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toneal Dialysis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5초

소아에서 복막투석도관 삽입시 복강경을 이용한 방법과 기존의 수술법에 따른 초기 합병증 발생의 차이 (Comparison of Early Complications after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mplantation by Laparoscopic Surgery and Conventional Surgery in Children)

  • 정수인;이현영;이철구;서정민;이석구;김수진;곽민정;진동규;백경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1호
    • /
    • pp.51-58
    • /
    • 2007
  • 목적 : 복강경을 이용한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은 직접 복강 내를 들여다보며 시술할 수 있어 위치 선정이 쉽고, 조직 손상이 적으며 합병증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아에서의 경험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삼성서울 병원에서 3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복강경을 이용하여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을 시행한 21례와 고식적 수술 방법으로 투석도관을 삽입한 16례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복막투석관 삽입 후 첫 2개월간 투석도관의 누출, 폐쇄, 삽입 부위의 감염, 위치 이동 등 복막투석관 삽입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고식적 수술을 받은 군(16례)에서 1례(6.3%)에서 수술 직후 심한 출혈로 재수술을 받았고, 복막액의 누출은 2례(12.5%) 있었으며,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삽입 부위 감염은 없었으나, 2례(12.5%)에서 복막염이 발생하였다. 투석도관의 이동으로 인한 기능부전이 3례 있었고 이중 2례에서 재수술을 받았으며, 1례는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복강경 수술을 받은 군(21례)에서 2례(9.5%)에서 투석액의 누출이 있었고,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삽입 부위의 감염은 없었고, 복막염이 2례(9.5%)에서 있었다. 1례에서 투석도관의 막힘이 있었고, 이 경우는 기존의 고식적 수술로 투석관 삽입 후 투석관 이동으로 재 삽입 후 불응성 복막염으로 투석관을 제거한 뒤 복강경 수술을 받은 증례였다. 투석도관의 이동은 없었다. 두 군의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소아에서 복강경적 투석도관 삽입술을 시행한 경우, 1세 미만의 소아에서도 시술이 가능하였으며, 기존의 수술법에 비해 합병증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절개범위를 더 넓히지 않으면서도 장간막 절제 및 투석도관의 고정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추후 투석도관의 이동이나 폐쇄의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복막투석도관 수술 시 복강경적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복막 투석을 위해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노인 투석환자의 영양상태 평가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in Elderly Dialysis Patients)

  • 노유자;하혜정;고혜영;박옥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04-319
    • /
    • 1996
  • It is important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atients receiving dialysis, since wasting and malnutrition are their common problems. This study aims at assessing their nutritional status by the type and duration of dialysis. The nutritional status such as somatic fat and protein storage was evaluated with anthropometric measure including weight/height ratio, triceps skinfold thickness and midarm muscle circumference. It was also measured with albumin, transferrin, C3 and IGF-1 and calorie and protein intakes. The general clinical condition of patients was evaluated with the severity of uremia and metabolic acidosis. which were measured through the levels of serum urea, creatinine and bicarbonate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OVA, Wilcoxon-rank sums test, Scheffe test, Kruskal-Walli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are following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lorie and protein intakes by the type and duration of dialysis received. 2. As for the anthropometric measu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the type of dialysis in body mass index triceps skinfold thickness and midarm muscle circumference. Yet these anthropometric measures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duration of dialysis in those elderly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HD group), but this finding was not found in those receiving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3. Regarding the indicators of uremia and metabolic acidosis, blood urea nitrogen(BUN) and creatinine were lower in the CAPD group than in the HD group, whereas bicarbonate ion was higher in the CAPD group than in the HD group,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HD group, creatinin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the duration of dialysis. 4. Serum trasferrin and C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PD group than in the HD group. However. each of biochemical indice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by the duration of dialysis in both HD and CAPD groups. 5. Anthropometric measu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etary intak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biocarbonate ion, BUN and creatinine.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serum protein and albumin and between transferrin and C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Yet, IGF-1 reveal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ther nutritional indices.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nutritional status measured with protein and calorie intakes between the type and duration of dialysis, but CAPD seems to benefit correcting uremia and metabolic acidosis than HD. Studies of dietary management for dialysis patients need to be pursued in order to improved the quality of aged patients receiving dialysis.

