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cardium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4초

간농양에 속발한 급성화농성 심 낭염 -1례 보고- (Acute Suppurative Pericarditis Caused by Liver Abscess -1 case report-)

  • 홍장수;노윤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85-788
    • /
    • 1996
  • 간농양에 이은 급성 화농성 심낭염은 드문 질환이다. 급성화농성 심낭염은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사망율이 매우 높은 위 험한 질환이다. 환자는 32세 남자 환자로 발열, 오한, 상복부동통 및 호흡곤란을 주소로 응급실로 내원 하였다. 단순 흉부사진상 심비대의 소견을 보이고 있었으며, 복부초음파상 간좌엽에 종괴가 있었다. 심초음파상 임박 심장압진의 소견을 보이고 있었다. 응급으로 횡격막천공을 통해 간농양을 배농시켰고 심낭절개술을 시 행하였다. 심낭은 비후되어 두꺼워져 있었고 600m1의 악취가 나는 농액과 괴사조직들이 배액되었다. 섬유소응괴(abrinclot)가심근과유착이 있었다 조직학적 검사상심낭은급성 염증소견과 미세한 괴사 소견을 보이고 있었고, 균배양검사상 혈액과 배농액 에서 모두 Escherichia coli가 나왔다. 환자는 항생제 치료 받고 4주만에 퇴원 했고 심초음파상 약간의 교착성 심낭염의 소견을 보였다.

  • PDF

통증에 따른 경락의 생체 물리적 정보 분석 연구 (Biophysical Characteristics of Meridian System with Two Pain Diseases)

  • 테드 캡척;남봉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2권4호
    • /
    • pp.29-41
    • /
    • 2005
  • Objectives : Although previous anatomic, physiological and biophysics studies have examined the acupuncture meridian system, much remains unclear and controversial.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electrical potential aspects of the meridian system. Electric potential was measured at the well and sea acupoints on the twelve acupuncture meridians (AM), on forty patients half with loin lesions, and pain of loin and lower extremities(LL) and half with shoulder lesions, and aching of shoulder and arm(SA). The object was to determine to what extent electric potential is an important risk factor between LL and SA. Methods : At the left and the right side with each of twenty LL and twenty SA patients, physiograph was used to measure electric potentials of AM ten sessions.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mean of electric potential between the two different pain group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risk of the 24 electric potentials measured. Results and Conclusions : In the LL, the only electric potential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greater than SA was the bladder meridian on the left side. On the contrary, electric potentials in SA, which includes the large intestine, pericardium, triple burner, spleen, stomach, kidney and gallbladder meridians, were statistically larger than those of LL at the same side. On the right side, the five kinds of electric potentials(lung, large intestine, small intestine, pericardium and gallbladder meridian) of LL were statistically larger than those of SA. On the triple burner, stomach and kidney meridians electric potentials of SA were larger than those in LL. After adjusting for 24 electric potentials, pain risk factors, and different illness categories, multiple stepwise selection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resulted in the final selection of a total of 13 statistically significant electric potentials. These were 7 electric potentials at left side - small intestine, triple burner, spleen, stomach, bladder, liver and gallbladder meridian, and 6 at rght side - lung, large intestine, heart, pericardium, kidney and bladder meridian.

  • PDF

늑막 삼출 및 심막 삼출을 동반한 종격동 기형종 (Medistinal Teratoma with Pleural and Pericardial Effusion Teratoma with Pleural and Pericardial Effusion)

  • 전양빈;손상태;전순호;정원상;김영학;김혁;강정호;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436-439
    • /
    • 1998
  • 종격동 기형종은 흉부외과의사가 흔치않게 수술하는 종양으로 무증상일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종양은 아주 드물게 늑막이나 심막을 침범하여 흉막 삼출이나 심낭 삼출, 심한 경우 심장압진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종격동 기형종의 늑막 및 심막 침범, 파열의 기전은 잘 모르지만 종양 구성 조직요소가 작용을 하리라 의심된다. 본 예는 기형종이 늑막과 심막을 침범하여 흉막삼출과 심낭삼출을 유발한 경우로 환자는 종양과 심막 절제후 증상이 호전되었고 아무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 PDF

다양한 고정 처리법을 이용한 소 심낭의 기계적 피로 자극 후 역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 (The Dynamic and Histologic Changes of Variously Fixed Bovine Pericardiums Specimens after Mechanical Fatigue Stimuli)

