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pheral arterial disease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에르고타민으로 인한 혈관경축 (Ergotamine-induced Vasospasm)

  • 임창영;이헌재;이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45-248
    • /
    • 2005
  • 에르고타민이 포함된 약물은 편두통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경련성의 혈관수축은 가장 심각한 약물 부작용 중의 하나로 이는 허용된 약물 투여량의 복용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저자는 15년간 편두통으로 인해 꾸준히 에르고타민이 포함된 약물을 복용한 과거력이 있는 63세 남자환자에 나타난 혈관경축에 의한 상지의 심한 허혈상태를 인조혈관 우회로 이식술, 교감신경 차단술, 그리고 헤파린과 프로스타글란딘 El으로 치료하였으나 결국 에르고타민이 포함된 약물을 중단하고서야 극적인 임상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GE_1$ 요도좌제의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GE_1$ Urethral Suppositories)

  • 박소민;최명신;한규원;김길수
    • 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60-267
    • /
    • 2005
  • [ $PGE_1$ ] is an endogenous substance of potent vasodialator as well as inhibitor of platelet aggregation. It has been used therapeutically in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and impotence. Intracavernous injection of $PGE_1$ for erectile dysfunction has been established for several years as a treatment option for erectile dysfunction of diverse etiologies, but this mode of administration is limited by penile discomfort, pain at the injection site, inconvenience and noncompliance. As the matter of worse, the $\beta-hydroxy$ moiety of $PGE_1$ is extremely susceptible to dehydration in solution to give inactive $PGA_1$ and $PGB_1$. For the improvement of stability, rapid absorption at action site and the convenience of application, $PGE_1$ was formulated as urethral suppositories of three types of formulations, such as PEG, witepsol, and the mixture of PEG and witepsol. The stability test of $PGE_1$ and the release test in urinary suppositories were performed. Futhermore, the effect of enhancers and vehicle composition on the penetration of $PGE_1$ through excised rat skin was evaluated by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enhancement ratio.

Popliteal Artery Entrapment Syndrome: A Case with Bilateral Different Types

  • Lee, Eun Joo;Jung, Jae Seung;Lee, Kanghoon;Lee, Seung Hun;Son, Ho Sung;Sun, Ky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3호
    • /
    • pp.302-305
    • /
    • 2014
  • Popliteal artery entrapment syndrome (PAES) is a non-artherosclerotic cause of claudication and acute ischemia of the legs in young athletic individuals. It is classified in terms of the abnormal anatom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pliteal artery and surrounding structures. All types of PAES have the same pathophysiology. Repetitive arterial compression by surrounding structures causes progressive vascular injury. Bilateral PAES is reported in about 30% of cases. Bilateral PAES is usually of the same type in each artery; exceptions are rare. We report a case of a young athletic patient who suffered bilateral PAES of two different types.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이 가토(家兎)의 수축혈관에 마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GwakHyangJungGiSan on the Arterial Contraction in Rabbit)

  • 선중기;김호현;남창규;구창모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0-268
    • /
    • 2003
  • Object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fine the mechanism of GwakHyangJungGiSan-induced relaxation in rabbit common carotid artery contracted by agonists. Method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wakHyangJungGiSan on rabbit's contracted vascular ring detached from common carotid artery, vascular ring intact or damaged endothelium was used for the experiment using organ bath. To analyze the mechanism of GwakHyangJungGiSan-induced relaxation, GwakHyangJungGiSan extract was infused into contracted vascular ring which had been pretreated by pretreatment of indomethacin(IM), tetraethylammonium chloride(TEA), $N{\omega}-nitro-L-arginine(L-NNA)$. Result : GwakHyangJungGiSan blocks an inflow of $Ca^{2+}$ and relaxes vascular ring by the action of Nitric oxide from endothelium. Consequently when GwakHyangJungGiSan is prescribed, a rise in blood pressure by the resistance of peripheral vessel may be controlled to some extent and so it is anticipated that hypertension, a disorder of blood flow from the vascular contraction and vascular disease will be treated well.

  • PDF

경피적 풍선성형술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슬와동맥 거대 가성동맥류의 성공적인 인터벤션 치료: 증례 보고 (Successful Interventional Treatment of a Huge Pseudoaneurysm of the Popliteal Artery Caused by a Percutaneous Balloon Angioplasty Complication: A Case Report)

  • 김현민;노승연;권세환;고현민;안형준;오주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185-1190
    • /
    • 2023
  • 가성동맥류는 경피적 풍선성형술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가성동맥류의 파열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발생할 경우 환자의 죽음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3개월 전 실시한 경피적 풍선성형술의 합병증으로 발생된 증상을 동반한 좌측 슬와동맥 거대 가성동맥류를 가진 34세 말기신부전 남자 환자의 증례를 보고한다. 가성동맥류는 인터벤션 치료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되었고, 환자는 추적기간 동안 다른 합병증 없이 잘 회복되었다.

