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anent incisor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2초

근관협착된 치근파절 치아에서 의도적 재식술 치험례 (Intentional Replantation of a Root-Fractured Tooth with Pulp Canal Obliteration)

  • 김미희;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0-206
    • /
    • 2016
  • 상아질, 백악질, 치수를 포함하는 파절로 정의되는 치근파절은 영구치에서 발생하는 외상 중 0.5-7%를 차지하며, 대부분 11-20세군의 상악 전치부에 호발한다. 영구치 치근파절의 처치는 기본적으로 변위된 치관부 파절편을 정복시키고 고정하는 것이다. 60-80%는 치수생활력이 유지되나 치수괴사나 염증성 치근흡수의 징후가 나타난다면 근관치료를 시행하게 되며 대부분에서 치근부 파절편의 치수생활력은 유지되기 때문에 근관치료는 치관부 파절편에 한하여 수행한다. 그러나 치관부 파절편에서 적절한 apical stop을 얻는 것은 어렵다. 의도적 재식술이란 통제된 환경에서 의도적으로 치아를 발거한 후 구강 외에서 치근단 치료를 시행하고 재식립하는 방법으로 완벽한 근관치료와 수복을 목표로 한다. 통상적인 근관치료가 실패한 경우, 기존의 수복물이 존재하거나 석회화된 근관으로 인해 재근관치료가 어려운 경우, 공간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하여 치근단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는 증례에서 의도적 재식술이 계획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이전의 외상으로 인해 석회화된 근관을 보이는 상악 중절치에서 발생한 수평 치근파절을 치료하기 위해 의도적 재식술을 이용하였고 임상적,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선천 결손으로 오인될 수 있는 하악 제2소구치의 발육지연 (THE DELAYED DEVELOPMENT OF MANDIBULAR SECOND PREMOLARS - A PITFALL FOR MISDIAGNOSIS OF CONGENITAL ABSENCE)

  • 우연선;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9-373
    • /
    • 2001
  • 하악 제2소구치의 선천결손은 비교적 흔히 나타나는 이상으로, 방사선사진에서 결손으로 확인되는 경우 여러가지 치료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환자의 연령, 제2유구치 치근의 흡수상태, 총생의 정도, 악골의 성장, 측모의 형태, 절치의 돌출도, 하안 모고경 등을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선천결손의 진단과 치료방법의 결정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하악 제2소구치는 분화와 석회화과정에 있어서 가장 많은 변이를 보이는 치아이다. 경조직 형성은 $2\frac{1}{4}\sim2\frac{1}{2}$세에 시작되며, 대부분 적어도 $3\sim3\frac{1}{2}$세에는 시작된다. 그러나, 이 시기는 다른 영구치에 비해 그 범위가 매우 넓어서 $5\sim6$세, 드물게는 그 이후에 발육이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하악 제2소구치의 선천결손을 조기에 진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선천결손으로 진단한 경우라도 오진할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는 두 가지 증례를 통한 임상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 증례 모두에서 하악 제2소구치의 두드러진 발육지연이 관찰되었다. 2. 치배형성 이후의 석회화 속도는 거의 정상적으로 나타난 것을 보아, 발육지연은 석회화 과정보다는 분화과정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이와 유사한 증례를 접하였을 경우, 치아의 선천결손으로 단정하기 보다는 발육지연의 가능성을 함께 고려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치은연 하방으로 파절된 치아의 탈회냉동건조골을 이용한 Intra-alveolar transplantation (INTRA-ALVEOLAR TRANSPLANTATION OF COMPLETELY CROWN-ROOT FRACTURED TOOTH WITH DEMINERALIZED FREEZED DRIED BONE GRAFT)