  • 장형우;김용진;김수환;박지은;박천수;김웅한;김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148-156
    • /
    • 2009
  • 배경: 심혈관 수술이 발달함에 따라 혈관 또는 판막 등의 일부로써 사용하기 위한 보철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저자들은 보철편의 기계적 성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내구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피로 자극 시험 장비를 개발하였고,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된 우(牛)심낭편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고 서로 비교하여 더 나은 처리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도살장에서 신선 우심낭편을 무균 채취한 뒤 총 16가지의 대표적인 처리방법으로 우심낭편을 고정 또는 탈세포화 한 뒤 피로 실험 전후로 조직의 투과도와 유순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또한 광학현미경을 통한 조직검사로 조직 구조의 가시적인 변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글루타르알데히드 단독으로 고정한 경우에 비해 글루타르알데히드와 용매를 혼합하여 고정한 경우가 더 좋은 기계적 내구성을 보였다. 최근 기성제품에서는 저농도 글루타르알데히드가 널리 쓰이고 있으나, 면역학적 이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고농도 글루타르알데히드로 고정한 우심낭편도 기계적 내구성에 문제가 얼었다. 탈세포화는 석회화 예방을 위해 다분히 필요한 과정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흔히 쓰이고 있는 SDS를 미용한 탈세포화는 우심낭편의 기계적 성질을 크게 악화시켜 투과도와 유순도가 $20{\sim}190$배 정도까지 증가하며, 탈세포화를 거친 우심낭편은 기계적 내구성도 매우 떨어져 피로 자극 후 투과도와 유순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자체 개발한 피로 자극 실험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한 심낭편의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었으며 향후 최적의 심낭편 처리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소심낭 절편의 무세포화와 알코올 전처치를 포함한 여러 고정 처리법 시행 후 석회화 경감 효과 관찰 연구 (Anti-calcification Effects in Decellularized and Variously Fixed Bovine Pericardium)

  • 황성욱;김용진;김수환;최승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235-245
    • /
    • 2010
  • 배경: 심장혈관대체물로서 인체내에 이식된 우심낭의 부전은 석회화 및 기계적 변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조기 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인 석회화 방지를 위하여 우심낭의 무세포화 처치를 시행하고 알코올 전처치를 포함한 여러 고정 방법을 병행하여 그에 따른 기계적 특성의 변화와 실제 생체 이식 시 석회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우심낭을 신선 상태와, 0.25% Sodium dodecylsulfate를 이용하여 무세포화 처치를 한 상태에서 각각 5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을 시행하였다. 5가지의 방법은 (1) 0.5 % glutaraldehyde (GA)로 2주간 처치, (2) 0.5% GA로 5일간 처치, 그 후 2일간 2% GA 처치 후 7일간 0.25% GA로 처치, (3) 0.5% GA로 5일간 처치 후 2일간 2% GA 처치 후 7일간 0.25% GA로 처치, 이후 70% 에탄올로 2일간 처치, (4) 0.5% GA로 5일간 처치 후, 2% GA와 70% 에탄올 혼합액으로 2일간 처치한 후 0.25% GA로 7일간 처치, (5) 0.5% GA로 5일간 처치 후 2% GA, 65% 에탄올, 5% octanediol 혼합액으로 2일간 처치한 후, 0.25% GA로 7일간 처치하여 구분하였다. 각각의 처치 후 조직 검사와 지질 양 측정과 기계적 특성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처치가 끝난 총 10종류의 우심낭편을 쥐의 피하조직에 이식하고 8주가 지난 후 채취하여 석회화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조직 검사에서 무세포화 후에 특이적인 기질의 변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동일한 고정 방법을 사용한 경우 무세포화 처리를 한 우심낭편에서 평균 32% 정도의 장력 저하가 있었고, 유기용매 전처치 시 octanediol을 병행 처치하면 장력 저하를 줄이고 thermal stability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양은 무세포화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유기용매 중 octanediol 전처치를 시행하는 경우 그 양이 더욱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무세포화 처리는 항석회화 효과를 보였으며, 유기용매 전처치를 시행하는 경우 석회화의 양이 더욱 감소하였다. 결론: 유기용매 전처치와 무세포화는 항석회화 효과가 있으며, 무세포화 처치는 우심낭 조직의 기계적 성능의 감소를 가져왔다. 조직의 기질에 손상을 주지 않는 무세포화와 고정방식에 대한 연구는 이종장기 연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돼지의 심낭을 이용한 이종이식 보철편의 개발 (장력-두께간의 구조적 특성) (Development of Porcine Pericardial Heterograft for Clinical Application (Tensile Strength-thickness))