콜레스테롤 식이 및 내막 손상을 통한 토끼 장골동맥 협착 전임상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Rabbit Iliac Arterial Stenosis Model Using a Controlled Cholesterol Diet and Pullover Balloon Injury)

  • 민훈;이종호;이재환;김건영;윤창진;김민욱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72-380
    • /
    • 2024
  • 목적 콜레스테롤 식이 및 기계적 혈관 내막 손상 유발을 통한 토끼 장골동맥 협착 모델을 개발하고 서로 다른 내막 손상 방법에 따른 협착 유발 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8마리의 토끼를 콜레스테롤 식이 후 풍선으로 당김 손상(pullover injury)을 가한 군(group A, 6마리), 콜레스테롤 식이 후 국소 확장 손상(localized balloon dilatation) 군(group B, 6마리), 일반 사료 식이 후 당김 손상을 가한 군(group C, 6마리)로 나누었다. 모든 군에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고 좌측 장골동맥에 직경 3 mm, 길이 10 mm의 비순응성(noncompliant)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당김 손상(group A, C) 또는 국소 확장 손상(group B)를 가하였다. 실험 시작 후 9주째 추적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혈관조영술상 장골동맥의 협착 정도(후기 내강 손실, 협착 비율)을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A군이 9주째 추적 혈관조영술에서 가장 심한 후기 내강 손실을 보였고 32.02% ± 6.54%의 협착이 확인되었다(A군 vs. B군: 0.67 ± 0.13 mm vs. 0.04 ± 0.13 mm, p < 0.0001; A군 vs. C군: 0.67 ± 0.13 mm vs. 0.26 ± 0.29 mm, p < 0.05). B군에서는 혈관조영술상 협착이 1.75% ± 6.55%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결론 콜레스테롤 식이 및 당김 손상 기법을 이용한 기계적 내막 손상이 토끼 장골 동맥에서 유의한 협착을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이 전임상 모델은 전임상 말초동맥 질환의 질병 모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자율신경 장애 (Dysfunc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 신경철;이관호;박혜정;신창진;이충기;정진홍;이현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317-326
    • /
    • 1999
  • 연구목적: 호흡기에 대한 자율신경 기능도 기도 및 혈관의 평활근, 접막하선의 점액분비. 기관지 순환 혈류조절, 비만 세포의 염증 반응에 관계되는 매개물의 분비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들 자율신경 장애는 기도 폐쇄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천식은 자율신경계 이상이 원인으로 작용하고 특히 부교감신경 기능 항진이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심혈관계와 호흡기 자율신경 지배가 공통적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을 기초로 비관혈적이고 안정한 심혈관 지율신경 검사를 실시하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자율신경 장애유무를 알아보았다. 방 법: 대상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자 20명과 건강진단 센터에서 건강한 것으로 판정 받은 비슷한 나이의 2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American Thoracic Society의 정의를 따랐으며 허혈성 심장질환, 부정맥, 당뇨병, 중심성 및 말초성 신경질환 등과 같은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제외하였다. 자율신경검사는 Ewing과 Clarke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대상에서 동맥혈 가스분석과 폐기능 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결 과: 만성 폐쇄생 폐질환 환자는 건강한 사랑에 비하여 빈번하게 자율신경 장애가 동반되어 있었으며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교감신경 장애보다 부교감신경 장애가 더 뚜렷하였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질병 이환 기간이 길거나, 흡연량이 많거나, 폐기능 검사상 $FEV_1$ 및 FVC 감소 정도가 심할수록 그리고 저산소혈증이 심한 경우에 자율신경 장애가 심하였으나 연령,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종류 및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과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부교감신경 장애가 동반되어 있으며, 부교간신경 장애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정도가 심할수록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부교감신경 장애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질병의 진행으로 인한 자율신경계의 기능 저하로 생각된다.

  • PDF

단순 Fogarty 혈전색전 제거술의 효과 (The Effect of the Simple Fogarty Thromboembolectomy)