  • 임형수;김동필;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44-350
    • /
    • 2000
  • 외상으로 인하여 치아가 받는 여러 가지 손상형태 중 치관-치근파절이 나타나는 빈도는 영구치에서 5%, 유치열에서는 2%라고 알려져 왔다. 치조정 하방에 파절선이 존재하고 치수노출을 동반한 치관-치근 파절에서는 크게 두가지의 보존적인 치료방법이 있다. 첫째, 교정력에 의해 정출시키는 방법과 둘째 치조와내에서 교합면 방향으로 재위치시키는 Intra-alveolar transplantation 등이 있다. 외과적 정출법은 1970년대에 소개된 이래로 교정적 정출법의 대안으로 많이 시행되고 있으며 높은 성공률을 가진 술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증례는 외상으로 인해 상악 우측 중철치의 치수노출을 동반한 치관-치근 파절이 발생한 경우로 외과적 정출을 시행하기로 하였으나, 치근단 파절편의 길이가 짧아서 치아를 발거 후 회전시켜 재식하는 방법만으로는 파절선을 치조정 상방으로 위치시킬 수가 없었다. 따라서 치아를 발거한 후 파절편의 지지를 위해 치조와의 치근단부에 탈회냉동건조골을 이식한 후에 치근단 파절편을 노출한 후 suture splint를 시행하였다. 1년 3개월간의 관찰결과, 치조백선이 회복되고 정상적인 동요도를 보였으며, 염증성, 대체성 치근흡수 등과 같은 합병증은 발생되지 않았다.

  • PDF

외과적 정출술을 이용한 치관-치근 파절된 미성숙 영구치의 치험례 (SURGICAL EXTRUSION OF THE CROWN-ROOT FRACTURED INCISORS: CASE REPORTS)

  • 이은미;김태완;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05-312
    • /
    • 2008
  • 치아의 치관-치근 파절은 치아파절이 치관과 치근에 걸쳐 발생되어 법랑질, 상아질 및 백악질까지 이환된 경우로 정의되며, 치수이환여부에 따라 복잡파절과 비복잡파절로 분류될 수 있다. 치관-치근 파절의 빈도는 유치열에서 2%, 영구치열에서 5%로 나타나며, 보통 상악 전치부에 호발한다. 이러한 치관-치근 파절된 치아의 수복을 위해서는 생물학적 폭경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은 골삭제 후 치은절제술, 교정적 견인, 외과적 정출 후 수복하는 방법과, 인위적으로 발치하여 근관치료와 수복 후 재식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중 외과적 정출술은 치아를 발거하여 파절부를 치은 연상으로 이동시켜 재식하는 방법으로서, 이는 치관부 파절편이 임상치근의 1/2 미만인 경우에 적응증이 될 수 있으며, 발견하지 못한 다른 파절편을 직접 시진할 수 있고 때로는 파절선을 순측에 위치시켜 치료시 시야확보 및 접근이 용이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외상으로 치관-치근 파절된 미완성 치근단의 상악 중절치를 가진 환아에서 외과적 정출술 후 근관치료와 광중합복합레진을 이용한 치관수복을 시행하였으며, 정기적 검진시 양호한 결과가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하악 중절치에 발생한 치내치 (DENS INVAGINATUS IN MANDIBULAR CENTRAL INCISORS)

  • 이정진;최병재;이제호;최형준;손흥규;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13-318
    • /
    • 2008
  • 치내치(dens invaginatus)는 형태분화기에 비정상적인 치아발생이 원인으로 경조직이 석회화되기 전에 법랑질 상피가 함입되어 생기는 드문 치아 기형이다. 치내치의 발생 빈도는 0.04-10 %이고 대부분이 상악에서 발생하며 특히 상악측절치에서의 빈도가 높고 하악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치내치는 우상치나 왜소치, 쌍생치, 과잉치, 상아질 형성부전증과 같은 형태 이상과 연관되어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치내치는 함입된 정도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를 보이며, 이러한 기형은 미생물의 침입을 용이하게 하므로 치아우식증과 치수감염 및 괴사의 위험성을 높인다. 치수조직에 문제가 생긴 경우 근관의 복잡한 해부학적 형태 때문에 근관치료가 매우 어려우므로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들은 하악 중절치에 드물게 발생하는 치내치를 가진 환아에 대한 것으로 하악 중절치에서의 치내치 유병율과 치료에 대한 고찰을 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Root canal treatment of dens invaginatus and fused tooth