  • PDF

소아 복막투석환자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 유전자 다형성이 복막의 용질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EGF Genetic Polymorphism on Peritoneal Solute Transport in Pediatric Dialysis Patients)

  • 최현진;백경훈;조희연;강희경;정해일;최용;하일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2호
    • /
    • pp.166-173
    • /
    • 2010
  • 목 적 : 복막투석환자에서 복막의 용질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전적 요인과 임상적 요인이 있다. 복막평형검사는 복막투석환자의 복막 용질이동속도를 평가하는 데에 유용한 검사로, 본 연구에서는 소아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평형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의 유전자 다형성과 복막 용질이동성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의 소아 복막투석환자 중에서 복막염의 병력이 없고 복막투석 시작한 지 1년 이내에 복막평형검사가 시행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VEGF 유전자 -2578 C/A, -14978T/C, -1154G/A, -634G/C, +936 C/T의 단일 유전자다형성분석을 시행하였고 VEGF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와 복막평형검사 결과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복막평형검사를 분석한 결과, 4시간 크레아티닌의 투석액/혈장비(D/P creatinine)는 $0.56{\pm}0.13$였고 4시간 투석액/0시간투석액포도당비(D/$D_0$ glucose)는 $0.43{\pm}0.11$였다. 배수체 CTGGC의 이형접합체 또는 동형접합체인 경우가 배수체 CTGGC를 가지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은 4시간 D/P creatinine ($0.67{\pm}0.12$ vs $0.50{\pm}0.09$, P=0.007)과 은 4시간 D/$D_0$ glucose ($0.35{\pm}0.12$ vs $0.47{\pm}0.08$, P=0.037)를 보였다. 결 론 : VEGF 유전자 다형성은 복막 용질이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크레메진의 만성신부전증 환자 투석도입 지연효과에 대한 최대지불의사액(willingness-to-pay) 추청 (Estimating willingness-to-pay for Kremezin in delaying the initiation of dialysis treatments among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 이선미;문연옥;조우현;이후연;강혜영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6-116
    • /
    • 2006
  • To assess the economic value of pharmaceutical therapy with Kremezin, we investigated the maximum amount of willingness-to-pay (WTP)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CRF) for a hypothetical effect of Kremezin in delaying the initiation of dialysis treatments. A face-to-face survey was carried out in a sample of 141 CRF patients from 2 dialysis centers, composed of 82 hemodialysis patients, 38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and 21 non-dialysis CRF patients. Using a bidding game method with a starting point of 320,000 Won, which is the average monthly out-of-pocket payment for dialysis treatment, we asked the study subjects how much they would pay per month to receive Kremezin therapy. The mean out-of-pocket monthly WTP for Kremezin was 310,000, 430,000, and 520,000 Won (p<0.05, repeated one-way ANOVA)) when Kremezin delays the initiation of dialysis treatments by 1, 2, and 4 year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pondent's WTP and income $(r=0.266{\sim}0.368,\;p<0.05)$ confirm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WTP instrument.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with a higher education, with diabetes as a major causes of CRF, and undergoing hemodialysis treatments tended to express higher WTP for Kremezin. The economic value of WTP from the perspective of patients varied from 310,000 to 520,000 Won depending on the effect size of Kremezin. The mean WTP was higher than 32,000 Won, only when the hypothetical effect of Kremezin in delaying the initiation of dialysis is for 2 years. This implies that Kremezin might be the preferred choice of therapy by CRF patients if it delays the initiation of dialysis treatment for at least 2 years.

