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icillium spp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형태적 특성에 의한 벼과작물 종자전염 Penicillium spp.의 동정 (Identification of Seed-borne Penicillium spp. on Gramineae Crop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김민경;현익화;김진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85
    • /
    • 2005
  • 1997년부터 2003년에 걸쳐 우리나라에서 수확된 보리, 율무, 옥수수, 수수, 벼에서 총 81개의 Penicillium 속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Penicillium 속균의 배양적 형태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한 결과 P. citrinum, P. chrysogenum, P cyclopium, P. oxalicum, P. polonicum, P. purpurogenum 그리고 P. viridicatum으로 동정되었다. 이 중에서 P. cyclopium, P. polonicum, P. purpurogenum은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는 미기록종들이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조랑말의 결막 진균총 조사 : Nocardia 종 및 Streptomyces 종을 포함하여 (Conjunctival fungal flora of the clinically normal pony eye : Including Nocardia and Streptomyces species)

  • 서강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17-225
    • /
    • 1998
  • 영국 Hertfordshire의 두지역에서 사육되고 있는 건강한 조랑말의 결막낭내 상존하고 있는 진균총의 분포도를 조사 비교하고자 36두 조랑말의 양안(총72안)의 상 하 결막낭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진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총 76.4%의 안구에서 진균이 발견되었으며, 13종이 분리되었다.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분리된 진균은 Aspergillus spp(27.8%), Nocardia spp(25.0%), Cladosporium spp(19.4%), Penicillium spp(9.7%) 및 Penicillium spp(9.7%)순이었다. 1지역에서는 Nocardia spp와 Cladosporium spp가 가장 많이 분리된 반면, 2지역에서는 Aspergillus spp가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상 하결막낭내 진균분리율의 차이는 상결막낭에서보다는 하결막낭내에서 진균이 유의성 있게 많이 분리되었다(p<0.05). 시료채취시에 사용된 swab의 상태에 따른 비교에서 건조된 swab과 젖은 swab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Temporal Changes of Fungal and Bacterial Populations in Rice under Indoor Storage Conditions

  • Oh, Ji-Yeon;Sang, Mee-Kyung;Ryoo, Mun-Il;Kim, Ki-D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74-79
    • /
    • 2008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fungal and bacterial populations in unhulled and brown rice under indoor storage condition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bial popul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f the storage room ranged from $22.6^{\circ}C\;to\;27.0^{\circ}C$ and 23.3% to 44.2%, respectively. Total fungal and bacterial populations remained relatively stable over the storage period. Predominant fungi included Aspergillus candidus, A. flavus, A. fumigatus, and Penicillium spp.; the predominant bacteria were Bacillus, Microbacterium, Sphingomonas, and Methylobacterium spp. Total fungi and bacteria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ither unhulled (r=0.448, P=0.372) or brown (r=0.466, P=0.351) rice. In unhulled rice, total fungi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otal Aspergillus (r=0.994, P<0.001) and total Penicillium (r=0.906, P<0.05); A. flavu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Aspergillus (r=0.913, P<0.05) and total fungi (r=0.868, P<0.05). In brown rice, Bacillus spp.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bacteria (r=0.998, P<0.001). Mean tempera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 candidus (r=-0.852, P<0.05) and total fungi (r=-0.961, P<0.01), and mean relative humid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Penicillium spp.(r=0.884, P<0.05) in brown rice. Hence these results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fungal and bacterial populations in unhulled and brown rice stored under room conditions, and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populations of fungi and bacteria, especially Aspergillus and Penicillium spp.

수확후 배 푸른곰팡이병을 일으키는 Penicillium속의 종류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enicillium spp. Isolated from Postharvest Decay of Pear)

  • 김주희;이왕휴;정성수;최정식;류정;최영근
    • 식물병연구
    • /
    • 제8권2호
    • /
    • pp.107-112
    • /
    • 2002
  • 수확 후 피해를 주는 Penicillium속의 병원체를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여러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 중 배에서 분리한 198균주는 상처 접종과 무상 접종에서 병반을 형성하여 병원성이 있었으며, 균총 크기와 형태, 색, 배지뒷면 색소와 포자형태 등의 특성에 따라 15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분리한 균주들은 배양·형태적·생리적 특성에 따라 P. expansum, P. solitum, P. crustosum 등 3종으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균주들의 병원성 검정 결과 저온에서 상처접종이 무상접종 보다 병원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P. expansum이 저장 배 과실에 대해 가장 병원성이 강하였고, P. solitum과 P. crustosum은 약한 편이었다.

원형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한 곰팡이의 분류 동정 (Taxonomy and Identification of Fungi Isolated from Round Bale Silage)

  • 노환국;여준모;김완영;이장형;서성;김민경;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61-83
    • /
    • 2012
  •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하는 곰팡이를 분류 동정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253개의 오염된 곤포사일리지를 채집하였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수단 그라스, 호밀, 옥수수, 보리와 귀리에서 분리한 총 253 목초 샘플을 분석했다. 채집된 곤포사일리지에서 총 270균주를 순수 분리하였고, 분리된 곰팡이의 형태와 rDNA sequence를 분석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분리한 곰팡이를 형태를 기준으로 분류 동정 한 결과 Rhizopus sp., Fusarium spp., Coprinus sp., Blastomyces sp., Aureobasidium sp., Polypaecilum sp., Botryoderma sp., Mucor sp., Scytalidium sp., Sphaeropsis sp., Aspergillus spp., Trichocladium sp., Humicola sp., Staphylotrichum sp., Periconia sp., Verticillium sp., Diplococcium sp., Penicillium spp., Trichoderma spp. 등 19종의 곰팡이가 분리 동정되었다. 한편, 사일리지에서 분리한 곰팡이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cremonium strictum, Asperillus tubingensis, Bionectria ochroleuca Dipodascaceae sp., Fusarium proliferatum, Fusarium oxysporum, Fusrium solani, Gelasinospora reticulata, Gibberella monliliformis, Gibberella zeae, Nectria mauritiicola, Penicillium paneum, Pseudallecheria boydii, Schizaphyllum commune, Scoplariopsis brevicaulis, SimpliciIlium lamellicola로 분류 동정되었다. PenicIlliwn sp.와 Trichoderma sp.는 각각 74와 64균주가 분리되어 가장 많이 분리 동정되었고, Humicola sp., Aspergillus sp., Coprinus sp., Fusarium spp.도 10~30 균주가 분리 동정되었다. 곤포 사일리지에서의 대부분의 곰팡이는 한 종 이상의 곰팡이가 복합적으로 오염되었다.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하는 곰팡이가 생산하는 진균 독소 (Mycotoxins Produced by Fungi Contaminated on the Round Bale Silage)

