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natal infec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9초

$Ureaplasma$ infections in pre-term infants: Recent information regarding the role of $Ureaplasma$ species as neonatal pathogens

  • Sung, Tae-J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2호
    • /
    • pp.989-993
    • /
    • 2010
  • Although numerous clinical observation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ver a period of over 30 year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Ureaplasma$ infection is still under debate. The $Ureaplasma$ speices. is a commensal in the female genital tract and considered to have of low virulence; however, $Ureaplasma$ coloniz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infertility, stillbirth, preterm delivery,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nd neonatal morbidities, including congenital pneumonia, meningitis, bronchopulmonary dysplasia, and perinatal death. Recently, $Ureaplasma$ was subdivided into 2 separate species and 14 serovars. $Ureaplasma$ $parvum$ is known as biovar 1 and contains serovars 1, 3, 6, and 14, and $Ureaplasma$ $urealyticum$ (biovar 2) contains the remaining serovars (2, 4, 5, and 7-13).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in pathogenicities of these 14 serovars and 2 biovars is controversial. Although macrolides are the only antimicrobial agents currently available for use in neonatal ureaplasmal infections, in the current clinical field, it is difficult to make decisions regarding which antibiotics should be used. Future investigations involving large,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before proper recommendations can be made for clinical practice.

Optimization of Trichomonas vaginalis Diagnosis during Pregnancy at a University Hospital, Argentina

  • Testardini, Pamela;Vaulet, Maria Lucia Gallo;Entrocassi, Andrea Carolina;Menghi, Claudia;Eliseht, Martha Cora;Gatta, Claudia;Losada, Mirta;Touzon, Maria Sol;Corominas, Ana;Vay, Carlos;Tatti, Silvio;Famiglietti, Angela;Fermepin, Marcelo Rodriguez;Perazzi, Beatriz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2호
    • /
    • pp.191-195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t methods for Trichomonas vaginalis diagnosis during pregnancy in order to prevent maternal and perinatal complications. A total of 386 vaginal exudates from pregnant women were analyzed. T. vaginalis was investigated by 3 types of microscopic examinations direct wet mount with physiologic saline solution, prolonged May-Grunwald Giemsa (MGG) staining, and wet mount with sodium-acetate-formalin (SAF)/methylene blue method. PCR for 18S rRNA gene as well as culture in liquid medium were perform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icroscopic examinations were evaluated considering the culture media positivity or the PCR techniques as gold standard. The frequency of T. vaginalis infection was 6.2% by culture and/or PCR, 5.2% by PCR, 4.7% by culture, 3.1% by SAF/methylene blue method and 2.8% by direct wet smear and prolonged MGG staining. The sensitivities were 83.3%, 75.0%, 50.0%, and 45.8% for PCR, culture, SAF/methylene blue method, and direct wet smear-prolonged MGG staining, respectively. The specificity was 100% for all the assessed methods. Microscopic examinations showed low sensitivity, mainly in asymptomatic pregnant pati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tection of T. vaginalis using combined methods providing higher sensitivity, such as culture and PCR, mainly in asymptomatic pregnant patients, in order to prevent maternal and perinatal complications.

Folic acid supplementation regulates key immunity-associated genes and pathways during the periparturient period in dairy cows