  • Park, So-Young;Bae, Kwang-Shik;Lim, Sung-Sam;Baek, Seung-Ho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7-251
    • /
    • 2001
  • ;A dental developmental anomaly is defined as an isolated aberration in tooth form, caused by a disturbance or abnormality which occurred during tooth development. There are numerous types of dental anomalies, and a considerable variation in the extent of the defects occurs with each type. Teeth with these anomalies pose unique challenges. Since the defects are not always apparent clinically, they can confuse diagnosticians investigating the etiology of pulpal pathosis. When endodontic treatment is required, the defects often hinder access cavity preparation and canal instrumentation. Treatment planning also becomes more challenging, since the defects can create complicated periodontal problems, and the malformed teeth can be difficult to restore, particularly those weakened by endodontic therapy. Fusion is defined as the joining of two developing tooth germs resulting in a single large tooth structure. The incidence of fusion is < 1% in the Caucasian popul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physical force or pressure produces contact of the developing teeth.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a fused tooth usually appears as one large crown with at least partially separated roots and root canals. There may be a vertical groove in the tooth crown delineating the originally separate crowns. Dens invaginatus is a deep surface invagination of the crown or root that is lined by enamel. Teeth in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es may be affected, but the permanent maxillary lateral incisor is the tooth most commonly involved. Studies have revealed an incidence ranging from 0.25% to as high as 10%. The invagination ranges from a slight pitting to an anomaly occupying most of the crown and root. The invagination frequently communicates with the oral cavity, allowing the entry of irritants and microorganism either directly into pulpal tissues or into an area that is deparated from pulpal tissues by only a thin layer of enamel and dentin. This continuous ingress of irritants and the subsequent inflammation usually lead to necrosis of the adjacent pulp tissue and then to periapical or periodontal abscesses. If the invagination extends from the crown to the periradicular tissue and has no communication with the root canal system, the pulp may remain vital. Recommended treatment of fused tooth and dens invaginatus has been reported in the endodontic literature.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endodontic treatment of a maxillary laterl incisors having fused crown and dens invaginatus.natus.

  • PDF

치아 우식부의 기계화학적 제거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ICACY OF CHEMO-MECHANICAL REMOVAL OF DENTIN CAR10US LESION)

  • 임순빈;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3호
    • /
    • pp.149-157
    • /
    • 2005
  • 본 연구는 우식의 기계적 제거와 기계화학적 제거의 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기계적 제거방법은 저속의 round bur로, 기계 화학적 제거 방법은 Carisolv로 우식을 제거한 후, 잔존 우식을 확인하여 소요시간을 측정하였고, 또 실험실에서 발치한 우식 대구치 20개를 위 두 가지 방법으로 우식을 제거 후, Villanueva bone stain액으로 염색하고 표본을 제작 후 관찰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우식제거에 평균소요시간은 기계화학적 제거가 기계적인 제거보다 1.5배 더 길게 나타났다 (P < 0.05). 2, 우식제거에 평균소요시간은 소구치보다 대구치에서 더 길었고, 전치에서 가장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3 상 · 하악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P > 0.05) 4. 기계화학적 방법으로 우식 상아질을 제거 시 잔존 우식 상아질이 관찰되었으며 두 방법 모두 우식 상아질을 제거한 표면에서는 도말층을 관찰할 수 없었다.

치관-치근 파절된 치아의 의도적 재식술 치험례 (INTENTIONAL REPLANTATION OF THE CROWN-ROOT FRACTURED TOOTH: A CASE REPORT)