  • 노환국;서성;김민경;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85-92
    • /
    • 2012
  • 곤포 사일리지에서 분리한 Penicillium, Aspergillus, Fusarium속 균의 곰팡이독소 생산 여부를 조사한 결과, Penicillium paneum 균주의 배양여액에서 citrin과 patulin이 검출되었고, Aspergillus flavus 균주의 배양여액에서는 아프라톡신이 검출되었으나 A. fumigatus가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글리오톡신은 검출되지 않았다. Fusarium proliferatum 균주는 Fusarium속 균이 일반적으로 많이 생산하는 fumonisin, zearalenone, deoxynivalenol 등 곰팡이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곰팡이 오염 현미에 대한 쌀바구미의 선호성 (Preference of the Rice Weevil (Coleoptera: Curculionidae) for the Storage Mold Contaminated Brown Rice)

  • 윤태중;윤은영;이승빈;박미경;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29-334
    • /
    • 2003
  • 쌀바구미와 저장 곡물 곰팡이간의 상호작용 분석의 일환으로 곰팡이 종에 대한 쌀바구미의 분포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쌀바구미는 비교 대상 4종 곰팡이(Aspergillus candidus, A. niger, A. flavus와 Penicillium spp.)에 오염된 현미를 살균된 현미보다 선호하였으며, 선호도는 A. candidus와 Penicillium spp.에 대해서 가장 높았다. 차대 쌀바구미 우화수는 A. candidus와 Penicillium 오염미에서 가장 많았으며 A. flavus 오염미에서 가장 적었다. 쌀바구미의 곰팡이 오염미에 대한 선호와 쌀바구미 적합도간 불일치 현상은 쌀바구미의 분포 및 곡물 곰팡이 선호도가 알려진바 유사 니체에서의 장기적인 공진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종간 상호작용의 조정과 아울러 영양적 특성 등 단기적 서식환경의 적절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ree New Records of Penicillium Species Isolated from Insect Specimens in Korea

  • Lamsal, Kabir;Kim, Sang Woo;Naeimi, Shahram;Adhikari, Mahesh;Yadav, Dil Raj;Kim, Changmu;Lee, Hyang Burm;Lee, Youn Su
    • Mycobiology
    • /
    • 제41권2호
    • /
    • pp.116-119
    • /
    • 2013
  • Three Penicillium species have been isolated from insect specimens in Korea; Penicillium sp., P. steckii, and P. polonicum. Penicillium sp. (KNU12-3-2) was isolated from Lixus imperessiventris, while P. polonicum (KNU12-1-8) and Penicillium steckii (KNU12-2-9) were isolated from Muljarus japonicas and Meloe proscarabaeus, respectively. The identification was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ungi and i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alysi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isolation of these three species of Penicillium from insects in Korea.

한국 토양중 미기록 Penicillium spp. 에 관한 연구 (Nine Species of Penicillium in Korea)

  • 이희경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9-295
    • /
    • 1992
  • 1990년 7월부터 1991년 8월까지 한국의 여러 장소 토양으로부터 145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중 33종이 Penicillium 속으로 동정되었고 9종은 미기록종이었다. 한국에 처음 보고되는 종은 다음과 같다. Penicillium aurantio-candidum, P. echinulatum, P. griseofulvum, P. puberulum, P. rubrum, P. rugulosum, P. spinulosum, P. variabile, and P. viridicatum.

  • PDF

치즈에서 부패를 일으키는 효모와 곰팡이의 다양성 및 저감법 (The Prevalence and Control of Spoilage Mold and Yeast in Cheese)

  • 김종희;김부민;정석근;오미화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152-161
    • /
    • 2017
  • Cheese is an excellent substrate for yeast and mold growth. These organisms can cause cheese spoilage, resulting in significant food wastage and economic losses. In the context of cheese spoilage, the presence and effects of spoilage or pathogenic bacteria are well documented. In contrast, although yeasts and molds are responsible for much dairy food wastage, only a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diversity of spoilage fungi. This article reviews the spoilage yeasts and molds affecting cheeses in various countries. The diversity and number of fungi present were found to depend on the type of cheese. Important fungi growing on cheese include Candida spp., Galactomyces spp., Debaryomyces spp., Yarrowia spp., Penicillium spp., Aspergillus spp., Cladosporium spp., Geotrichum spp., Mucor spp., and Trichoderma spp.. In addition, several mold spoilage species, such as Aspergillus spp. and Penicillium spp., are able to produce mycotoxins, which may also be toxic to humans. There are many ways to eliminate or reduce toxin levels in foods and feeds. However, the best way to avoid mycotoxins in cheese is to prevent mold contamination since there are limitations to mold degradation or detoxifications in cheese. Chemical preservatives, natural products,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have been used to prevent or delay mold spoilage and improve product shelf life and food safety.