한국 소아복막투석의 현황 - 다기관 공동연구 결과보고 - (Pediatric Peritoneal Dialysis in Korea : Practical Solution to the Problems of Peritoneal Dialysis for Children)

  • 김병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2호
    • /
    • pp.95-103
    • /
    • 1998
  • 목 적 : 우리 나라의 여러 기관에서 시행된 소아복막투석의 자료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한국 소아복막투석의 현황을 파악하고 공통적인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1987년 11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대한소아신장학회의 총17개 기관에서 시행된 264례의 소아복막 투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CAPD)은 114례에서 시행되었으며 투석시행 당시의 평균연령은 $10.5{\pm}6.6$세, 남녀비는 1.4:1 였고 평균 투석시행 기간은 $20{\pm}16.9$개월 이었다. 말기신부전의 원인질환은 114례중 88례($77\%$)에서 확인되었으며, 국소성분절성사구체경화증이 $1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역류성 신병증과 만성사구체신염이 각각 $11.4\%$ 였다. 부작용은 복막염이 가장 많았고($69\%$) 빈도는 one episode/18.2 patient-months 였으며 원인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가 가장 많았다. 투석전후의 환아의 성장상태는 투석전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SDS)가 -1.34 였고 투석후 -2.01로 투석후에 더욱 악화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급성복막투석은 150례에서 시행되어 평균투석기간은 $10.3{\pm}11.3$일 이었다. 원인질환은 패혈증($20.6\%$), 선천성 심장병($18.6\%$), 용혈성요독증후군($16\%$)순서였다. 부작용으로는 복막염이 $78\%$로 가장 많았고 빈도는 1회/5.17patients였다. 결 론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시행한 환자에서 말기신부전의 원인으로 사전에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한 역류성신병증이 두 번째로 많은 빈도를 보여 요로감염환자에서 방광요관역류에 대한 적극적인 진단 및 치료가 요구되었고 서구에 비하여 선천성 기형에 의한 말기신부전의 빈도는 비교적 낮았다. CAPD시행후 오히려 시작전에 비하여 악화된 성장상태를 볼 때 투석중 영양공급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앞으로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공급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복막투석환자에서 CKD-MBD와 중증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에서 비타민 D 치료 (Chronic Kidney Disease-mineral Bone Disorder and Active Vitamin D Analogs for Treating Severe Hyperparathyroidism in Children Receiving Chronic Peritoneal Dialysis)

  • 강은구;이주훈;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8권2호
    • /
    • pp.64-70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만성복막투석환자에서 만성 신부전 무기질 골 장애의 목표 달성 정도의 평가와 중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에서 비타민 D 치료에 대해 검토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3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1년 이상 복막투석을 시행한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이다. 결과: 인산염 결합제제와 비타민 D 치료에도 불구하고 투석기간 중 인, 칼슘, PTH가 KDOQI의 목표치 내에 있었던 비율의 평균${\pm}$표준편차 값은 각각 $25.06{\pm}17.47%$, $53.30{\pm}23.03%$, $11.52{\pm}9.51%$이었다. 10명(18.9%)의 환자에서 CKD-MBD의 임상적 증상 혹은 영상의학적 징후가 있었고, 이는 증상 혹은 징후가 없었던 군과 비교하여 PTH가 목표치보다 높았던 시간의 비율이 길고($63.79{\pm}27.86%$ vs. $37.09{\pm}27.76%$, P=0.022) PTH가 목표치보다 낮았던 시간의 비율이 짧은 것($11.74{\pm}7.37%$ vs $40.77{\pm}25.39%$, P<0.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이 있었던 25명의 환자 중 고용량비타민 D 치료를 받은 환자는 13명이었고 이 중 7명의 환자가 특별한 합병증 없이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이 조절되었다. 결론: 만성복막투석에서 CKD-MBD를 조절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칼슘, 인, 비타민 D, PTH가 목표치를 만족하는 기간의 비율은 낮은편이다. 중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의 반 정도에서 고용량 비타민 D 치료가 필요하였고 이 중 50% 정도에서 효과가 있었다.