  • 김수경;안승태;최성철;김광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81-386
    • /
    • 2010
  • 수직적으로 치관-치근 파절된 전치부에서 파절은 치근을 따라 다양한 부위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그 깊이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된다. 파절선이 치관부에 근접한 경우 치은 판막을 형성하여 파절 부위를 노출시키거나 교정적 또는 외과적으로 치아를 정출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파절선의 위치가 깊은 경우 그 예후는 불량하며 치근의 1/3 이상을 넘어선 경우에는 발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성장기 아동에서 상악 중절치의 발치는 심미적 문제, 치조골 흡수, 발음 문제 등 여러 합병증을 초래하게 되므로 성장기 동안 치아를 보존하는 것을 최우선의 목표로 한다. 그러므로 수직 치관-치근 파절된 전치부 치아의 치료 시 발치 대신 복합레진으로 파절선을 수복한 후 재식하는 의도적 재식술을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중절치의 치관-치근 파절이 치근 1/2 정도로 깊게 발생한 혼합치열기 환아에서 해당치아를 의도적으로 발치하고 복합레진으로 파절 부위를 수복한 후 재식하였다. 이후 2년 동안 관찰한 결과 특이한 임상적 증상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심미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방법은 술식에 민감하며 장기적 예후에 대한 보고는 부족하지만, 치아를 보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순/구개열 환자에서의 교정-보철 치험례 (ORTH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 장원석;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8-393
    • /
    • 2000
  • 순 구개열(cleft lip and palate)은 구강악안면 영역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선천성 기형 중 하나로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다. 순 구개열 환자는 입술, 코 등의 기형을 보이며 치과적 문제점으로, 이환측 측절치는 결손되어 있거나 과잉치가 존재하고 형태적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맹출하지 못하거나 이소맹출을 하게된다. 이른 시기에 수행된 수술의 반흔조직(scar tissue)으로 인하여 상악골 성장의 장애가 발생되어 흔히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야기되기 쉬우며, 섭식장애와 발음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복잡한 문제로 인하여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로부터 다양한 관리가 필요하다. 순/구개열(cleft lip and alveolus only)은 악안면 영역에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비이환측은 전방으로 회전되어 수평피개가 증가되고, 이환측은 내측으로 회전되어 견치부에서 end to end 관계, 혹은 반대교합을 보인다. 순/구개열 수술은 이와 같은 문제점 등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악골의 전후방적 성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좌측에 순/구개열을 가진 5세 3개월의 여아로 생후 3개월 및 3세에 두 번의 구순열 봉합 수술을 받았으며, 상악 좌측 유측절치와 영구측절치가 결손되어 있었고, 다발성 우식증 및 비구누공(oroantral fistula)이 존재하였으며,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을 보였다. 그러나 본 증례가 지니고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은 구순열 수술후의 반흔조직에 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환자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혼합치열기 동안 공간관리(space supervision) 및 악기능 장치 (functional regulator)를 이용한 골격성 부정교합을 치료하였으며, 영구치열기 동안 고정성 교정치료를 시행한 후 보철 치료를 시행하여 비구누공을 key and keyway attachment와 Konus crown을 이용한 가철성 obturator로 폐쇄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in Composite Resin Brackets with Metal Slot of Permanent Maxillary Central Incisor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A Pilot Study

  • Im, Jae-Jung;Song, Jae-Joon;Kim, Nan-Hee;Heo, Jin-Young;Jung, Gyu-Un;Hwang, Kyung-Gyun;Park, Chang-Joo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46-51
    • /
    • 2011
  • Purpose: For aesthetic reasons, composite resin brackets are widely used. However, related studies are rare. This pilot study sought to compare the stress distributions in two commercially available composite resin brackets with metal slot. Materials and Methods: Two commercially available resin brackets -- full-metal slot resin bracket (fSRB) and partial-metal slot resin bracket (pSRB) with straight wire appliance dimension of $0.022{\times}0.028$ in -- were selected. In each bracket,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constructed, and stress level was evaluat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By loading the tipping force and torsion moment, which are similar to those applied by the stainless steel rectangular wire ($0.019{\times}0.025$ -in), stress distributions were calculated, and von Mises stress values were obtained. Results: In pSRB and fSRB, the stress value of the torque moment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tipping force. The pSRB showed higher stress value than fSRB in both tipping force and torque moment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size and configuration of the metal frame inserted into the slot. More stress was also found to be concentrated on the slot area than the wing area in fSRB. Conclusion: The slot form of fSRB was found to be more resistant to the stress of tipping and torque than the slot form of pSRB. In addition, the slot areas -- rather than the wing areas -- of the bracket showed breakage susceptibility. Therefore, resistance to the torque moment on the slot area should be considered in bracket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