  • 오중환;박일환;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80-486
    • /
    • 2009
  • 배경: Fogarty 카테터는 원위부 동맥 색전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되었으며 1960년대 이래로 급성혈전색전의 치료에 획기적인 치료법이 되었다. 그러나 지난 30년동안 동맥폐쇄의 주원인이 심장에서 비롯하는 색전으로부터 죽상동맥경화증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런 맥락에서 단순 Fogarty 혈전색전제거술이 여전히 효과가 있는지 의문점이 생긴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본원에서 Fogarty 혈전제거술을 시행한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를 혈전제거술만 시행한 79명(제 1 군)과 혈관우회수술을 같이 시행한 77명(제 2 군)으로 나누어 증상의 기간, 혈전의 원인, 응급실 내원 여부, 한방치료 및 오진경험, 동반질환, 주발생부위, 사망원인 등을 후향적으로 T 검증, 교차분석, 카이제곱 및 Kaplan-Meier을 이용하여 비교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두군 모두 환자의 나이는 평균 64$\pm$10세로 비슷하였다. 제1군과 2군의 다리 통증 기간은 평균 12$\pm$4일 vs 71$\pm$14일(p=0.001), 응급실 내원한 경우는 50명(63%) vs 18명(23%) (p=0.005), 디스크로 오인하여 치료를 받거나 침을 맞은 경우가 20명(25%) vs 30명(39%), 내원전 항응고제 치료 받은 경우는 22명(28%) vs 11명(14%), 혈전원인은 심장질환 24명(30%) vs 6명(8%) (p=0.001), 동맥경화증 46예(58%) vs 67명(87%) (p=0.001), 외상 9명(11%) vs 6명(8%)이었다. 동반질환으로는 뇌졸증, 고혈압 당뇨가 주를 이루었으며(22$\sim$37%), 막힌 부위는 대부분 장골 및 대퇴동맥이었다 우회수술은 58명(75%)에서 대퇴-대퇴 및 대퇴-슬와동맥간 우회수술을 시행했다. 내막절제술은 각각 7명(9%) vs 18명(23%)에서 동반시술이 이루어졌다(p=0.012). 수술의 성공율은 27명(34%) vs 40명(52%) (p=0.019), 다시 막힌 경우는 37명(47%) vs 20명(26%) (p=0.000), 하지절단 4명(5%) vs 12명(16%) (p=0.012), 사망 10명(13%) vs 3명(4%) (p=0.044)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 최근 급성동맥폐쇄증의 원인이 류마티스 심장질환에서 동맥경화성 질환으로 변화함으로서 단순한 Fogarty 혈전색전 제거술의 효과가 줄어들고 있어 이러한 단순 시술 대신에 부가적인 우회수술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Femoro-Supragenicular Popliteal Bypass with a Bridging Stent Graft in a Diffusely Diseased Distal Target Popliteal Artery: Alternative to Below-Knee Popliteal Polytetrafluoroethylene Bypass

  • Byun, Joung Hun;Kim, Tae Gyu;Song, Yun Gyu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5호
    • /
    • pp.371-377
    • /
    • 2017
  • Background: Lesions in distal target arteries hinder surgical bypass procedures in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Methods: Between April 2012 and October 2015, 16 patients (18 limbs) with lifestyle-limiting claudication (n=12) or chronic critical limb ischemia (n=6) underwent femoral-above-knee (AK)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bypass grafts with a bridging stent graft placement between the distal target popliteal artery and the PTFE graft. Ring-supported PTFE grafts were used in all patients with no available vein for graft material. Follow-up evaluations assessed clinical symptoms, the ankle-brachial index, ultrasonographic imaging and/or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the primary patency rate, and complications. Results: All procedures were successful. The mean follow-up was 12.6 months (range, 11 to 14 months), and there were no major complications. The median baseline ankle-brachial index of 0.4 (range, 0.2 to 0.55) significantly increased to 0.8 (range, 0.5 to 1.0) at 12 months (p<0.01). The primary patency rate at 12 months was 83.3%. The presenting symptoms resolved within 2 weeks. Conclusion: In AK bypasses with a diffusely diseased distal target popliteal artery or when below-knee (BK) bypass surgery is impossible, this procedure could be clinically effective and safe when used as an alternative to femoral-BK bypass surgery.

Clopidogrel 약물 상호 작용이 심혈관계 질환 예방 효과 및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ug Interaction with Clopidogrel on Cardiovascular Events and Side Effects)

  • 김성희;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05
  • Clopidogrel is used to reduce the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sis documented by recent ischemic stroke, recent myocardial infarction (MI), or establishe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secondary prevention). Clopidogrel is metabolized by CYP3A4, and the active metabolites inhibit platelet aggreg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lopidogrel only versus clopidogrel + others (aspirin, CYP3A4 inhibitor, and CYPBA4 inducer) in terms of cardiovasculalr events and bleeding complications. We reviewed the charts of patients who visited between August 1, 2002 and August 31, 2003, retrospectively. Total 72 patients were included and they consisted of 5 groups; clopidogrel group (n=36), clopidogrel + aspirin group (n=11), clopidogrel + CYP3A4 inhibitor group (n=15), clopidogrel + aspirin + CYP3A4 inhibitor group (n=6), clopidorel + CYP3A4 inducer group (n=4). The primary endpoints at 6 months, 12 months were the composite of cardiovascular (CV) events. The secondary end-point was the incidence of bleeding events at 6months, and 12months. At 12months, the primary endpoi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ive groups (p=0.056). In comparison of two groups as clopidogrel only versus clopidogrel + others (aspirin, CYP3A4 inhibitor and CYP3A4 inducer), the primary endpoi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2). The CV events were increased in the clopidogrel + others group. The secondary end poi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ive groups (p=0.52). However, time to bleeding events was 230.8 in the clopidogrel group and 74.7 in the clopidogrel + others group (p = 0.046). In conclusion, clopidogrel interaction with aspirin, CYP3A4 inhibitor, and CYP3A4 inducer affected cardiovascular events and bleeding events. Drug interaction of clopidogrel with concurrent med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cautious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