  • 김관창;이철;최창휴;이창하;오삼세;박성식;김경환;김웅한;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170-176
    • /
    • 2008
  • 배경: 지금까지 심장 및 혈관 등의 결손을 교정하기 위해 자기 조직이 아닌 다른 보철편의 필요가 늘어나 그에 따른 다양한 대체제가 연구 개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조직의 처리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이미 상용화되고 있는 기존의 이종이식 보철편들과, 여러 가지 조건들에서 제조되는 돼지 심낭의 보철편들이 임상적용 전에 기계적, 물리적 조건들로서 이종이식 보철편의 적절한 두께, 장력 등의 관계와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돼지 심낭을 0.625% 혹은 1.5%, 3%의 glutaraldehyde 용액에 고정하여 각각의 장력과 두께를 측정하였다. 2) 아무런 처치하지 않은 돼지 심낭과 사람 심낭, 그리고 상용화되고 있는 기존의 이종이식 보철편들의 장력과 두께를 측정하였다. 3) 0.625% glutaraldehyde 고정 전과 고정 후 80% Ethanol 처리한 군과, sodium dodecylsulfate (SDS) 처리로 무세포화만 시행한 군, 무세포화과정 후에 0.625% glutaraldehyde 고정한 군, 80% ethanol 처리 후 다시 무세포화과정을 한 후 0.625% glutaraldehyde 고정한 군, 무세포화 한 후 다시 ethanol 처리 후 0.625% glutaraldehyde 고정한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장력과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 1) 일반적으로 사용 돼지심낭의 두께와 장력과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GA 농도를 올릴수록 두께의 증가와 함께 장력도 커졌으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돼지 심낭의 경우도 GA 처리한 심낭과 비슷한 두께와 장력을 보여 주었다. 이식편의 두께가 0.1 mm 이상에서 두께-장력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상관계수 0.514, 유의확률 <0.001). 2) 기존의 이종이식 보철편 간에는 두께나 장력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GA, ethanol, SDS 무세포화 처리효과는 심낭의 두께에 통계적인 차이는 있었지만 그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이러한 여러 처리과정 중 심낭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장력의 손실은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SDS를 사용하여 무세포화 처리만 하고 GA 고정치 않은 심낭의 장력이 가장 작았다. 결론: 이종이식 돼지심낭 보철편의 적절한 두께는 적어도 0.1 mm 이상이어야 사용하기 적절하고 장력에도 유려하며, 여러 조건하의 심낭조직 고정 방법들에 따라 두께나 장력의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GA를 이용한 각종 조직 처리과정 중 조직손상에 의한 구조적, 기계적 손실은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러나 먼저 무세포화한 후 24시간 ethanol 처리 후 다시 0.625% glutaraldehyde 고정용액에 추가 2주간 고정한 심낭이 두께와 높은 장력을 보여 주었다.

가토에서 심낭이완술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f the Pericardial Releasing Technique in Rabbits)

  • 박만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3호
    • /
    • pp.451-457
    • /
    • 1987
  • Reoperations following cardiac surgery have an increased risk of the danger of damaging the heart, great vessels or extracardiac grafts because of adhesions to the sternum. We experimentally evaluated 3 different methods for pericardial closure. A standardized procedure for induction of pericardial adhesions was carried out in 30 rabbits. For closure of pericardium, anima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10 animals respectively: Croup 1 [simple pericardial closure]The pericardium was primarily resuture; Group 2 [Core-Tex surgical membrane as a pericardial substitute]- A Gore-Tex surgical membrane was interposed between the sternum and the heart; and Group 3 [pericardial tension releasing technique]-Three longitudinal overlapping incisions were made on the right side of the pericardium while the midline incison was sutured. Animals were put to death 4 weeks postoperatively and the pericardial space was examined for pericardial adhesions and epicardial reactions. The extent of adhesions and reactions were graded as: I-none; II-minimal; III-moderate; and IV-severe. Histologic studies of the pericardium, the pericardial substitute and the epicardium were also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group 1 [simple pericardial closure], the degree of pericardial adhesions were grade I in 1 animal, grade II in 2, grade III in 4 and grade IV in 3. Epicardial reactions were grade I in 1 animal, grade II in 3, grade III in 5 and grade IV in 1. Histologic examination revealed thick fibrous tissue that obliterated the pericardial space in 7 animals. 2. In group 2 [Gore-Tex surgical membrane as a pericardial substitute], the degree of pericardial adhesions were grade I in 3 animals, grade II in 3, grade III in 2 and grade IV in 2. The degree of epicardial reactions were grade II in 1 animal, grade III in 5 and grade IV in 4. Histologic studies revealed a thin layer of dense fibrous tissue which covered the Gore-Tex surgical membrane and thick loose fibrous tissue on the epicardium just beneath the substitute. 3. In group 3 [pericardial tension releasing technique], the degree of pericardial adhesions were grade I in 3 animals, grade II in 4, grade III in 2 and grade IV in 1. The degree of epicardial reactions were grade 1 in 4 animals, grade II in 4 and grade III in 2. Severe epicardial reactions were not observed in this group. Histologic examination showed normal epicardium in 4 animals and the epicardium of the other 6 animals only revealed very thin fibrous layer compared to group I and group II. Pericardial adhesions more than grade III were 70% in group 1, 40% in group 2 and 30% in group 3. Pericardial adhesions were reduced in group 2 and group 3 compared to group 1,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Epicardial reactions more than grade III were 60% in group 1, 90% in group 2 and 20% in group 3. Epicardial reaction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group 3 compared to group 2. Author`s modified pericardial releasing technique provides marked augment of pericardial surface area and facilitates tension-free pericardial closure. Furthermore, pericardial adhesion and epicardial reaction will be reduced with the pericardial tension releasing technique.