토끼에서 초저체온증의 회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very of deep hypothermia in rabbits)

  • 이병한;전원철;김진영;김종성;박정환;박종성;한진수;정병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77-188
    • /
    • 1999
  •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overy in rewarming using the esophageal thermal tube in the deep hypothermia($25{\pm}1^{\circ}C$ ; rectal temp) in rabbits. Fifteen rabbits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n=6), peritoneal dialysis group(n=5) irrigated with dialysate at $42{\pm}1^{\circ}C$, and esophageal rewarming group(n=4) perfused with circulating water at $38{\pm}1^{\circ}C$. Rewarming of the rabbits was performed for 5 hours. MAP, HR, RR, esophageal temp, rectal temp, pH, $pCO_2$, $pO_2$, $Na^+$, and $K^+$ were observed. The results obtained in these experim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Esophageal rewarming group($38{\pm}1^{\circ}C$) had more effect on esophageal temperature than other groups. Peritoneal dialysis group($42{\pm}1^{\circ}C$) had more effect on rectal temperature and $pO_2$ than other groups. The both groups also had more effects on MAP, HR, RR, and $pCO_2$ than control group. Three group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H, $Na^+$, and $K^+$.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simple, safe, and non-invasive esophageal rewarming method had an effect on the treatment of profound hypothermia as well as the peritoneal dialysis method in spit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ialysate and the circulating water, and the circulating water at $38{\pm}1^{\circ}C$ for esophageal rewarming also had an effect on the recovery of deep hypothermia.

  • PDF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efficacy of Roxadustat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ith erythropoietin hyporesponsiveness

  • Jie Liu;Shuang Li;Fan Yang;Tianyu Li;Rui Li;Yousuf Waheed;Chen Meng;Shulin Li;Kun Liu;Yanshan Tong;Haisheng Xu;Chuankuo Tian;Xinglei Zhou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9권3호
    • /
    • pp.488-500
    • /
    • 2024
  • Background/Aims: Roxadustat, an oral medication for treating renal anemia, is a hypoxia-inducible factor prolyl hydroxylase inhibitor used for regulating iron metabolism and promoting erythropoies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oxadustat in patients undergoing peritoneal dialysis (PD) with erythropoietin hyporesponsiveness. Methods: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81 PD patients (with erythropoietin hyporesponsiveness) were divided into the roxadustat group (n = 61) and 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s (ESAs) group (n = 20). Hemoglobin (Hb), total cholesterol, intact parathyroid hormone (iPTH), brain natriuretic peptide (BNP), related indicators of cardiac function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were collected. Additionally, adverse events were also recorded. The follow-up period was 16 weeks. Results: The two groups exhibited similar baselin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t baseline, the roxadustat group had a mean Hb level of 89.8 ± 18.9 g/L, while the ESAs group had a mean Hb level of 95.2 ± 16.0 g/L. By week 16, the Hb levels had increased to 118 ± 19.8 g/L (p < 0.05) in the roxadustat group and 101 ± 19.3 g/L (p > 0.05) in the ESAs group. The efficacy of roxadustat in improving anemia was not influenced by baseline levels of hs-CRP and iPTH. Cholesterol was decreased in the roxadustat group without statin use. An increase in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and stabilization of BNP were observed in the roxadustat group. Conclusions: For PD patients with erythropoietin hyporesponsiveness, roxadustat can significantly improve renal anemia. The efficacy of roxadustat in improving renal anemia was not affected by baseline levels of hs-CRP0 and iPTH.

투석 치료중인 만성 신부전 소아에서의 지질 및 지질단백 이상 (Lipoprotein and Lipid Abnormalities in Uremic Children with Maintenance Dialysis)