  • Khan, Muhammad Zahoor;Zhang, Zhichao;Liu, Lei;Wang, Di;Mi, Siyuan;Liu, Xueqin;Liu, Gang;Guo, Gang;Li, Xizhi;Wang, Yachun;Yu, Y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9호
    • /
    • pp.1507-1519
    • /
    • 2020
  • Objective: The current research was aimed to profile the transcriptomic picture of the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PBLs) associated with immunity in Chinese Holsteins supplemented orally with coated folic acid during the periparturient period. Methods: The total of 123 perinatal cow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A (n = 41, 240 mg/500 kg cow/d), group B (n = 40, 120 mg/500 kg cow/d) and group C (n = 42, 0 mg/cow/d) based on the quantity of folic acid fed. Three samples of PBLs were selected from each folic acid treated group (high, low, and control) and RNA sequencing method was carried out for transcriptomic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higher number of genes and pathways were regulated in response to high and low folic acid supplementation compared to the controls. We reported the novel pathways tumor necrosis factor (TNF) signaling, antigen processing and presentation,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and nuclear factor (NF)-kappa B signaling pathways) and the key genes (e.g. C-X-C motif chemokine ligand 10, TNF receptor superfamily member 1A, cluster difference 4,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I, DQ beta, NF-kappa-B inhibitor alpha, and TNF superfamily 13) having great importance in immunity and anti-inflammation in the periparturient cows in response to coated folic acid treatment. Conclusion: Collectively, our study profiled first-time transcriptomic analysis of bovine lymphocytes and compared the involved cytokines, genes, and pathways between high vs control and low vs control. Our data suggest that the low folic acid supplementation (120 mg/500 kg) could be a good choice to boost appropriate immunity and anti-inflammation as well as might being applied to the health improvement of perinatal dairy cows.

외국인과 내국인 산모 출생아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newborns of Asian immigrant and Korean women)

  • 박희옥;임재우;진현승;심재원;김민희;김천수;김은령;김승연;박상기;이정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19-1126
    • /
    • 2009
  • 목 적 : 현재 내국인 남자와 외국인 여자와의 국제 결혼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사이에 출생하는 신생아의 수도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아시아계 개발 도상권의 외국인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가 내국인 산모에게서 출생한 신생아에 비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국내 9개 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 아시아계 개발 도상권 외국인 산모에서 태어난 33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무작위로 선택한 같은 출생년도, 성별과 재태 주령을 가진 내국인 산모에서 태어난 333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들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기초로 산모의 국적, 나이, 과거력을 파악하였고, 신생아의 선천성 감염 여부와 신생아의 체중, 키, 두위를 통한 성장 상태와 유병률, 아프가 점수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양 군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전체 18,840명 중 외국인 산모 출생아는 407명(2.1%)이었고 전체 미숙아 수는 5,061명(26.8%)이며 외국인 산모에서 출생한 미숙아는 85명(20.8%), 출생과 동시에 입원한 환아 수는 전체 8,577 (45.5%)이었고 이중 외국인 산모 출생아는 127명(31.2%)이었다. 외국인 산모군에서 산모 국적은 필리핀 69명, 베트남 141명, 중국 51명, 몽고 50명이었으며 기타 우즈베키스탄, 태국 등이 22명이었다. 외국인 산모군의 신생아는 남아 177명, 여아 156명으로 평균 출생체중은 $2,869.1{\pm}685.3gm$이었고, 대조군은 남아 177명, 여아 156명이며 출생체중은 $2,995.1{\pm}689.8gm$으로 외국인 산모군이 유의하게 작았다(P<0.05). 분만 당시 산모의 연령은 외국인 산모군이 $26.7{\pm}5.7$세, 대조군이 $30.8{\pm}4.1$세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산모 과거력의 차이는 없었으나 선천 매독 빈도는 외국인 산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 외에 출생 시 두위, 신장, 유병률 및 사망률,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아시아계 개발 도상권 외국인 산모에게 태어난 신생아는 내국인 산모 출생아에 비하여 선천 매독 감염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분만시 산모의 연령이 유의하게 적었으며 신생아의 체중이 유의하게 작았다. 하지만 산모의 과거력, 출생 직후 상태 및 신장, 두위, 유병률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부당 경량아 및 자궁내 발육지연의 빈도 역시 차이가 없었다.

