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teachers

검색결과 1,124건 처리시간 0.023초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유아의 영양문제 및 식품섭취에 대한 인식, 영양지식 및 영양교육에 관한 차이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Nutritional Problems and Food intakes,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Realities of Nutrition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 이주희;강은정;김창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36-646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nutritional problems and food intakes and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realities of nutrition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as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perception (${\chi}^2$= 52.451, p = 0.000) about nutritional problem of preschoolers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Parents (56.4%) and teachers (58.5%) identified eating only what they want as the most common nutritional problem of children, but they had different perception about the other problems. To parents, "No nutritional problem" (16.3%) is the second and "Overindulgence of processed food" (11.1%) is the third problem of preschoolers. To teachers, "Overindulgence of processed food" (23.8%) is the second and "Obesity" (14.3%) is the third problem. The perception on food intakes of preschoolers was statistically different in meats (${\chi}^2$= 8.892, p = 0.030), fish (${\chi}^2$= 32.241, p = 0.000), beans (${\chi}^2$= 14.770, p = 0.005), vegetables (${\chi}^2$= 12.706, p = 0.013), fruits (${\chi}^2$= 14.438, p = 0.006) and milk & dairy products (${\chi}^2$= 28.591, p = 0.000)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However, nutritional knowledge was not different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While 96.6% of preschool teachers felt that it was necessary to educate preschoolers, only 41.5% of them said that they fulfilled nutrition education, showing that nutrition education was not adequately carried out on the spot. Therefore providing basic materials through which nutritional management guidance and proper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can be carried out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knowledge on their nutrition and meal guidance activities for preschooler teachers and parents.

수학 교과에서의 상황맥락적 문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A study of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situation-contextual problem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민경;민선희;김혜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2호
    • /
    • pp.149-16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ituation-contextual problem and to show efforts o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improve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inking skills. In this research, two hund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ere surveyed and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 and the status about situation-contextual problem. As a result, most of teachers replied that situation-contextual problem would be useful and applicable to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thinking skill.

동료멘토링을 활용한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Utilizing Peer Mentoring for Teachers' Self-efficacy Improvement and Peer Metoring Percep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05-318
    • /
    • 2017
  • 본 연구는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동료멘토링을 활용하여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자기효능감 요인들 즉, 상황경험, 간접경험, 언어적/사회적 설득, 감성적/생리학적 상태의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멘토와 멘티로 구성된 팀활동과 멘티의 수업시연 및 동료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뷰와 성찰저널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요인들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료멘토링의 인식에 대한 결과 분석에서 멘티의 경우 멘토들의 조언을 통해 상호작용과 소통을 통해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실습 및 실무경험의 기회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임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인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 최연화;김양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35-153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would predict work adjustment, and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Method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regression, and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when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work adjustment. Second,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ere the variables that could predict the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Third,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ewly-appointed teachers had partial-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as well as on the complete-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motivation and work adjustment. Implications: The training institute should strengthen education that could foster active moti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daycare centers should establish a cooperative workplace culture for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중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과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연구 (A Study of Self-Perception on Designing in Mathematical Assessment Items of o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 박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331-35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사의 평가 전문성 기준에서 평가도구의 개발과 관련된 세부 내용 중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역량을 탐색하는 것으로 중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평가문항에 대한 자기인식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검사 도구는 수학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수학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로 구성되었다. 예비교사는 사범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직교사는 중 고등학교에 재직교사를 대상으로 수학과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학교사의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검사를 위해 총 310명의 중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환경문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

  • 박재문;이수진;문성배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590-599
    • /
    • 2014
  •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환경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려면 교사들의 인식이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시 중학교 교사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2007년 및 2012년 두 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하였다. 2007년 교사 200명, 2012년 30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71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교사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수준을 시점, 경력, 전공 교과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여 일선 교육 현장에서의 환경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시점 간 교사들의 환경 문제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특히, 현대 환경 문제 인식, 이산화탄소 배출권 제도 등은 과학 전공 교사 및 비과학 전공 교사들에게 인식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들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는 기상이변과 무분별한 소비위주의 생활방식의 심각성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둘째, 경력에 따른 환경 문제의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전체적으로 현대 환경 문제 인식, 이산화탄소 배출권 제도, 오존층 파괴, 적조현상, 환경 정책 등에서 인식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전공과 무관하게 경력이 많은 교사가 환경오염의 심각성, 환경보전의 필요성, 건강의 중요성 등을 인식하는 정도가 높았다. 셋째, 과학 전공 교사 및 비과학 전공 교사에 따라 환경 문제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특히 현대 환경 문제 인식, 이산화탄소 배출권 제도, 오존층 파괴, 핵폐기물, 환경 호르몬, 적조 현상 등 환경 문제 전반에 걸쳐 과학 전공 교사 및 비과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차이가 뚜렷하였다.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복통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 (A Study on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Abdominal Pain Manag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 전정희;황선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2-230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levels of health teacher'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abdominal pain management in elementary school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7 heal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In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the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s and school health care guidelines by the research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pm}SD$) on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abdominal pain management were $4.02{\pm}0.43$ (range 1~5) and $3.47{\pm}0.41$ (range 1~5), respectively. Their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abdominal pain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r=.27, p<.001). In a regression analysis, the performance of abdominal pain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ption of abdominal pain management, career of health teachers, self-confidence in abdominal pain management, and total number of classes in a school.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19% of the variance of performance of abdominal pain management.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levels were lower than its perception levels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on abdominal pain management for students. It suggests that the standardized abdominal pain management guideline is develop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chool health teachers.

  • PDF

보육교사의 다문화 가정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ycare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 임미선;박정윤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7호
    • /
    • pp.25-3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aycar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and multicultural variables upon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Daycare teachers' multicultural variables consist of their multicultural family-related education, their perception of single-races and multi-races persons, their acceptance of familial diversity, their cultural capability and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In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multicultural variables seem to have an influence upon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Sinc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is important for the shaping of 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between teachers and females of transnational marriage, the importance of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related variables must be recognized.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e their adaptability to daycare facilities and for females of transnational marriage to form mutual, cooperative relations with teachers.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 강원미;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58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반 보욕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전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 35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중 판단형(J)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높은 전문성 인식을 보이며, 인식형(P)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낮은 전문성 인식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외향형 교사가 내향형 교사보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각형과 직관형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고형 교사가 감정형 교사보다 '공정성'과 '전문단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판단형 교사가 인식형 교사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사회 봉사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 채용시 MBTI 성격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반과 영아반 중 더 맞는 역할을 제공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서적 전문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s Experiences with School Library Programs and Collaborative Classe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Roles of School Libraries and th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 김현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5-243
    • /
    • 2024
  • 학교도서관은 정보자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학교의 교육목적 달성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자원과 이용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교과교사의 인식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사서교사의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의 국·공립 고등학교 8개교의 교과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의 분석 방법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교사의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은 학교도서관의 정보적·교육적·문화적 역할 인식과 사서교사의 교육지원·도서관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운영시에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에 대한 교과교사의 인식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