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odontal index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8초

이개부 병변을 가진 하악 대구치의 치료에 있어 치근절제술과 터널화의 임상결과 비교 (Comparison of root resection and tunnel preparation in the clinical outcome of furcation-involved mandibular molars)

  • 김철우;박진우;서조영;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53-58
    • /
    • 2009
  • Purpose: The resective treatment in mandibular Degree III furcation areas includes root resection and tunnel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evaluate which treatment procedure(root resection vs tunnel preparation) has more favorable prognosis in mandibular Degree III furcation involv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were treated their mandibular posteriors with either root resection(22 teeth on 22 patients) or tunnel preparation(24 teeth on 22 patients) and have participated in periodic recall check program for at least 2 years. Failure rate, plaque index, bleeding on probing and probing pocket depth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statistically analysed. Results: Failure rates of root resection and tunnel praparation were 13.6% and 16.7%, respectively,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procedur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wo procedures with respect to plaque index, bleeding on probing and probing pocket depth. Conclusion: root resection and tunnel preparation are both effective procedures to treat mandibular posterior furcation involvement, if adequate treatment of choice is made and patient's cooperation is accompanied. However, tunnel preparation is more preservative procedure in mandibular posterior furcation involvement since root canal treatment and prosthetic restoration are needed additionally, in case of root resection.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수액에 대한 in vivo 생리활성 (In vivo Immune Activity of Sap of the White Birch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이창현;조영민;박의석;신창섭;이주연;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13-416
    • /
    • 2009
  • 면역증진기능성 식품으로서 자작나무 수액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작나무로부터 채취한 수액을 동결건조하여 이를 수컷 ICR mouse에 경구 투여한 후 탄소제거시험과 부동시간 측정을 통해 면역증진 효과를 살펴보았다. 탄소제거능 시험에서 500 mg/kg B.W.의 용량으로 자작나무 수액 동결건조물을 투여하였을 때 멸균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p<0.05) 탐식지수(phagocytic index)의 증가가 있었으며, 강제수영 부하시험(FST) 결과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은 2주간 500 mg/ kg B.W의 용량으로 시험물질을 투여한 동물에서 대조군의 부동 시간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125, 250, 500 mg/kg의 용량으로 6주간 투여한 동물에서 대조군 보다 부동 시간이 감소하였다. 특히 250, 500 mg/kg 용량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부동시간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혈액학적 검사결과 백혈구계 세포 수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한 임신횟수에 따른 비만과 치주염의 연관성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Obesity by The Number of Pregnancy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이세영;심선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67-73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여성에서 임신횟수에 따른 치주염과 비만과의 상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0-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치주염은 지역사회치주지수를, 비만도는 체질량지수를 사용하였으며 사회경제학적 변수 및 건강관련 행태는 문진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임신횟수에 따라 치주염과 비만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임신횟수가 많은 여성에서 치주염 유병율과 비반율이 높게 조사되었다. 그리고 치주염과 비만의 연관성을 여러 혼란요인을 보정한 후에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치주염은 비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임신횟수가 증가할수록 비만과 치주염의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비만과 치주염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며 본 자료를 토대로 여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Comparison of peri-implant marginal bone level changes between tapered and straight implant designs: 5-year follow-up results

  • Park, Han;Moon, Ik-Sang;Chung, Chooryung;Shin, Su-Jung;Huh, Jong-Ki;Yun, Jeong-Ho;Lee, Dong-W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6호
    • /
    • pp.422-432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traight and tapered implant designs in terms of marginal bone loss, the modified plaque index (mPI), and the modified bleeding index (mBI) for 5 years after functional loading. Methods: Twelve patients were recruited. Two types of implants wer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1 straight implant and 1 tapered implant. Marginal bone loss, mPI, and mBI were measured every year for 5 years after loading. Results: The straight implants showed 0.2±0.4 mm of marginal bone loss at 5 years after loading, while the tapered implants showed 0.2±0.3 mm of marginal bone loss;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833). Our analysis also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PI (straight implants: 0.3±0.3 vs. tapered implants: 0.2±0.3; P=0.414) or in mBI (straight implants: 0.3±0.4 vs. tapered implants: 0.2±0.3; P=0.317) at 5 years after prosthesis delivery. Conclusions: Straight and tapered impla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marginal bone loss, mPI, and mBI for 5 years after loading.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iode laser therapy in conjunction with nonsurgical treatment of periimplantitis