Clinical features of macrocephaly at birth in Korea

  • Jeong, Goun;Kim, Minkyun;Han, Byoung H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2호
    • /
    • pp.75-7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macrocephaly at birth in Korea using ultrasonography.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medical records of full-term birth neonates in Cheil Genera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from January 2000 to June 2012.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recorded and analyzed: gestational age, sex, birth weight, height, occipitofrontal circumference (OFC), physical examination, perinatal problems, and ultrasonography results. Macrocephaly was diagnosed when the OFC was greater than two standard deviations, based on the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sults: There were 75 neonates with macrocephaly at birth (52 boys and 23 girls), with a mean OFC of $38.1{\pm}0.49cm$. A comparison of the birth weight and height with the OFC value showed that height was correlated with OFC (r=0.35) but birth weight was not correlated with OFC (r=0.06). There were no remarkable findings in 56 cases (75%). Germinal matrix hemorrhage was identified in 10 cases (13%). An enlarged cerebrospinal fluid space was found in 5 cases (6.7%). There were 3 cases of mega-cisterna magna (4%), 1 case of ventriculomegaly, and 1 case of an enlarged interhemispheric space (6 mm) among these patients. In addition, a choroid plexus cyst was seen in 1 case. Mineralizing vasculopathy in both basal ganglia with no evidence of congenital infection was found in 2 cases and an asympto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was found in 1 case.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macrocephaly at birth has benign ultrasonography findings and shows a pattern of male dominance.

Evaluation of the role of ischemia modified albumin in neonatal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 Talat, Mohamed A.;Saleh, Rabab M.;Shehab, Mohammed M.;Khalifa, Naglaa A.;Sakr, Maha Mahmoud Hamed;Elmesalamy, Walaa M.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8호
    • /
    • pp.329-334
    • /
    • 2020
  • Background: Birth asphyxia is a leading cause of neonatal mortality. Ischemia-modified albumin (IMA) levels may have a predictive role in the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of hypoxic disorders, as they increase in cases of ischemia of the liver, heart, brain, bowel, and kidne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value of IMA levels as a diagnostic marker for neonatal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 Methods: Sixty newborns who fulfilled 3 or more of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criteria and developed HIE as defined by Levene staging were included in our study as the asphyxia group. Neonates with congenital malformation, systemic infectio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low-birth weight, cardiac or hemolytic disease, family history of neurological diseases, congenital or perinatal infections, preeclampsia, diabetes, and renal diseas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Sixty healthy neonates matched for gestational age and with no maternal history of illness, established respiration at birth, and an Apgar score ≥7 at 1 and 5 minutes were included as the control group. IMA was determined by double-antibod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of a cord blood sample collected within 30 minutes after birth. Results: Cord blood IMA levels were higher in asphyxiated newborns than in controls (250.83±36.07 pmol/mL vs. 120.24±38.9 pmol/mL). Comparison of IMA levels by HIE stage revealed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207.3±26.65, 259.28±11.68, 294.99±4.41 pmol/mL for mild, moderate, and severe, respectively). At a cutoff of 197.6 pmol/mL, the sensitivity was 84.5%, specificity was 86%,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82.8%,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88.3%, and area under the curve was 0.963 (P<0.001). Conclusion: IMA levels can be a reliable marker for the early diagnosis of neonatal HIE and can be a predictor of injury severity.

C형 간염 산모로부터 출생한 영아에서 C형 간염 Virus의 수직 전파 1례 (A Case of Vertical Transmission of Hepatitis C Virus in an Infant of a Mother Who had Hepatitis C during Pregnancy)

  • 오상현;김국환;양은석;박상기;문경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1호
    • /
    • pp.109-115
    • /
    • 1999
  • Hepatitis C virus (HCV) has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cause of posttransfusion hepatitis, but vertical transmission of chronic infected HCV RNA positive mothers has been documented in some cases. The reports of the risk of perinatal infection have been widely varied in the literature. The authors experienced one case of vertical transmission of HCV in an infant of a mother who had hepatitis C during pregnancy. At admission, HCV RNA (+), Ig G anti HCV (+) and Ig M anti HCV (+) were found in the mother. Also at admission, HCV RNA (+), Ig G anti HCV (+), Ig M anti HCV (+), elevation of liver aminotransferase level and hepatosplenomegaly on ultrasonography were found in the baby on day 31. HCV RNA (-), Ig M anti HCV (-) and normal of liver aminotransferase level were noted on day 250 in the serum of the infant. We used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echnique to find a very small amount of HCV RNA in the serum. All the findings suggest vertical transmission of HCV RNA from mother to infant during 3rd trimester of pregnancy.

