분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험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제작된 Rowecell을 이용하여 포항지역의 이암풍화토를 이방성 및 시료의 크기를 고려해 횡방향압밀시험을 실시하고 이 결과를 4가지 해석방법$(Taylor,\; Casagrande,\; Hyperbolic,\; \delta/t-logt)$으로 비교 분석하여 해석방법에 따른 압밀계수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투수계수(k)와 간극비(e)의 관계를 규정할 수 있는 투수상수를 해석방법에 따라 구하였으며, 압밀시험에서 계산된 간접투수계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Rowecell을 이용한 직접투수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