  • Dicle Altindal;Eylem Ayhan Alkan;Metin Calisir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3권5호
    • /
    • pp.376-387
    • /
    • 2023
  • Purpose: Peri-implantitis (PI) is an inflammatory condition associated with the destruction of bone tissue around a dental implant, and diode lasers can be used to treat this disease.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940-nm diode laser for the nonsurgical treatment of PI. Methods: Twenty patients (8 women and 12 men) were enrolled in a split-mouth randomized controlled study. In the control group (CG), mechanical debridement with titanium curettes accompanied by airflow was performed around the implants. The test group (TG) was treated similarly, but with the use of a diode laser. Clinical measurements (plaque index, gingival index [GI], probing pocket depth [PPD], bleeding on probing [BOP], clinical attachment level, and interleukin-1β [IL-1β] in the peri-implant crevicular fluid) were evaluated and recorded at baseline and 3 months. IL-1β levels were determined using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method. Results: The symptoms were alleviated in both groups at 3 months as assessed through clinical measurements. GI, BOP, and PP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G than in the CG (P<0.05). The IL-1β level increased post-treatment in both groups, but this increase wa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the CG. Conclusions: The diode laser enabled improvements in clinical parameters in the periimplant tissue. However, it did not reduce IL-1β levels after treatment. Further studies about the use of diode lasers in the treatment of PI will be necessary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ode lasers in PI treatment.

Periotron을 이용한 소아 치은 상태의 평가 (EVALUATION OF GINGIVAL CONDITION ON CHILDREN USING PERIOTRON)

  • 신정근;김재곤;양연미;김성희;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11-421
    • /
    • 2006
  • 치열이 발육 중에 있는 소아는 치은 및 치주 질환에 매우 흔하게 이환된다. 이 시기의 치은염은 대개 경미하며 가역적인 경우가 많으나, 만성적으로 진행하여 성인기의 치주질환으로 이행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소아의 치은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흔히 임상적인 치은염 평가 지수나 구강 위생 지수를 측정하게 된다. 치은염 측정 지수의 하나로써 치은 열구액은 치주조직과 치은 열구로부터 유래되는 염증성 삼출물로, 세균성 치태의 점진적인 축적에 대한 반응으로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치은 상태 평가를 위해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3-14세(평균 $8.5{\pm}3.1$세)의 어린이 50명과 23-33세 (평균 $26.1{\pm}3.3$세)의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육안적 지수인 치은지수와 치태지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치은 열구액을 채취하여 그 부피를 Periotron 8000(Oraflow Inc.,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소아와 성인의 수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게 되었다. 1. 어린이에서 유치열기와 영구치 맹출기, 맹출 완료기의 각 군 간에 치은 열구액 부피를 비교했을 때, 평균치는 영구치 맹출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 2. 어린이와 성인을 비교하였을 때 치은 열구액 부피는 어린이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01). 3. 어린이와 성인 모두 임상적인 치은지수(GI)와 치태지수(PLI)는 치은 열구액의 부피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GI; r=0.394, p<0.001 PLI; r=0.642, p<0.001). 4. 치은 열구액을 채취한 치아의 교정 치료 유무는 치은 열구액의 부피와 유의성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그러나 레진 치료 유무나 치아 우식의 유무는 관계가 없었다(p>0.05). 5. DMFT치는 유치열기에서 영구치열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또한 DMFT치와 치은 열구액 부피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1).