  • PDF

A Comparative Study Between Cytomegalovirus Immunoglobulin M-Positive and CMV Immunoglobulin M-Negative Biliary Atresia in Infants Attending a Tertiary Care Hospital in Bangladesh

  • Akter, Sharmin;Karim, ASM Bazlul;Mazumder, Md Wahiduzzaman;Rukunuzzaman, Md;Nahid, Khan Lamia;Dey, Bishnu Pada;Sayeed, Maimuna;Rahman, AZM Raihanur;Fathema, Kaniz;Khadga, Mukesh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5호
    • /
    • pp.413-421
    • /
    • 2022
  • Purpose: Perinatal cytomegalovirus (CMV) infection can lead to biliary atresia (BA) in different entiti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linical, hematological,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infants with BA based on their CMV immunoglobulin M (IgM) status at presentatio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January 2019 and June 2020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at the Bangabandhu Sheikh Mujib Medical University (BSMMU) in Dhaka. Forty-three patients with BA were selected purposively and categorized into either the CMV IgM-positive or CMV IgM-negative BA group. Categorical variables were compared using Fisher's exact test and chi-square tests, while the Student's t-test and Mann-Whitney U-test were used to compare continuous variables. For all statistical tests, a p-value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irty-three (76.7%) of the cases were between 2 and 3 months of age on admission. The clinical,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CMV IgM-positive and CMV IgM-negative BA groups. Most (50.0%) of the CMV IgM-positive cases had fibrosis stage F2, while 43.5% of the CMV IgM-negative cases had fibrosis stage F3,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391). Conclusion: Our data shows no significant distinction between CMV IgM-positive and CMV IgM-negative BA, suggesting that CMV does not contribute to BA pathogenesis.

소아의 만성 B형 간염: 새로운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임상 소견의 상관 분석 (Chronic HBV Infection in Children: The histopathologic classification and its correlation with clinical findings)