  • 김정수;송정한;박혜원;정해일;김진규;최용;고광욱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2호
    • /
    • pp.109-116
    • /
    • 1997
  • 목적 :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심혈관계 질환은 유병율 및 사망율의 중요한 원인중 하나이다. 이들 환자에서 흔히 동반되는 고지질단백 혈증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로 작용하며, 특히 lipoprotein(a)[Lp(a)]는 관상동맥 질환과 혈전증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소아에서도 만성 신부전시 고지질 혈증이 보고되어 있다. 저자들은 투석 치료중인 만성 신부전 소아를 대상으로 혈중 지질, 지질단백 및 Lp(a)의 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법 :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유지 혈액 투석을 받고 있는 환아 10명과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을 받고 있는 환아 14명을 대상으로 정맥 혈청중 지질, 지질단백 및 Lp(a)농도를 측정하여 건강 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Lp(a)의 혈중 농도에 따른 다른 지질단백의 혈중 농도를 비교하였다. 혈액투석(hemodialysis, HD)환아군의 평균 연령이 $162{\pm}59$ 개월, 남녀비는 7:3 이었으며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PD)환아군의 평균 연령은 $123{\pm}69$개월, 남녀비는 6:8 이었다. 결과 : 1) 연령, 성별, 비만지수, 투석기간은 HD군과 PD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혈중 단백과 알부민치는 PD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2) HD군과 PD군 모두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비중 지질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콜레스테롤)과 고비중 지질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의 비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며, HDL-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의 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3) 혈중 아포단백 B치는 대조군에 비해 상승되어 있었지만 아포단백 Al과 아포단백 B의 비는 차이가 없었고, 혈중 Lp(a)치는 PD군에서만 대조군보다 상승되어 있었다. 4) 혈중 Lp(a)치가 30 mg/dl 미만인 환아는 13명, 30 mg/dl 이상인 환아는 11명으로 이들 간에 연령, 비만지수, 투석방법, 투석기간은 차이가 없었으나 혈중 알부민은 Lp(a)가 상승된 환아들에서 감소되어 있었다. 5) 혈중 Lp(a)농도와 다른 지질 단백과의 비교에서 아포 단백 B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투석 치료중인 만성 신부전 소아에서 혈중 지질단백 이상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PD군에서는 혈중 Lp(a)치가 증가되어 있었다. 따라서 만성 신부전 소아에서 관상 동맥 질환의 위험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PDF

소아복막투석의 현황: 다기관 공동연구 결과보고 (Current Status of Children on Peritoneal Dialysis in Korea : A Cross-Sectional Multicenter Study)

  • 윤지석;이주훈;박영서;임형은;백경훈;유기환;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76-188
    • /
    • 2009
  • 목적 : 복막투석요법은 말기 신부전 환아에서 신이식 다음으로 추천되는 신대체 요법으로 현재 말기 신부전 환아들의 장기 생존율 향상으로 복막투석요법 환아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한국 내 복막투석요법 소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8년 5월 국내 4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전자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현재 3개월 이상 복막투석 중인 103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103명의 남녀비는 1.6:1로 남아가 많았고, 평균 연령은 $11.5{\pm}4.9$세(0-19세), 투석시작 전 말기 신부전의 원인 중 원발성 사구체 질환이 34%로 가장 많았다. 복막투석의 형태는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법이 42.7%로 가장 많았고, 주간 전체 Kt/V는 $2.1{\pm}0.7$ (0.3-4.1), 복막평형검사상 저 투과성이 36.8%, 저평균 투과성이 31.6%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체중 표준편차점수(Z-score)는 $-1.00{\pm}1.20$(-4.54-+2.50), 신장 표준편차점수(Z-score)는 $-1.55{\pm}1.65$(-9.42-+1.87)였고, 성장호르몬은 24.3%에서 투여 중이었다. 38.8%의 환아에서 이완기 혹은 수축기 혈압 95 백분위수 이상의 고혈압을 보였고, 64.0%의 환아가 항고혈압제 투여 중이었다. 평균 혈청 혈색소는 $10.5{\pm}1.4$ g/dL, 평균 혈청 칼슘은 $9.7{\pm}0.7$ mg/dL, 평균 혈청 인은 $5.4{\pm}1.4$ mg/dL, 평균 부갑상선 호르몬은 $324.2{\pm}342.8$ pg/mL였다. 결론 : 국내 복막투석요법 소아에서 원발성 사구체 질환이 소아 말기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법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복막투석 형태이며, 복막평형검사상 저 투과성과 저평균 투과성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환아가 적절한 신장과 체중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저신장 환아의 경우 성장 호르몬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고 여전히 많은 환아에서 빈혈과 고혈압이 관찰되었다. 혈청 칼슘과 인은 비교적 정상범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많은 환아가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