  • PDF

심낭압전으로 발견된 원발성 심낭 섬유육종 - 1예 보고 - (Primary Pericardial Fibrosarcoma Presenting as Cardiac Tamponade - A case report -)

  • 임주영;성규완;강길현;유동곤;김종욱;박종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8호
    • /
    • pp.574-577
    • /
    • 2007
  • 심낭에서 발생한 원발성 섬유육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주로 급격한 혈성 심낭 삼출을 유발한다. 평소에 간헐적인 흉부압박감을 느껴왔던 30세 남자 환자가 내원 하루 전 갑작스런 흉통과 심한 호흡곤란으로 근처 병원에서 협심증 진단 하에 전원되어 심초음파 검사,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검사 등 정밀검사를 시행받았고, 그 결과 심낭 기형종 파열에 의한 심낭압전의 진단하에 수술을 받았다. 수술소견 상 혈성 심낭 삼출액이 다량 있었고, 심낭 종괴는 완전 절제하였으나 동결절편검사 상악성종양이 의심되었다. 수술 후 병리조직 검사상 심낭 종괴는 원발성 심낭 섬유육종으로 진단되었고 심낭 삼출액에서 암세포는 발견되지 않았다. 환자는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 후 전원되어 추가적인 방사선치료를 받고 있다. 임상적으로 긴급을 요하는 심낭압전을 동반한 원발성 심낭 섬유육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토에서 심낭대치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f the Pericardial Substitutes in Rabbits)

  • 백승환;양석린;김선한;남충희;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5호
    • /
    • pp.724-730
    • /
    • 1989
  • The development of severe pericardial adhesion after cardiovascular surgical procedures often increases the risk of injuring the heart, great vessels, or extracardiac grafts during resternotomy. Several pericardial substitutes have been tested in an attempt to facilitate reoperation with inconclusive resul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wo different materials as pericardial substitutes to minimize the pericardial adhesion and epicardial reaction. A procedure for induction of pericardial adhesion was carried out in 30 rabbits. Rabbi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ten rabbits each: Group 1[control, simple pericardial closure]: Group 2[bovine pericardium as pericardial substitute]: Group 3[e-polytetrafluoroethylene surgical membrane, e-PTFE as a pericardial substitute]. Bovine pericardium or e-PTFE surgical membrane was interposed between the sternum and the heart. Rabbits were sacrificed at 4 weeks after operation. The development of adhesions and epicardial reactions were graded as: none [I]; minimal[II]; moderate[Ill]; and severe[1V]. Histologic studies of the substitute, the pericardium, and the epicardium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l. In group 1[control group], the degree of pericardial adhesions were grade I in none, grade II in 1, grade III in 3, and grade 1V in 6 animals. Epicardial reactions were grade I in none, grade II in 3, grade K in 4, grade 1V in 3 animals respectively. 2. In group 2[bovine pericardium], the degree of pericardial adhesions were grade I in 1, grade II in 5, grade III in 3, and grade 1V in 1 animal. Epicardial reactions were grade I in 1, grade II in 2, grade III in 4, and grade 1V in 3 animals respectively. 3. In group 3[e-PTFE], the degree of pericardial adhesions were grade I in 7 animals, grade II in 2, grade III in 1, and grade g in none. Epicardial reactions were grade I in 4, grade II in 3, grade III in 2, and grade IV in 1 animal respectively. Pericardial adhesions more than grade II were 90.9% in group 1, 40 % in group 2, and 10% in group 3. Pericardial adhesion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group 3 compared to group 1 or 2. Epicardial reactions more than grade II were 70 % in group 1, 70 % in group 2 and 30 % in group 3. We concluded that this 0.1mm thick polytetrafluoroethylene surgical membrane is a suitable pericardial substitute to minimize the development of pericardial adhesion or epicardial reaction following cardiovascular surgery.

  • PDF

후부종격동 기형종 : 1례 보고 (Posterior Mediastinal Teratoma: A Case Report)

  • 김명인;임승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6호
    • /
    • pp.1270-1274
    • /
    • 1990
  • In mediastinum, teratoma frequently occur in anterior mediastinal compartment. Rarely discovered in pericardium, posterior mediastinum and lung parenchyme. The incidence of posterior mediastinal teratoma was 3%~8%. A young male patient was treated with posterior mediastinal teratoma. So we describe the rare dis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