  • 이선영;고재성;김종재;장자준;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권1호
    • /
    • pp.56-78
    • /
    • 1998
  • 연구목적: 만성 B형 간염의 간조직 소견은 진단 및 예후의 평가 뿐아니라 치료여부의 결정 및 치료효과의 평가를 위해서 중요하고, 이는 좀 더 객관적, 구체적, 포괄적으로 새롭게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 소아의 만성 B형 간염의 빈도는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직 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고찰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점수로 평가한 최근의 반정량적 분류 방법(Ludwig 분류법)을 전통적으로 이용되어온 De Groute의 분류법과 비교하여 연관성을 밝히고, 반정량적 분류법이 좀 더 객관적으로 예후를 예견하고 형태학적 변화를 감시하는 유용한 방법임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간조직 생검을 받은 만성 B형 간염 환아 99명을 대상으로 병리조직 소견과 병록지 고찰을 시행하였다. B형 간염 표식자로는 HBsAg, anti-HBs, HBeAg, anti-HBe, anti-HBc(IgG, IgM), HDV를 방사면역측정(radioimmunoassay)을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간생검조직은 전통적인 De Groute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법과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문맥강 및 문맥강 주변의 염증(Portal/Periportal activity), 간소엽 내 염증(Lobular activity), 섬유화(Fibrosis)로 나누어 각각의 정도를 0에서 4로 점수화(Numerical scoring)한 Ludwig의 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두가지 분류법 간의 연관성과, 병리조직 소견에 따른 빈도, 연령 및 성별 분포, 임상적 특징,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 검사 소견을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간세포암 5례는 따로 분류하여 임상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1) 총 99례 중 남아 83례, 여아 16례였고, 연령별 분포는 1년 5개월에서 16년 4개월까지였으며, 평균연령은 9.4세였다. 병리조직형별 연령 및 성별분포에는 차이가 없었다. 2) 병리조직형별 분포는 정상 조직 소견 2례, 만성 소엽성 간염 2례, 만성 지속성 간염 22례, 경도 만성 활동성 간염 40례, 중등도 만성 활동성 간염 19례, 고도 만성 활동성 간염 1례, 간경변을 동반한 만성 활동성 간염 7례, 간경변증 1례, 간세포암 5례였다. 두가지 분류법은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나 간경화의 경우는 연관성이 떨어져서, 간조직내 염증과 섬유화는 따로 분리하여 평가하거나, 섬유화의 중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간세포암을 제외한 94례 중 66례(70%)가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경우였으며, 2례는 전신 부종이 주소로서 B형 간염과 관련된 막성 사구체 신염이 동반되어 있었다. 그 외는 비특이적인 간염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진단되었다. 내원시 임상 증상으로는 이피로성,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 복부팽만, 체중감소, 발열, 진한 소변색, 황달, 비출혈, 부종, 혈뇨 등이 있었고, 이학적 소견으로는 간장비대, 비장비대, 우측 상복부통이 있었다. 병리조직형별 임상증상, 이학적 소견 및 그 빈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총 99례 중 가족력상 어머니에 B형 간염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54례, 아버지가 12례, 형제들의 경우가 25례 있었으며, 그 외의 동거 가족에서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17례 있었고, 가족력이 없는 경우는 28례였다. 가족 중 간경화가 있는 경우는 9례였고, 간세포암도 2례에서 있었다. 어머니가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사망한 례가 1례 있었고, 형제가 전격성 간염으로 사망한 경우도 1례 있었다. 병리조직형별 가족력의 차이는 없었다. 5) 간기능 검사소견을 보면, AST와 ALT의 평균은 각각 $151{\pm}158$ U/L, $215{\pm}221$ U/L이고, 병리조직형별로는 조직 염증소견이 심할수록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병리조직형별로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AST, ALT치로 조직형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웠다. Ludwig의 분류와 간기능 검사치와의 관계를 보면, 혈청 알부민은 섬유화가 진행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ALT, AST는 간조직내 염증 및 섬유화가 심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6) Prothrombin time은 조직형이 심할수록 유의하게 길어졌고, 특히 간경화가 진행될수록 나빠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도 조직형이 심할수록 길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반정량적 방법에 의한 분류와의 관계를 보면, Prothrombin time과 APTT는 간조직내 염증 및 섬유화가 심할수록 길어지는 것을 관찰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7) IgM anti-HBc는 검사가 이루어진 80명 중 1명에서만 양성이었고, HDV는 검사가 이루어진 83명 중 양성인 경우는 한 례도 없었다. HBeAg은 간생검 당시 81례에서 양성이였고, 이 후 평균 $41.8{\pm}31.3$개월간의 추적 중에 HBeAg 음전을 보인 경우는 50례가 있었고, 1년 음전율은 37%였다. 병리조직형별로는 조직형이 심할수록 음전시까지의 기간이 짧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8) 간세포암 5례의 남녀 분포는 남아 4례, 여아 1례이고, 평균연령은 $10.4{\pm}3.1$세(7세~13세 6개월)였다. 모두에서 HBsAg양성, HBeAb양성과 어머니의 만성 B형 간염의 가족력이 있었다. 간세포암 주변 조직 소견은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에서 간경화의 소견을 보였다. 추적 중 혈청 AFP의 증가로 조기발견된 1례는 종양절제술 후 항암요법으로 추적 중에 있고, 그 외에는 모두 수술 후 항암요법 혹은 방사선요법을 병행하여 시행했으나 사망하였다. 결 론: 만성 B형 간염의 간손상 정도는 임상증상이나 생화학적 검사소견으로 평가할 수 없었고, 간조직검사에 의한 병리조직학적 분류가 필요하였다. 이는 De Groute의 분류와 잘 연관되는 반정량적 Ludwig 방법에 의해 좀 더 포괄적, 구체적, 객관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후자는 예후를 예견하고, 형태학적 변화를 감시하며,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용한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 PDF