  • PDF

간 이식 예정 환자의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요구도에 관한 연구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Treatment Need of Liver Transplant Candidates)

  • 박태준;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1-9
    • /
    • 2009
  • 간 이식은 진행성 간병변의 말기에 있는 환자나 간 대사 질환, 간암 등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최종적으로 행해지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간 이식 전후에는 타 장기의 이식수술 시와 마찬가지로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면역억제요법을 시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면역력이 감소되어 전신 감염에 이환되기 쉬운 상태에 처하게 된다. 간 이식수술 전 치과적 처치의 일차적 목표는 간을 이식한 후 전신적인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구강 감염요소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술전 치과적 처치는 이식 후 감염 가능성을 줄여줌으로써 이식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므로 환자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구강검진을 비롯한 계속적인 치과적 관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간이식 수술을 예정으로 수술 전 구강검진을 위해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90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구강위생의 정도, 전신질환 병력과 치과치료 요구도, 치과치료 요구도의 충족 정도, 치과병원 내원일과 간이식 수술 예정일과의 시간 간격 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군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를 분석한 결과 간이식 환자들의 DT는 2.68개, MT는 4.02개, FT는 3.42개, 그리고 DMFT index는 10.12개로 나타났다. 2. 환자군의 구강위생 상태를 조사한 결과 중등도 이상의 식편 압입이 20.0%로 나타났고, 중등도 이상의 치석을 가진 환자는 42.2%였으며 부종을 동반한 치은염증은 37.8%의 환자들에서 관찰되었다. 3. 환자군에게 필요한 치과치료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치주치료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 보존치료, 구강악안면외과적 치료의 순서였다. 4. 90명의 환자 중 간이식 예정일이 확정된 상태로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는 39명이었고 간이식 예정일과 치과병원에서의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을 조사한 결과 간이식 예정일과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이 2주 이하가 32.2%, 1주 이하가 20.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 이식수술 전 구강검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은 이식수술 후 잠재적 감염원의 제거를 위해 해결이 필요한 뚜렷한 치과치료 요구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간 이식수술 전 치과치료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못하는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포괄적인 치과관리를 받지 못한 채 이식수술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간 이식수술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 구강건진과 포괄적인 구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협진 체계가 마련된다면 잠재적인 구강 감염원의 충분한 제거로 간 이식수술의 예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성인의 흡연행태와 치주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behavior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 김영숙;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25-833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behavior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896 from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program. Results: The rate of periodontitis was 27.5%. The prevalence rate of periodontitis was closely related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living area, household income, educational level,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nd regular dental visit. The rate of periodontitis in non-smoker, ex-smoker, and current smoker were 56.7%, 19.5%, and 23.8%, respectively. Smok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ter adjusting for gender, 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al level,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nd dental visit within 1 year, the risk of periodontitis in ex-smoker and current group were 1.31 (95% CI; 1.04-1.65) and 2.31 (95% CI; 1.87-2.85), respectively. Conclusions: Smok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iodontitis prevalence in Korean adults.

치근피개술의 임상적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Clinical Effect for Root Coverage)

  • 한종수;홍기석;정진형;임성빈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3호
    • /
    • pp.483-492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effect of the Langer & Langer technique, the modified Langer & Langer technique and Bruno technique. Material and Methods: 30 patients who have gingiva recession(Miller class I or class II) were carried root coverage. Langer & Langer technique(14 patients/32 tooth), modified Langer & Langer technique(5 patients/10 tooth) and Bruno technique(11 patients/18 tooth) was carried. At baseline and average 3 months after operation, it was estimated clinical index(Pocket depth, gingiva recession, clinical attachment level, keratinized gingiva, scar tissue, root coverage rate) by Williams style probe. Result: Root coverage rate is indicated Langer & Langer technique(8S%), Modified Langer & Langer technique(86%) and Bruno technique(90%). Conclusion: All three of the procedures were effective in gingival recession and improved clinical parameters.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 및 구강건강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with family)

  • 정은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7-589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with family.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stribu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with family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general and oral health was analyzed using complex-sample chi-square test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by calculating the 95%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striction of activity, perceived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perceived stress, and speech difficulties. Further, in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lower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striction of activity, perceived health status, walking days per week, life time smoking history, Community Periodontal Index, and chewing and speech difficulties. Conclusions: The elderly are concerned with self-maintenance of general and oral health. Therefore, systematic policies related to health services need to be developed and operated at the national level.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take social interest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 more continuous and professional approach in their health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