최근 3년간(2004-2006년) 응급실로 내원한 소아환자 중 급성 발작으로 인한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review of acute seizures among children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in Masan Samsung hospital from 2004 to 2006)

  • 이원덕;유재욱;이주석;이준화;조경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4호
    • /
    • pp.420-425
    • /
    • 2008
  • 목 적: 급성 발작은 응급실로 오는 소아 환자의 중요한 원인이므로 저자들은 급성 발작으로 경남권역 응급의료센터인 마산삼성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소아 환자들의 연령별 원인, 발생 지역, 임상 양상, 발작 양상, 입원 유무 등을 파악하고 지역 의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4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3년 동안 마산삼성병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던 15세 미만 소아 환자 9,487명중 급성발작을 주소로 내원한 433명(4.6%)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지를 통해 연구하였다. 결 과 : 남녀 비는 1.4:1로 남아에서 더 많았고, 2-6세 군이 전체 443명 중 195명(45.0%)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40.9{\pm}34.9$개월이었다. 지역적 분포는 마산, 창원, 함안, 진해, 김해 순이었으며, 시기적으로는 12월(14.8%)과 1월(10.2%)이 가장 많았으며, 내원 시 열을 동반한 경우는 176명(40.6%)이었고, 발작양상 중 전신 강직간대 발작이 272명(62.7%)으로 가장 많았다. 발작 횟수는 평균 $1.5{\pm}1.0$회였고, 발작 시간은 평균 $6.7{\pm}13.2$분이었으며, 응급실 도착 시 발작을 하고 있던 환자는 32명(7.4%)밖에 안 되었고 대다수 401명(92.6%)은 발작이 멈춘 상태였다. 433명 중 열성 발작은 302명(69.7%)이었다. 열성 경련 환자의 발열 원인은 급성 인후염이 135명(44.6%)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외 기관지염, 장염, 폐렴, 요로 감염 순이었으며 원인 미상도 98명이었다. 열성 발작을 제외한 발작 131명(30.3%) 중 간질이 원인인 경우가 93명(71.5%)으로 가장 많았고 이 외 경도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 출생 시 뇌 손상의 후유증 및 뇌의 발달이상, 중추신경계 감염 순이었다. 연령별 급성 소아 발작의 원인으로는 신생아군에서는 원인 불명 간질, 기타(패혈증), 전해질 이상 순이었으며, 생후 1-6개월에서는 특발성 간질, 열성 발작 순이며,6-24개월에서는 열성 발작, 경도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간질 순이었고, 2-6세에서는 열성 발작, 간질, 출생 시 뇌손상의 후유증 및 뇌의 발달이상 순이었으며, 6-15세에서는 간질, 열성경련, 중추신경계 감염, 출생 시 뇌손상의 후유증 및 뇌의 발달이상 순이었다. 또한 433명 중 214(49.4%)명은 입원 없이 응급실진료 후 귀가하였다. 결 론: 2004년에서 2006년까지 최근 3년간 마산삼성병원 15세 이하 응급실 내원 환자 9487명 중 급성 발작으로 내원한 환자는 433명(4.56%)이였으며, 2-6세 사이 남아에서 많았고, 이 중급성 인후염으로 인한 전신 강직간대 발작 형태의 열성 발작인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내원 시에는 열이 없는 경우가 조금 더 많았다. 6개월 이상 6세 미만 연령군에서는 열성 발작이, 6세 이상인 경우에는 특발성 간질이 가장 많은 원인이었다. 내원 당시 대부분의 환자는 발작이 멈춘 상태였으며, 발작은 대부분 1회였고 발작 시간은 5분 이내가 대다수였으며 절반(49.4%) 정도는 입원하지 않고 응급실에서 퇴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